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18Y1 - 재사용가능한 봉투 - Google Patents

재사용가능한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18Y1
KR950003618Y1 KR92017870U KR920017870U KR950003618Y1 KR 950003618 Y1 KR950003618 Y1 KR 950003618Y1 KR 92017870 U KR92017870 U KR 92017870U KR 920017870 U KR920017870 U KR 920017870U KR 950003618 Y1 KR950003618 Y1 KR 950003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line
boundary
body portion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635U (ko
Inventor
김윤동
Original Assignee
김윤동
김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동, 김유리 filed Critical 김윤동
Priority to KR92017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18Y1/ko
Publication of KR940007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 B65D27/34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사용가능한 봉투
제1도는 종래 봉투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 봉투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봉투의 전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봉투를 접어서 완성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봉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11' : 좌측날개부
12 : 우측덮개부 13,13' : 하부날개부
14,14'14'',14''' : 상부날개부 15,16,17,18,19',19'' : 절취선
20 : 절개부 25 : 절취구멍
본 고안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번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봉투는 제1도에 전개하여 나타낸 바와같이 몸체(1)의 좌우측에 거의 대칭으로 날개부(2, 3)를 형성하고, 몸체(1)의 상하에도 각각 상부날개(4)와 하부날개(5)를 형성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날개를 접어서 접착한 다음 그 위로 하부날개(5)를 접어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몸체(1)의 상부는 내용물을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둔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된 종래의 봉투는 내용물을 봉투에 넣은 후 상부날개(4)를 접어 부착하여 일회 사용한 후, 상기 몸체(1)의 상부를 개방하고 나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자원의 재활용 시책에 어긋나며 쓰레기의 양을 증가시켜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봉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여러번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환경시책에도 호응하는 재사용가능한 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재사용가능한 봉투는, 몸체부의 좌측에 날개부가 있고 우측에는 몸체부와 거의 같은 크기의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고, 몸체부의 하부와 상부에도 각각 날개부가 형성된 봉투에 있어서, 몸체부와 좌측, 상부, 하부 날개부 및 우측 덮개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 절취선, 상부날개부로 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상부날개부의 절취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절취선, 우측 덮개부의 모서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모서리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 또한 우측 덮개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좌하측 모서리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 및 몸체부의 좌하측 모서리로부분에 형성된 절취선들을 따라 절취구멍들이 각각 뚫려 있으며, 또한 상부날개부와 몸체부의 사이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봉투를 전개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재사용가능한 봉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좌측에 날개부(11)가 있고 우측에는 몸체부와 거의 같은 크기의 덮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에도 각각 날개부(13, 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여러곳에 절취구멍(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취구멍(25)은 몸체부(10)와 좌측 날개부(11)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5), 몸체부(10)와 우측 덮개부(12)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6, 16'), 몸체부(10)와 하부 날개부(13)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7), 몸체부(10)와 상부날개부(14)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8), 상부 날개부(14)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상부날개부(14)의 절취선(18)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절취선(19, 19', 19''), 우측 덮개부(12)의 모서리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서 모서리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26), 우측 덮개부(12)의 좌하측 모서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좌하측 모서리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27), 또한 몸체부(10)의 좌하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절취선들(28, 28')을 따라 뚫려있다. 더욱이, 상부 날개부(14)와 몸체부(10) 사이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부(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봉투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를 완성시키려면, 먼저 우측 덮개부(12)를 몸체부(10) 위로 덮고 좌측 날개부(11) 그위로 덮어 부착시킨 다음 하부 날개부(13)를 위로 접어 부착시키면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이 된다. 절취선들(19, 19', 19'')를 따라 형성된 절취구멍들(25)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형성할 수도 있고, 제4도와 같이 봉투로 만든 상태에서 뚫어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절취선들(14, 15, 16, 16', 17, 18, 26, 27, 28, 28')을 따라 형성된 절취구멍들(25)은 전개된 상태에서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봉투에 내용물을 넣고 상부 날개부(14)를 접착한 것을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몸체(10)와 상부 날개부(14)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8)을 따라 절취하는데, 이때에는 절개부(20)를 통해 칼끝이나 볼펜등을 찔러 넣어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그리고, 일회 사용한 봉투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회 사용후 개봉된 곳으로 부터 내용물을 넣은후 절취선(19)을 기준으로 하여 접어 부착시켜서 다시 이회째의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이를 개봉시에는 절취선(19)을 따라 개봉한다. 이회째의 사용시에는 절취선(18)과 절취선(19)사이의 부분이 새로운 상부 날개부(14')가 된다. 마찬가지로 삼회, 사회째의 사용을 하고자 할 때에는, 절취선(19') 및 절취선(19'')을 기준으로 하여 접어 부착시키거나 그 절취선들을 따라 개봉함으로써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몸체부(10)와 우측 덮개부(12)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일부 형성된 절취선(16)은 재사용시 새로운 상부날개부(14, 14'', 1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새로운 상부 날개부(14', 14'', 14''')와 대응하는 덮개부의 부분들(24', 24'', 24''')은 재사용시 순차적으로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봉투의 한쪽 겉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개의 메모란 내지는 주소기재란(30, 30', 30'', 30''')을 만들어 둠으로써 재사용시 란을 바꾸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쪽면에는 홍보용 기사 따위를 인쇄하여 자재의 절약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일회 사용한 후 개봉시킨 봉투를 뒤집어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절취선(15) 및 절취선(17)을 따라 봉투의 측면과 하부를 뜯은 다음, 좌측 절첩선(22) 및 하부 절첩선(23)을 따라 가장자리를 접어 부착시켜서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같이 몸체부(10)와 우측 덮개부(12) 사이의 경계를 따라 일부 형성된 절취선(16)을 이용하여 새로운 상부 날개부(14', 14'', 1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새로운 상부 날개부(14', 14'', 14''')와 대응하는 덮개부의 부분들(24, 24', 24'')도 재사용시 순차적으로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취선들(16', 28, 28')을 이용하여 새로운 하부 날개부(13)를 형성하고, 절취선(26) 및 절취선(27)을 따라 우측 덮개부(12)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29) 및 하측 가장자리 부분(30)을 제거하여 뒤집어 재사용시 봉투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봉투는 자원의 재활용으로 인해 경제적이며, 따라서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부(10)의 좌측에 날개부(11)가 있고 우측에는 상기 몸체부(10)와 거의 같은 크기의 덮개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와 상부에도 각각 날개부(13, 14)가 형성된 봉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좌측 날개부(11)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5),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우측 덮개부(12)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6, 16'),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하부 날개부(13)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7),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날개부(14)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절취선(18), 상기 상부 날개부(14)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절취선(18)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절취선들(19, 19', 19''), 우측 덮개부(12)의 모서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26), 우측 덮개부(12)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좌하측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된 절취선(27), 그리고 몸체부(10)의 좌하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절취선들(28, 28')을 따라 절취구멍들(25)이 각각 뚫려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 날개부(14)와 상기 몸체부(10) 사이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봉투.
KR92017870U 1992-09-21 1992-09-21 재사용가능한 봉투 KR950003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870U KR950003618Y1 (ko) 1992-09-21 1992-09-21 재사용가능한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870U KR950003618Y1 (ko) 1992-09-21 1992-09-21 재사용가능한 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35U KR940007635U (ko) 1994-04-15
KR950003618Y1 true KR950003618Y1 (ko) 1995-05-09

