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60Y1 -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60Y1
KR200158960Y1 KR2019960043867U KR19960043867U KR200158960Y1 KR 200158960 Y1 KR200158960 Y1 KR 200158960Y1 KR 2019960043867 U KR2019960043867 U KR 2019960043867U KR 19960043867 U KR19960043867 U KR 19960043867U KR 200158960 Y1 KR200158960 Y1 KR 200158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shoe
parking
li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724U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16D2125/62Fixing arrangements therefor, e.g. cable end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차륜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부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슈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장치인 드럼 브레이크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파킹 레버 바(447)가 힌지 결합되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몸체부 상부에 증설부(449)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파킹 레버 바(447)와 힌지핀으로 핑거부(444)가 직교하게 결합되는 메인 링크(443)의 상단부를 결합하고, 이 메인 링크(443)의 상하부에 수평상으로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일단부를 결합하되, 타단부는 리딩 브레이크 슈(441)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와 리딩 브레이크 슈(441)의 사이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리턴 스프링(450)을 연설하여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륜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 부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슈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장치인 드럼 브레이크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시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가 작동함에 따라 동시에 리딩 브레이크 슈가 작동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슈가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의 안쪽을 압착하도록 하여서 브레이크 슈의 마찰 부재가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 장치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거나 또는 정지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것은 주행중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 장치에 의해서 열 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브레이크 기구의 개발, 마찰 재료 등의 성능 향상 등으로 초기의 브레이크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고성능의 브레이크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마찰 브레이크 이외의 브레이크도 보조 브레이크로서 개발되어 주 브레이크의 작용을 보완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경감하기 위해서 제동 배력 장치가 사용되며, 한편 제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안정성이 높고, 운전자의 피로가 적은 이상적인 브레이크에 접근하고 있다.
그리고, 최고 속도와 자동차 중량에 대하여 충분한 제동 작용을 하여야 하고, 신뢰성 및 내구성이 커야 하며, 작동이 확실하여야 한다.
도 1 에는 일반적인 브레이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자동차의 전방 차륜에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후방 차륜에는 드럼 브레이크(40)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드럼 브레이크(40)는 차륜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42)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슈(44)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슈(44)를 확장하여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을 누르는 것을 작은 휠 실린더(46)로써, 이 휠 실린더(46)는 유압에 의해 움직여진다.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40)는 디스크 브레이크 보다 열에 대하여 약한 성질이 있지만, 제동력의 크기에 있어서는 드럼 브레이크(40)가 더 낫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는 차륜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 로터(30)에 마찰재인 라이닝을 부착한 브레이크 슈로 양쪽으로부터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디스크 로터(30)를 강하게 압박하는 브레이크 슈는 캘리퍼 하우징내의 피스톤에 의하여 누르는데 브레이크 슈와 피스톤을 수용하고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 부품을 캘리퍼(32)라고 한다. 한 개의 차륜마다 두 개의 피스톤을 가지고 있어 양쪽으로부터 디스크 로터(30)를 압박하는 타입을 대향 피스톤형이라 하며, 피스톤이 하나밖에 없어 반대편의 브레이크 슈를 그 반력으로 디스크 로터(30)를 압박하는 것을 부동 캘리퍼형이라 한다. 그리고 디스크 로터(30)의 마찰면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냉각이 양호하고, 고온이 되어도 드럼 브레이크(40) 처럼 제동력이 떨어지거나 또는 페달(10) 반응이 변하는 일이 없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 및 드럼 브레이크(40)는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크라 하고 있으며,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그 작용은 첫째로,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음으로써 밟는 힘의 3∼5배의 힘으로 마스터 실린더(20)(브레이크 액 탱크(24) 및 마스터 백(22) 포함)를 눌러 유압을 발생시킨다. 둘째로, 마스터 실린더(20)에서 발생한 유압은 브레이크 라인(12)을 통해 캘리퍼(32)나 휠 실린더(46)에 전달된다. 셋째로, 전달된 유압은 캘리퍼(32)나 휠 실린더(46)에 있는 피스톤을 누르고 피스톤은 각각의 브레이크 슈를 디스크 로터(30) 또는 드럼(42)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는 자동차를 장시간 정차시켜 둘 때에 사용하는 브레이크로서, 상시 사용하는 브레이크 페달(10)과는 독립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수동식이 많으므로 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하며, 긴급한 경우에도 사용하므로 이머전시 브레이크라고도 한다. 