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718Y1 -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718Y1
KR200160718Y1 KR2019960063873U KR19960063873U KR200160718Y1 KR 200160718 Y1 KR200160718 Y1 KR 200160718Y1 KR 2019960063873 U KR2019960063873 U KR 2019960063873U KR 19960063873 U KR19960063873 U KR 19960063873U KR 200160718 Y1 KR200160718 Y1 KR 200160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ble
lever
spherica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698U (ko
Inventor
고병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3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7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16C1/145Attachment of the end-piece to the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16C11/069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with at least one separate part to retain the ball member in the socket; Quick-releas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변속레버에서 제공되는 조작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변속케이블이 변속기에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속기 조작케이블(1)의 선단과 조작레버(2)의 선단에 상호 교환되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연결부(3) 및 상기 구형 연결부(3)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포지부(4)와, 상기 포지부(4)에 삽입된 구형 연결부(3)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여,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의 사이에 형성된 구형 연결부(3)와 포지부(4)로 두 부품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의 상호 회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손쉬운 연결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수동 변속차량의 변속기 조작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이 변속기의 변속조작 레버와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수동식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 등이 있는 바, 실내에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변속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레버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을 통해 변속기에 연결되어 변속기 내부의 변속기어를 작동시켜 변속을 실시한다.
여기서, 수동 변속기의 경우 상기 변속레버로부터 변속기로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 케이블(51)과 쉬프트 케이블(52)의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셀렉터 케이블은(51)은 변속기 측의 셀렉터 레버(53)와 연결되어 변속이 실시될 쉬프트 레일을 선택하고, 상기 쉬프트 케이블(52)은 변속기 측의 쉬프트 레버(54)에 연결되어 선택된 쉬프트 레일을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을 실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자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하나의 변속기 조작케이블이 변속기 측의 인히비터 스위치에 형성된 매뉴얼레버에 연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수동 변속기의 셀렉터 케이블(51)과 쉬프트 케이블(52) 및 자동변속기의 변속기 조작케이블을 통칭하여 변속기 조작케이블이라 하고 상기 셀렉터 레버(53)와 쉬프트 레버(54) 및 매뉴얼 레버를 통칭하여 조작레버라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변속기 조작 케이블이 변속기 측의 각종 조작레버에 연결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조작케이블(60)의 끝단부가 조작레버(61)의 선단에 회전자재하도록 힌지축을 제공하는 볼트(62)와 상기 볼트(62)에 체결되는 너트(63)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62)와 너트(63)로 이루어지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는 상기 볼트(62)와 너트(63)의 체결작업이 별도로 요구되며 상기 너트(63)의 체결시 변속기 조작케이블(60)과 조작레버(61)간의 자유로운 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하므로 작업성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기 조작케이블과 조작레버의 자유로운 회전상태를 확보하면서 그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 변속기의 변속기 조작케이블과 조작레버의 연결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변속기 조작케이블과 조작레버의 상세 연결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조작케이블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속기 조작케이블2: 조작레버
3: 구형 연결체4: 포지부
5: 홈6: 스냅링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선단과 조작레버의 선단에 상호 교환되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연결부 및 상기 구형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포지부와, 상기 포지부에 삽입된 구형 연결부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변속기 조작케이블(1)의 선단과 조작레버(2)의 선단에 상호 교환되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연결부(3) 및 상기 구형 연결부(3)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포지부(4)와, 상기 포지부(4)에 삽입된 구형 연결부(3)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형 연결부(3)는 조작레버(2)측에 형성하였고, 상기 포지부(4)는 변속기 조작케이블(1)의 선단에 형성하였으며, 물론 서로 교환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포지부(4)의 내측에 형성된 홈(5)과, 상기 홈(5)에 끼워지며 상기 구형 연결부(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스냅링(6)으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의 연결구조가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작업자는 상기 변속기 조작케이블(1)의 포지부(4)에 상기 조작레버(2)에 일체로 형성된 구형 연결부(3)를 삽입하고 상기 포지부(4)의 홈(5)에 스냅링(6)을 끼워 그 결합작업을 완료함으로써,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작업력이 요구되는 것은 상기 포지부(4)에 구형 연결부(3)를 삽입한 상태에서 단지 스냅링(6)만을 홈(5)에 결합하는 것이므로 작업이 매우 간단한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는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는 상호간에 상기 포지부(4)와 구형 연결부(3)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변속레버로부터 전해지는 변속조작력을 상기 조작레버(2)에 정확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의 사이에 형성된 구형 연결부(3)와 포지부(4)로 두 부품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속기 조작케이블(1)과 조작레버(2)의 상호 회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손쉬운 연결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선단과 조작레버의 선단에 상호 교환되어 형성될 수 있는 구형 연결부 및 상기 구형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포지부와, 상기 포지부에 삽입된 구형 연결부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포지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끼워지며 상기 구형 연결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스냅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KR2019960063873U 1996-12-30 1996-12-30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KR200160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873U KR200160718Y1 (ko) 1996-12-30 1996-12-30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873U KR200160718Y1 (ko) 1996-12-30 1996-12-30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98U KR19980050698U (ko) 1998-10-07
KR200160718Y1 true KR200160718Y1 (ko) 1999-11-15

Family

ID=1948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873U KR200160718Y1 (ko) 1996-12-30 1996-12-30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7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06A (ko) * 2017-09-26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원터치 조립방식 변속조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06A (ko) * 2017-09-26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원터치 조립방식 변속조작장치
KR102359431B1 (ko) 2017-09-26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원터치 조립방식 변속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9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6875A3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ssisted shifting of mechanical transmissions
US3916712A (en) Transmission with transversely movable countershaft extension
US4631975A (en)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KR200160718Y1 (ko) 변속기 조작케이블의 연결구조
CN113513582A (zh) 工程车辆自动变速箱用电控换挡手柄及其控制方法
US4619152A (en)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100528037B1 (ko) 변속 케이블 매스 댐퍼
KR100218803B1 (ko) 수동 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0136247Y1 (ko) 차량 변속용 조인트 구조
CN215596384U (zh) 工程车辆自动变速箱用电控换挡手柄
KR100510265B1 (ko)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KR200166702Y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전달기구
KR200161833Y1 (ko) 농업용 트랙터의 부변속 레버
KR200170194Y1 (ko) 플로워형 변속레버의 와이어 고정 구조
RU2311576C2 (ru) Транслятор тросового привода механизма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KR10019350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피니언 기어 장착 구조
KR200294548Y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9980060463A (ko) 변속레버와 변속케이블 연결구조
KR0183582B1 (ko) 트랜스미션 콘트롤 시스템의 시프트 조작력 향상 구조
KR100259528B1 (ko) 수동변속기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KR19980057901U (ko) 차량용 변속기
KR100501121B1 (ko) 트랜스퍼 조작레버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9990020808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팅 장치
KR100240708B1 (ko)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