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020Y1 -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 Google Patents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020Y1
KR200160020Y1 KR2019960065828U KR19960065828U KR200160020Y1 KR 200160020 Y1 KR200160020 Y1 KR 200160020Y1 KR 2019960065828 U KR2019960065828 U KR 2019960065828U KR 19960065828 U KR19960065828 U KR 19960065828U KR 200160020 Y1 KR200160020 Y1 KR 200160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rod
nozzle
washer nozzle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649U (ko
Inventor
강중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5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0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0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가변의 워셔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워셔 노즐의 워셔액 분사각도를 차속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여 고속주행시에 워셔액의 분사지점이 낮아지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양측에 후드(1)의 힌지브래킷(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힌지핀(3a, 3b)이 형성되고, 전면에 분사노즐(4a, 4b)과 통하는 워셔액 유입구(5)가 형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로드(6)가 형성되며, 차속에 따라 발생되는 여자력으로 로드(6)를 상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로드(6)의 하부에 솔레노이드(7)를 설치한 워셔 노즐본체(8)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각도가변의 워셔 노즐
본 고안은 각도가변의 워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에서는 제1도와 같이 윈드 쉴드 글래스(W) 전면에 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워셔 노즐(N)을 윈드 쉴드 글래스(W)쪽의 후드(H)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있다. 이 워셔 노즐은 워셔 모터가 설치되는 러저버와 호스로 연결하여 워셔 모터를 구동시키면 윈드 쉴드 글래스 전면에 워셔액을 분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워셔 노즐은 분사방향이 항상 일정하고, 그 분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핀 등을 이용하여 노즐 구멍을 움직여 주므로서 가능하지만 이러한 노즐 구멍의 방향조정에 의하여 워셔액의 분사방향을 제대로 잡기란 매우 힘들다. 다시 말해 노즐 구멍을 원하는 방향으로 맞추려면 일단 노즐 구멍을 핀으로 움직인 후 워셔 모터를 작동시켜 분사방향을 확인한 후 일치ㅎ지 않으면 다시 조정해야 하는 등 수차례에 걸쳐 조정한 끝에야 비로서 워셔액의 분사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차량의 주행속도가 다를 경우, 즉 제1도에 나타내는 분사특성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워셔 노즐의 워셔액 분사지점은 B지점에 있지만 차량이 고속주행하게 되면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B지점으로 낮아지는 특성이 있어 유리면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워셔 노즐의 워셔액 분사각도를 차속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여 고속주행시에 워셔액의 분사지점이 낮아지는 특성을 개선하는데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주행속도에 따른 워셔액 분사 특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워셔 노즐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Hood) 2 : 힌지 브래킷
3a, 3b : 힌지핀 4a, 4b : 분사노즐
5 : 워셔액 유입구 6 : 로드
7 : 솔레노이드 8 : 워셔 노즐 본체
9a, 9b : 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양측에 후드(1)의 힌지브래킷(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있는 힌지핀(3a, 3b)이 형성되고, 전면에 분사노즐(4a, 4b)이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 상기 분사노즐(4a, 4b)과 통하는 워셔액 유입구(5)가 형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로드(6)가 형성되며, 차속에 따라 발생되는 여자력으로 상기 로드(6)를 상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로드(6)의 하부에 솔레노이드(7)를 설치한 워셔 노즐 본체(8)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워셔액 유입구(5)와 로드(6)는 힌지핀(3a, 3b)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워셔액 유입구(5)와 로드(6)는 후드(1)에 뚫려진 구멍(9a, 9b)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 상기한 솔레노이드(7)는 차속센서(미도시)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일정 차속 이상이 되면 출력하여 전원을 인기시키는 콘트롤러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콘트롤러는 기존의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유니트에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정 차속 이상, 즉 고속주행 상태가 되면 솔레노이드(7)에 전류가 흘러 여자되므로서, 로드(6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워셔 노즐 본체(8)가 힌지핀(3a, 3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a에서 b방향으로 각도변환된다.
이렇게 되면 워셔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시에 제1도와 같이 A영역으로 분사되려던 워셔액이 B영역으로 분사된다. 차속이 낮아지면 솔레노이드(7)에 공급되던 전류가 끊겨 워셔 노즐 본체(8)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워셔 노즐의 워셔액 분사각도를 차속에 따라 가변시켜 고속주행시에 워셔액의 분사지점을 높여 주므로서 정상적인 고속주행시에도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분사성능을 발휘하게 되며, 자동으로 각도조절되므로 수동에 의한 분사 노즐의 각도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2)

  1. 양측에 후드의 힌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힌지핀이 형성되고, 전면에 분사노즐이 형성되며, 하부의 중앙에 상기 분사노즐과 통하는 워셔액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의 전방에는 로드가 형성되며, 차속에 따라 발생되는 여자력으로 상기 로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로드의 하부에 솔레노이드를 설치한 워셔 노즐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변의 워셔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입구와 로드는 힌지핀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워셔액 유입구와 로드는 후드에 뚫려진 구멍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변의 워셔 노즐.
KR2019960065828U 1996-12-31 1996-12-31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KR200160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28U KR200160020Y1 (ko) 1996-12-31 1996-12-31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28U KR200160020Y1 (ko) 1996-12-31 1996-12-31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49U KR19980052649U (ko) 1998-10-07
KR200160020Y1 true KR200160020Y1 (ko) 1999-11-01

Family

ID=1948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828U KR200160020Y1 (ko) 1996-12-31 1996-12-31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0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49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37605A (ja) 車両用ワイパウォッシャ制御装置及び車両用ワイパウォッシャ装置
KR100208591B1 (ko) 차량의 와셔액 분사장치
JPH10305758A (ja) ウィンドワッシャー装置
KR100217093B1 (ko) 차량용 와셔 노즐 작동장치
KR200160020Y1 (ko) 각도 가변의 워셔 노즐
JP2007015450A (ja) 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JPS62175242A (ja) 自動車のウオツシヤ装置
KR19980041388A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각 조절장치
KR100375384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노즐 구조
KR100482504B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의 빗물 차단장치
KR19980017298A (ko) 차속 감응형 와셔액 분사장치
JPH01237243A (ja) 車両の可動カウルカバー
KR200153384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9980026952A (ko) 워셔액 분사노즐 각도 조절장치
KR0128710B1 (ko) 차속감응형 세정액 분사장치
KR100508266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셔 노즐
KR0112389Y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200149669Y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KR200144326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와셔의 노즐 분사각 가변장치
KR100410490B1 (ko) 차량의 가변 레인 거터장치
KR19980049967U (ko) 엔진 진공압을 이용한 에어 가이드
JPH09156471A (ja) 車両のリアワイパ格納装置
KR200339187Y1 (ko) 자동차용 에어분사장치
KR20040013844A (ko) 자동차용 워셔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9980049334U (ko) 와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