브레이크 페달(10)은 유압으로 전1W후 차륜을 제동하지만 파킹 브레이크는 후륜에만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와 연동하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을 연결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40)는 도 1 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을 압착하는 브레이크 슈(44)는 리딩 브레이크 슈,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를 조합하여 브레이크 작동이 안정되어 있으며, 휠 실린더(46)의 작동도 안정되어 있는 장점은 있으나,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의 당김시 파킹 케이블(52)에 의해 연동하는 파킹 레버 바(도시하지 않음)가 브레이크 슈(44)중 트레일링 슈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을 압착하여 정차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리딩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가 마모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균일하게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을 압착을 하여야 하는 브레이크 슈(44)가 편마모되어 제동 성능이 저하되어 안전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시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가 작동함에 따라 동시에 리딩 브레이크 슈가 작동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슈가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의 안쪽을 압착하도록 하여서 브레이크 슈의 마찰 부재가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킹 레버 바가 힌지 결합되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의 몸체부 상부에 증설부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파킹 레버 바와 힌지핀으로 핑거부가 직교하게 결합되는 메인 링크의 상단부가 근접하게 설치되고, 이 메인 링크의 상하부에 수평상으로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일단부를 결합하되, 타단부는 리딩 브레이크 슈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와 리딩 브레이크 슈의 사이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리턴 스프링을 연설하여서 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계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일측면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페달 (20) : 마스터 실린더
(40) : 드럼 브레이크 (42) : 브레이크 드럼
(44) : 브레이크 슈 (46) : 휠 실린더
(441) : 리딩 브레이크 슈 (442) :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
(443) : 메인 링크 (444) : 핑거부
(445) : 제 1 링크 (446) : 제 2 링크
(447) : 파킹 레버 바 (448) : 힌지
(449) : 증설부 (450) : 리턴 스프링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드럼 브레이크(40)의 브레이크 드럼(42) 안쪽면을 압착하는 브레이크 슈(44)인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증설부(449)에 상단부가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파킹 레버 바(447)와 결합되는 핑거부(444) 중단부에 수평상으로 직교하게 형성되는 메인 링크(443)와, 이 메인 링크(44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부는 리딩 브레이크 슈(441)의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링크(445,446) 및 상기 리딩 브레이크 슈(441)와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 사이의 상하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한 쌍의 리턴 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중단부에는 수직방향을 구비하는 파킹 레버 바(447)가 힌지(448)결합되고, 이 파킹 레버 바(447)는 다시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와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로 연결되며,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의 당김 동작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과 연동 하여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을 압착하게 되어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파킹 레버 바(447)가 힌지결합되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몸체부 상부에는 일정한 거리 및 크기를 갖는 증설부(449)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링크(443)는 상기 파킹 레버 바(447)와 힌지결합되는 핑거부(444)가 직교하게 일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증설부(449)에 상단부가 힌지핀으로 결합되며, 하단부는 공간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메인 링크(443)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몸체부 선단부에서 수직상으로 위치하게 결합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수평상으로 각각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가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이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일단부는 각각 리딩 브레이크 슈(441)의 몸체에 힌지핀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상하부로는 각각 리턴 스프링(450)이 놓이게 되는데, 이 리턴 스프링(450)의 각 단부는 각각 리딩 브레이크 슈(441)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에 연결되어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자동차의 정차시 또는 주차시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의 당김 동작으로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과 연동 하는 파킹 레버 바(447)가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면을 압착하여 제동력을 유지하게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킹 레버 바(447)가 힌지 결합되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몸체부 상부에 증설부(449)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파킹 레버 바(447)와 힌지핀으로 핑거부(444)가 직교하게 결합되는 메인 링크(443)의 상단부가 근접하게 위치되고, 이 메인 링크(443)의 상하부에 수평상으로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일단부를 결합하되, 타단부는 리딩 브레이크 슈(441)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와 리딩 브레이크 슈(441)의 사이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리턴 스프링(450)을 연설하여서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46)은 휠 실린더이다.
