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397Y1 -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397Y1
KR200160397Y1 KR2019950018053U KR19950018053U KR200160397Y1 KR 200160397 Y1 KR200160397 Y1 KR 200160397Y1 KR 2019950018053 U KR2019950018053 U KR 2019950018053U KR 19950018053 U KR19950018053 U KR 19950018053U KR 200160397 Y1 KR200160397 Y1 KR 200160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umper
nut
nut pa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106U (ko
Inventor
장내웅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18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397Y1/ko
Publication of KR970005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Abstract

본 고안은 포그램프(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단에 각각 2개의 너트부가 있는 계단형브라케트(4)의 상단 너트부는 전방보강플레이트(3) 하단의 너트부 및 범퍼레인프(2) 하단의 너트부와 소정의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브라케트(4) 하단의 너트부는 범퍼페쉬어(1)의 너트부 및 포그램프(5)의 너트부와 소정의 볼트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포그램프(5)를 차체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범퍼레인프(2)의 조립과정에서 동시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그램프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페쉬어 2 : 범퍼레이프
3 : 전방보강플레이트 4 : 계단형브라케트
5 : 포그램프
본 고안은 차량의 프런트부에 장착된 포그램프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그램프를 범퍼스테이에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이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포그램프는 차량의 프런트부에 차체와 결합되어 사용되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합방법은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포그램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계단형브라켓이 전면보강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계단형브라켓은 범퍼페쉬어에 제공된 볼트 결합부를 통해 포그램프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그램프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범퍼페쉬어(1)가 도시되어 있으며, 범퍼페쉬어의 내부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폼재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제는 범퍼레인프(2)와 결합되며, 상기 범퍼레인프(2)의 상하단에는 볼트결합부(2')가 용접되어 있다.
전방보강플레이트(3)는 상단부에 2개의 볼트(3')가 용접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2개의 볼트 통과공(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보강플레이트(3) 상단부의 용접된 볼트(3')는 범퍼레이트(2) 상단의 볼트 결합부(2')에 천공된 통공을 통해 끼워져 너트와 체결된다.
스테이상판 및 하판(6,7)은 차체와 범퍼레이트(2)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스태이 상판에 형성된 2개의 용접 너트(6')와 차체에 형성된 2개의 볼트 통과공을 통해 소정의 볼트와 체결되므로써, 차체와 범퍼레이프(2)는 결합이 된다.
한편, 상하단 각각에 2개씩의 볼트(4')와 볼트 통과공이 구비된 볼트 결합부(4")가 설치 및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계단형 형상을 갖는 브라케트(4)의 상단볼트(4')는 전방보강플레이트(3) 하단부의 볼트 통과공(3") 및 범퍼레인프(2) 하단부의 볼트 결합부(2')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끼워져 소정의 너트와 체결되므로써 상기 브라케트(4)는 범퍼레인프(2)와 함께 전방보강플레이트(3) 상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포그램프(5)상에 형성된 볼트 결합편(5')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소정의 볼트(8)와 너트(8')를 통해 계단형브라케트(4)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4")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포그램프(5)는 차체와 직접 결합되지 않고, 범퍼레인프(2)의 조립과정에서 계단형브라케트(4)를 통해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단 각각에 2개씩의 볼트(4')와 볼트 통과공이 구비된 볼트 결합부(4")가 설치 및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브라케트(4)의 상단 볼트(4')는 전방보강플레이트(3)의 하단부에 천공되어 있는 볼트 통과공(3")과 범퍼레인프(2) 하단부의 볼트 결합부(2')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끼워져 소정의 너트와 체결되고, 포그램프(5)상에 형성된 볼트 결합편(5')은 한쌍의 볼트(8)와 너트(8')를 통해 상기한 계단형브라케트(4)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4")상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KR2019950018053U 1995-07-21 1995-07-21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KR200160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53U KR200160397Y1 (ko) 1995-07-21 1995-07-21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53U KR200160397Y1 (ko) 1995-07-21 1995-07-21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06U KR970005106U (ko) 1997-02-19
KR200160397Y1 true KR200160397Y1 (ko) 1999-11-01

Family

ID=1941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053U KR200160397Y1 (ko) 1995-07-21 1995-07-21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106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076A (en) Upp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bodies
JP2000296742A (ja) 脱着式フック取付構造
JP3877347B2 (ja) 自動2輪車のチェーンケース
KR200160397Y1 (ko) 치량용 포그램프의 설치구조
US5269583A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body
KR0124920Y1 (ko) 자동차의 쉽핑 구조물
JPH106887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バンパー構造
JPH04873B2 (ko)
KR200149975Y1 (ko) 사이드 도어 빔 구조물
KR200197884Y1 (ko) 자동차 크로스멤버의 마운팅구조
KR0118541Y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지지대
JPH01306342A (ja) 自動車のリヤバンパ取付け構造
JP2949885B2 (ja) 車体の後部フレーム構造
KR200224111Y1 (ko) 자동차 프레임의 취부구조
KR100197265B1 (ko) 자동차 범퍼 조립구조
KR200149969Y1 (ko) 차량의 사이드 도어 멤버의 보강 구조물
KR0122218Y1 (ko) 버스의 미들 패널
JPS6020755Y2 (ja) 鉄筋定着構造
JPH0417407Y2 (ko)
KR20015076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고정구조
JPH06191276A (ja) 自動車ドアのインパクトバー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0135436Y1 (ko) 상용차의 휀더부 접합구조
KR100299619B1 (ko) 자동차의프론트서브프레임보강구조
JPH0769260A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2000108944A (ja) フェンダー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