KR200161624Y1 - 봉투의 개봉구조 - Google Patents

봉투의 개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624Y1
KR200161624Y1 KR2019970014387U KR19970014387U KR200161624Y1 KR 200161624 Y1 KR200161624 Y1 KR 200161624Y1 KR 2019970014387 U KR2019970014387 U KR 2019970014387U KR 19970014387 U KR19970014387 U KR 19970014387U KR 200161624 Y1 KR200161624 Y1 KR 200161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opening
cover
lid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722U (ko
Inventor
윤종오
Original Assignee
윤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오 filed Critical 윤종오
Priority to KR2019970014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624Y1/ko
Publication of KR980002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투의 봉함과 개봉을 용이하게 한 봉투의 개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봉투의 상부에 덮개가 형성된 봉투에 있어서, 덮개의 일측부를 절취한 절취부를 형성하여 덮개를 덮을시에 개구부의 일부가 그대로 노출되게 하고, 또 절취부를 덮개의 양측에 복수로 형성하거나 덮개의 절곡선을 따라 절취공을 일정 간격으로 연속 천공한 절취선을 형성하기도 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투의 개봉구조
본 고안은 봉투에 있어서, 그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자원 절약과 함께 봉투의 봉함과 개봉을 용이하게 한 봉투의 개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편지봉투나 서류봉투 등 각종 봉투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봉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그 개구부를 완전 덮을 수 있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 봉투의 내부에 내용물을 내입하고, 그 상부의 덮개를 풀 등으로 봉합하여 내부의 문서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다.
전기한 기존의 봉투는 그 상부의 덮개가 봉투의 공간 전부를 밀봉시키는 것이므로 밀봉도는 유지되더라도 이를 부착할 시에 풀도 많이 사용될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덮개가 완전 밀착되어 있어 봉투의 개봉시에 그 봉투를 전체적으로 뜯거나 모서리를 절취한 후 이에 손가락을 넣어 뜯는 방법을 이용하여 번거롭고 외관상 지저분할 뿐 아니라 별도의 가위나 절단기구를 사용하여야 되는 번거로움 따랐다.
본 고안은 봉투를 개봉함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덮개의 자체를 제조시부터 절취 형성하므로서 봉투의 절취부만큼 풀과 접착시간이 절약되게 하여 국가 전체적으로 막대한 량의 풀사용을 감축할 수 있고, 봉함후에도 일정크기의 개구부가 유지되게 하여 그 공간부에 의해 그 개봉을 용이하게 한 봉투의 개봉구조를 제공함에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 ∼ 제2c도는 본 고안의 정면설명도로서,
제2a도는 덮개가 열린 상태,
제2b도는 덮개가 부착된 상태,
제2c도는 덮개를 개봉하는 상태,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도.
제4도는 기존의 봉투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투 2 : 덮개
3 : 절취부 4 : 개구부
5 : 절취선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봉투(1)의 상부에 덮개(2)가 형성된 봉투에 있어서, 덮개(2)의 일측부를 절취한 절취부(3)를 형성하여 덮개(2)를 덮을시에 개구부(4)의 일부가 그대로 노출되게 한다.
제2a도 ∼ 제2c도는 본 고안의 정면설명도로서, 제2a도는 덮개(2)가 열린 상태이다.
그 절취부(3)의 경사각도(α)가 상단부와 90°보다 작은 예각의 경사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그 경사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각이나 둔각등의 상태로서도 절취부(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b도는 덮개가 달려 부착된 상태이다.
상단부에 개구부(4)를 노출시키면서 덮개(2)의 부착 면적이 줄어든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이를 부착할 시에 사용되는 풀의 사용량과 부착시간이 줄어 자원절약이 가능한다.
제2c도는 봉투를 개봉하는 상태의 실시예도로서, 덮개(2)의 절취부(3)에 의해 개구부(9)가 항상 드러나 있으므로 그 모서리를 별도로 뜯지 않더라도 드러나 있는 개구부(4)에 손가락이나 기타 필기구등을 넣어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그대로 봉합된 덮개(2)가 절취되면서 개봉되는 것이어서 봉투의 개봉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이때 덮개(2)의 경사각도(α)를 90°보다 작은 예각으르 형성할 경우 봉함시에는 부착면적이 넓어 지지력이 유지되면서도 봉투의 개봉시에 손가락이나 절취도구의 진행방향과 일치되어 절취가 용이하고, 개봉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파열을 방지하여 절취된 후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제3a도 ∼ 제3c도는 덮개(2)의 절취부(3)를 양측에 형성한 실시예도이다.
제3a도의 도시와 같이 경사각도(α)릍 기존의 봉투와 같이 90°보다 넓은 둔각으로 할 수도 있고, 직각으로 함은 물론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90°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양측으로 절취부(3)를 형성하는 경우 봉투의 방향에 관계없이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그 경사각도가 둔각인 경우는 봉투의 외관적 품위를 높일수 있고, 예각인 경우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개봉시 절취가 용이하며, 직각의 경우에는 양측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제3c도는 덮개(2)의 절곡선을 따라 절취공을 일정간격으로 연속 천공한 절취선(5)을 형성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절취공이 연속 천공된 절취선(5)이 형성되므로서 그 개봉시에 그 절취선을 따라 덮개(2)가 차단되므로 그 개봉이 더욱 용이하며 절취된 후의 봉투가 외관적 품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종 봉투의 덮개의 절취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부착면적을 줄여 자원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봉투의 개봉시에 개구부의 노출로 그 개봉이 매우 용이하고, 절취되고 난 후의 봉투 외관이 지저분하게 파열되지 않고,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봉투(1)의 상부에 덮개(2)가 형성된 봉투에 있어서, 덮개(2)의 일측부를 절취한 절취부(3)를 형성하여 접착면적이 축소되게 하고, 덮개(2)를 덮을시에 그 절취부(3)로 개구부(4)의 일부가 그대로 노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의 개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절취부(3)를 덮개(2)의 양측에 복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의 개봉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2)의 절곡선을 따라 절취공을 일정 간격으로 연속 천공한 절취선(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의 개봉구조.
KR2019970014387U 1997-06-14 1997-06-14 봉투의 개봉구조 KR200161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387U KR200161624Y1 (ko) 1997-06-14 1997-06-14 봉투의 개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387U KR200161624Y1 (ko) 1997-06-14 1997-06-14 봉투의 개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722U KR980002722U (ko) 1998-03-30
KR200161624Y1 true KR200161624Y1 (ko) 1999-12-01

