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00Y1 -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00Y1
KR200158900Y1 KR2019960019981U KR19960019981U KR200158900Y1 KR 200158900 Y1 KR200158900 Y1 KR 200158900Y1 KR 2019960019981 U KR2019960019981 U KR 2019960019981U KR 19960019981 U KR19960019981 U KR 19960019981U KR 200158900 Y1 KR200158900 Y1 KR 200158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nitor
coupled
ang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000U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19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00Y1/ko
Publication of KR980010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카메라의 각도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모니터 상에 부착됨으로 통화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본 고안은 모니터(10)의 상부에 카메라를 설치함에 있어 힌지(20)가 축받이(26)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힌지(20)를 중심으로 카메라케이스(12)의 각도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하고, 카메라케이스(12)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돌기(22)가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홈(24)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그 각도가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은 카메라의 렌즈의 각도를 통화자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를 통한 화상 통화시 매우 유용하게 채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의 모니터에 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A구역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니터 12: 카메라케이스
14 : 받침판 16: 렌즈
18 : 안착부 20 : 힌지
22 : 고정돌기 24 : 고정홈
30 : 스프링 28 : 결합홈
본 고안은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모니터를 이용한 통신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화상통화 즉, 모니터의 모니터를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통화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모니터에 설치되고 있다. 카메라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의 얼굴을 촬영하여 컴퓨터 속에 내장된 데이터 변환 및 송신장치를 통해 자신의 얼굴을 전송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카메라는 모니터의 상단에 주로 설치되게 된다.
모니터에 종래의 카메라가 결합된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래의 모니터에 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모니터(10)의 상부에 카메라(12)가 올려져 있다. 카메라(12)의 저면에는 받침대(14)가 부착되어 있다. 아울러, 받침판(14)은 카메라(12)가 모니터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양면 테이프로 모니터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12)가 부착된 모니터(10)는 카메라(12)에 찍힌 영상을 내부에 내장된 회로 등을 통해 화상으로 상대방의 모니터(10)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나 모니터에 부착된 카메라는 받침판에 의해 고정되어 카메라의 렌즈각도를 통화자가 위치하게 되는 통상의 자세에 맞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적으로 신장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카메라의 렌즈가 사용자의 얼굴을 적절히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통화자는 카메라의 렌즈에 자신의 얼굴이 찍혀지도록 얼굴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른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렌즈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는 평면을 일정구간 절결하여 안착부를 구성하고, 그 안착부의 양측벽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의 축받이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모니터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는 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렌즈를 갖는 카메라케이스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모니터에 결합된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참조번호 10은 모니터이고, 12는 카메라렌즈가 내장된 케이스이다.
카메라케이스(12)는 그 저면이 전술한 안착부(18)와 대응되는 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전면에는 렌즈(16)가 결합되어 있다. 렌즈(16)는 컴퓨터 본체에 내장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2)의 양측면에는 각각의 힌지(2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저면에는 고정홈(24)에 단부가 위치되는 고정돌기(2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돌기(22)는 케이스(12)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28)속에 삽입된 스프링(30)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모니터(10)는 상면에 일정공간이 절결된 안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18)의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한쌍의 축받이(2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결합된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및 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케이스(12)는 모니터(1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8)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카메라케이스(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20)가 축받이(26)에 결합되게 됨으로 카메라케이스(12)는 힌지(2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의 저면에 부착된 고정돌기(22)가 탄력적으로 특정되지 않은 어느 한 고정홈(24)에 삽입되게 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0)의 안착부(18) 바닥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착부(18)에 결합된 카메라케이스(12)의 저면은 안착부(18)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그 회전이 자유롭다.
이때, 카메라케이스(12)를 힌지를 중심으로 앞쪽의 평면을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힌지(20)가 회전축이 되어 카메라케이스(12)가 회전되고, 고정돌기(22)가 특정의 고정홈(24)에서 이웃한 다른 고정홈(24)로 이동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카메라의 렌즈(16)는 하향하게 된다. 반대로 힌지(20)를 중심으로 케이스의 뒤쪽을 누르면 고정돌기(22)가 앞쪽으로 고정홈(24)속으로 이동되어 삽입고정됨으로 카메라 렌즈(16)는 상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케이스(12)를 누를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렌즈(16)를 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의 신체적 조건의 차이에 맞게 카메라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가 통화자의 얼굴을 정확히 찍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평면을 절결하여 안착부(18)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18)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축받이(26)를 형성하고, 안착부(18)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24)을 갖는 모니터(10)와, 상기 안착부(18)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상기 축받이(26)에 결합되는 힌지(20)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24)에 요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 카메라의 렌즈(16)를 갖는 카메라케이스(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8)의 상면 곡률반경과 카메라케이스(12) 저면의 곡률반경이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KR2019960019981U 1996-07-04 1996-07-04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KR200158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81U KR200158900Y1 (ko) 1996-07-04 1996-07-04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81U KR200158900Y1 (ko) 1996-07-04 1996-07-04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00U KR980010000U (ko) 1998-04-30
KR200158900Y1 true KR200158900Y1 (ko) 1999-10-15

Family

ID=1946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981U KR200158900Y1 (ko) 1996-07-04 1996-07-04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00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151B2 (en) Ca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to receive auxiliary optical devices
US20120013584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Tilt Camera Assembly
KR1005595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KR200158900Y1 (ko)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JPH07264565A (ja) レンズのチルト機構付ビデオ・テレビ会議システム
KR200154872Y1 (ko) 컴퓨터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US9565781B2 (en) Holding apparatus that holds electronic apparatus
KR200154871Y1 (ko) 컴퓨터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100689977B1 (ko) 멀티스텝 카메라모듈
JP3192314B2 (ja) ドアホン玄関子機
JPH10191137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およ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00011141U (ko) 모니터의 화상카메라 장착구조
KR100243998B1 (ko) 노트북 컴퓨터의 화상통화용 카메라
JPH0338718Y2 (ko)
KR930008234Y1 (ko)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JPH1093937A (ja) カメラユニット装置
KR970003343Y1 (ko) 카메라와일체형으로형성된각도조절기
KR200224779Y1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JPH09205626A (ja) 対面型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ビデオカメラ
KR20010010317A (ko) 카메라의 정점운대
KR20000014633U (ko) 노트북컴퓨터용 화상카메라
JP2604549Y2 (ja) カメラ装置
JPH0423231Y2 (ko)
JP2023150625A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930007742Y1 (ko) 지지대가 설치된 캠코더의 뷰 파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