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708B1 -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708B1
KR100240708B1 KR1019970026119A KR19970026119A KR100240708B1 KR 100240708 B1 KR100240708 B1 KR 100240708B1 KR 1019970026119 A KR1019970026119 A KR 1019970026119A KR 19970026119 A KR19970026119 A KR 19970026119A KR 100240708 B1 KR100240708 B1 KR 10024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ble
change
change control
change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502A (ko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2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7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발명은 드라이버에 의해 조작되는 체인지 레버와 유압 제어시스템의 매뉴얼 밸브의 사이에 연결되어, 드라이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므로서 유압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게 하고,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조작시 체인지 레버의 회전 반경에 의해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이 소정의 각도 만큼 꺽여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작동 노이즈를 제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체인지 레버(1)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연결수단은 체인지 레버의 힌지(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컨넥트로드(3)와, 그 제 1 컨넥트로드(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과 연결된 제 2 컨넥트로드(4)로 구성된다. 따라서, 체인지 레버의 회전 반경 차이에 따른 꺽임각은 제 1 및 제 2 컨넥트로드에 의해 흡수 및 방지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 레인지에서 L 레인지까지 회전되는 체인지 레버의 회전 반경에 의해, 그 체인지 레버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되는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꺽임각이 방지되도록 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구동방식(전륜구동 또는 후륜구동)에 따라 다르나, 엔진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토오크 컨버터와, 이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되는 파워 트레인(혹은 다단 변속기어 매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파워 트레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작동 마찰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작동 마찰요소는 트랜스미션 컨트롤 유니트(TCU)에 의해 유압의 흐름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유압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유압 제어시스템은 유압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므로서, 유성기어장치의 선기어,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요소를 각각 입력, 출력 및 반력으로 선택하여, 요구되는 변속비와 동력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자동차는 드라이버가 체인지 레버의 P-R-N-D-2-L 레인지 중에서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함에 따라, 유압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전진 1속에서 4속까지와 후진 1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에 의해 조작되는 체인지 레버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며, 드라이버가 원하는 레인지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한 체인지 레버는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유압 제어시스템의 매뉴얼 밸브와 연동되므로서, 유압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각 레인지에 적절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종래 공지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체인지 레버(1)는 피벗 포인트(P)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도면의 좌,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체인지 레버(1)에는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그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의 타단은 도시되지 않은 매뉴얼 밸브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체인지 레버와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부위에서는, 체인지 레버의 회전 반경의 차이에 따라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이 소정의 각도만큼 꺽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체인지 레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레인지에서 L 레인지까지 회전되는 동안 꺽임각(θ)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꺽임각의 차이는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작동 노이즈를 초래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체인지 레버와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부위에 회전부를 형성하여 꺽임각의 차이가 흡수되게 하고,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작동 노이즈가 억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의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체인지 레버 1a-힌지
2-체인지 컨트롤 케이블 3-제 1 컨넥트로드
4-제 2 컨넥트로드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체인지 레버와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연결수단이 설치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체인지 레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컨넥트로드와, 그 제 1 컨넥트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이 연결된 제 2 컨넥트로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체인지 레버의 회전 반경 차이에 따른 꺽임각은 제 1 및 제 2 컨넥트로드에 의해 흡수되고, 실제적으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에는 꺽임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체인지 레버를 지칭한다.
체인지 레버(1)는 피벗 포인트(P)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도면의 좌,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체인지 레버(1)는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을 개재하여 도시되지 않은 유압 제어시스템의 매뉴얼 밸브와 연결되고, 드라이버의 조작력을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을 통해 전달하여 매뉴얼 밸브를 조작하므로서, 선택된 위치의 변속 레인지로의 변속을 행하게 된다.
체인지 레버(1)는 프론트 시트의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 커버에 의해 안내되어, 드라이버의 수동 조작에 따라 전,후진 동작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은 체인지 레버(1)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꺽임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연결된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체인지 레버(1)와 일체로 형성된 힌지(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컨넥트로드(3)와, 그 제 1 컨넥트로드(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이 연결된 제 2 컨넥트로드(4)로 구성된다.
제 1 컨넥트로드(3)는 일측 단부에 구멍(3a)이 형성되어 체인지 레버(1)의 힌지(1a)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힌지(3b)가 설치된다.
제 2 컨넥트로드(4)는 일측 단부가 제 1 컨넥트로드(3)의 힌지(3b)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소켓(4a)이 장치되어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들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은 상기한 연결수단의 작용에 의해 꺽임각이 제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이 연결된 제 2 컨넥트로드(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지 레버(1)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드라이버에 의해 조작되는 체인지 레버(1)의 레인지가 변화되며, 그 체인지 레버(1)의 회전 반경의 차이에 따라 꺽임각이 발생되는데, 그 꺽임각의 차이는 제 2 컨넥트로드(4)와 체인지 레버(1)의 힌지(1a)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컨넥트로드(3)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2)은 체인지 레버(1)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지 레버와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수단의 회전 작용에 의해,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꺽임각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과 체인지 레버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되었던 노이즈가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드라이버에 의해 조작되는 체인지 레버와 유압 제어시스템의 매뉴얼 밸브의 사이에 연결되어, 드라이버의 조작력을 전달하므로서 유압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고,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에 있어서,
    체인지 레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컨넥트로드와, 그 제 1 컨넥트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과 연결된 제 2 컨넥트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KR1019970026119A 1997-06-20 1997-06-20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KR10024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19A KR100240708B1 (ko) 1997-06-20 1997-06-20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119A KR100240708B1 (ko) 1997-06-20 1997-06-20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02A KR19990002502A (ko) 1999-01-15
KR100240708B1 true KR100240708B1 (ko) 2000-03-02

Family

ID=1951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119A KR100240708B1 (ko) 1997-06-20 1997-06-20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7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02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8778B2 (ja) 変速機歯車装置
EP0849498B1 (en) Gear train for a 6-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KR100240708B1 (ko) 자동변속기용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연결구조
KR100488706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US5055098A (en)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with mechanism for establishing under-drive speed ratio and bearing structure therefor
US5090950A (en)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with subsidiary transmission unit
KR100368650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0183236B1 (ko) 무단 변속이 가능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20030025122A (ko) 무단변속장치
KR0173992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960007060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두 방향 직선운동 변환장치
KR0136083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10025444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92000957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1축 5속 변속기구
KR200155547Y1 (ko) 유압제어시스템용 레귤레이터 밸브
KR10025658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13162B1 (ko)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20200081744A (ko) 금속소재의 하우징을 갖는 액추에이터
KR100917342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KR0136084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0136081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10021710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42474B1 (ko)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13161B1 (ko)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0173993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