Family

ID=1950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387U KR200161624Y1 (ko) 1997-06-14 1997-06-14 봉투의 개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72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533A (ja) 封 筒
KR200161624Y1 (ko) 봉투의 개봉구조
GB2160172A (en) Envelope with integral opening device
JP2000053176A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
EP1162151A1 (en) Envelope and foldable envelope sheet
JPH0513707Y2 (ko)
JP4498757B2 (ja) シールエンドカートン
KR950003618Y1 (ko) 재사용가능한 봉투
KR200176057Y1 (ko)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KR200188171Y1 (ko) 봉투의구조
KR200268976Y1 (ko) 절취봉투
JP3088772U (ja) 簡易開封機能を有する封筒
JP4041562B2 (ja) 止め具およびこの止め具を用いるファイル
KR200372871Y1 (ko) 서류 보관용 클리어 화일
KR200191623Y1 (ko) 개봉이 편리한 봉투
KR19980033680U (ko) 편지봉투
JPH04142254A (ja) 封筒
WO2001081187A1 (en) Easily openable envelope
JPH0966942A (ja) 開封部を有する封筒
KR200171175Y1 (ko) 삽입, 봉함, 개봉을 용이하게한 편지봉투
USRE34024E (en) Tear strip opening device
KR200261543Y1 (ko) 절취형 우편봉투
JPH11349003A (ja) 開封用ミシン目入り封筒
JP2006044779A (ja) 開封が簡易にできる封筒
KR910007810Y1 (ko) 절취선과 개봉선이 형성된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