Family

ID=1934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870U KR950003618Y1 (ko) 1992-09-21 1992-09-21 재사용가능한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35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8875A (en) Eccentric "Z" fold mailer with nesting capabilities
US5133496A (en) Combination greeting card and gift pouch
US1957704A (en) Envelope
US4190162A (en) Stationery having snap-open envelope with remailable portion
EP0157484B1 (en) Labels in the form of a envelope
US20040217156A1 (en) Easy open envelope
US3288350A (en) Advertisement mail constructions
US7549571B2 (en) Environmentally friendly reusable envelope structures
EP0261844B1 (en) Envelope
US4815654A (en) Envelope having a remailable portion
US3525469A (en) Multiform envelopes
US3180553A (en) Carton
KR950003618Y1 (ko) 재사용가능한 봉투
EP0246840A1 (en) Carton
US2039437A (en) Dispensing carton
US3570752A (en) Folder
US4535930A (en) Overnight letter envelope
US3294313A (en) Envelope
JP2003191962A (ja) 封 筒
KR900009324A (ko) 봉투 및 그를 접는 방법
US2809778A (en) Combination stationery and envelope
KR850004228A (ko) 용기구성판체 및 용기
US4239410A (en) Stationery booklet
US2097505A (en) Envelope construction
KR200161624Y1 (ko) 봉투의 개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