그러면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파킹 브레이크 레버(50)를 당기면 파킹 레버 바(447)의 하단부가 리딩 브레이크 슈(447)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가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면을 압착하게 됨과 동시에 핑거부(444)가 전진함에 따라 메인 링크(443)가 리딩 브레이크 슈(447)의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어 이 메인 링크(443)의 상하부에 직교하게 연설된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가 전진함에 따라 이 리딩 브레이크 슈(441)가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면을 동시에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상부의 리턴 스프링(450)은 복원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인장되어 놓이게 된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의 해제시에는 당겨져있던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이 느슨해짐과 동시에 파킹 레버 바(447)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가 원상 복귀됨과 동시에 리턴 스프링(450)이 복원되어 리딩 브레이크 슈(441) 역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어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의 작동시마다 한 쌍의 브레이크 슈(44)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이 브레이크 슈(44)에 일체로 결합되어진 마찰 부재가 편중되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동 성능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정차시 또는 주차시 파킹 브레이크 레버(50)의 당김 동작으로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2)과 연동 하는 파킹 레버 바(447)가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드럼(42)의 안쪽면을 압착하여 제동력을 유지하게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킹 레버 바(447)가 힌지 결합되는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의 몸체부 상부에 증설부(449)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파킹 레버 바(447)와 힌지핀으로 핑거부(444)가 직교하게 결합되는 메인 링크(443)의 상단부 전면부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이 메인 링크(443)의 상하부에 수평상으로 제 1 링크(445) 및 제 2 링크(446)의 일단부를 결합하되, 타단부는 리딩 브레이크 슈(441)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42)와 리딩 브레이크 슈(441)의 사이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리턴 스프링(450)을 연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2019960043867U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200158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867U KR200158960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867U KR200158960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24U KR19980030724U (ko) 1998-08-17
KR200158960Y1 true KR200158960Y1 (ko) 1999-10-15

Family

ID=1947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867U KR200158960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24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5250A (en) Spot-type disc brake
KR200158960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0185896B1 (ko) 자동차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254992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29093U (ko) 자동차용 파킹 레버 장치
KR19990019603A (ko)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51361B1 (ko) 자동차의 드럼식 브레이크
KR200148852Y1 (ko) 앞바퀴 구동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694014B1 (ko) 차량용 디스크블레이크의 패드리턴스프링
KR100193667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보호 장치
KR10022042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크 보조장치
KR100192262B1 (ko) 페달과 부스터 병렬배치형 브레이크의 부스터 작동장치
KR0183122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주차장치
KR10041895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45059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구조
KR200179254Y1 (ko) 마스터실린더 피스톤과 푸시로드의 연결구조
KR0185895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보호 장치
KR19980074843A (ko) 주차 브레이크 내장형 디스크 브레이크의 유압 피스톤 구조
KR19980032777U (ko) 자동차의 드럼식 브레이크
KR19980039898A (ko) 캠 샤프트를 이용한 슬라이딩 캘리퍼의 주차 브레이크구조
KR20090064148A (ko) 단일 모터 타입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16455U (ko) 볼을 이용한 휠 브레이크장치
KR19980038374U (ko) 캘리퍼용 실린더 커버
KR19990030543U (ko) 차량 제동장치의 캘리퍼 롤백장치
KR19990029745U (ko) 심의 형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