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34Y1 -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34Y1
KR930008234Y1 KR2019900013728U KR900013728U KR930008234Y1 KR 930008234 Y1 KR930008234 Y1 KR 930008234Y1 KR 2019900013728 U KR2019900013728 U KR 2019900013728U KR 900013728 U KR900013728 U KR 900013728U KR 930008234 Y1 KR930008234 Y1 KR 930008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urved surface
angle adjusting
ang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293U (ko
Inventor
방의석
Original Assignee
한국통신 주식회사
방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통신 주식회사, 방의석 filed Critical 한국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234Y1/ko
Publication of KR9200072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2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제 1 도는 비디오폰의 사시도.
제 2 도는 비디오폰의 A-A'선 종단면도.
제 3 도는 비디오폰의 B-B'선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후방케이스
3 : 전방케이스 4 : 전방케이스의 돌출부
5 : 회동체 6 : 각도 조절판
7,11 : 각도조절돌기 8,12 : 케이스
9 : 체결부재 10 : 비디오카메라회로부
13 : 회동축 16 : 전방케이스의 개구부
17 : 체결부재의 프레임 18 : 회동체 외측곡면
21 : 회동기판 22 : 요홈부
23 : 회동체의 측면
본 고안은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카메라의 각도를 푸시(push) 방식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각의 조절방향에 따라서 각도조절 받침대를 부착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착탈식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각도조절장치(실용신안출원 제90-3106호) 및 비디오폰용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실용신안출원 제90-7078호)를 개량 고안한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출원한 각도조절장치 및 비디오폰용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는 작용효과가 뛰어나나, 구조가 복잡하고 기계식 튜닝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정확한 튜닝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은 정확하나 그의 조정폭이 작기 때문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서 카메라 조정틀을 부착해야 한다는 불편함등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카메라의 각도조절을 푸시방식으로 보다 더 편리하고 정면 또는 측면에서 정확하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케이스만 개방시키고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여 전술한 제반문제점을 해결시키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는, 후방케이스 및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카메라의 입사광을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통상의 광전변환회로가 설치되고 각도조절판에 부착된 회로기판에 카메라 렌즈 조립체를 부착하여 형성된 비디오 카메라 회로부와, 구(球)형의 양측을 평행하게 잘라 형성된 양측면 및 나머지 구형외측곡면을 가짐과 동시 상기 양측면을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조립체가 압압고정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회동체와, 상기 전방케이스의 돌출부내에 부착고정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내에 형성되고, 삽입되는 회동체의 외측곡면과 서로 접하여서 좌우 및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내측곡면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내측곡면의 상하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삽입지지되게 상기 외측곡면상에 형성된 한쌍의 회동측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일측에서 잔방케이스의 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좌우방향 각도 조절돌기와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돌기를 사용하여 비디오카메라의 각도의 각도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되도록한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비디오폰(1)의 케이스는 후방케이스(2)와 전방에 유리덮개를 씌워진 개구부(16)가 형성된 돌출부(4)를 가진 전방케이스(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3)의 돌출부(4)에는 프레임(17)이 볼트(14)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17)과 일체로 후술하는 회동체(5)의 왜측곡면(18)이 서로 접하여서 좌우 및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내측곡면(19)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7) 및 내측곡면(19)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7) 및 내측곡면(19)을 가지는 공간부는 체결부재(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의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통상의 광전변환회로(도시생략)가 설치된 비디오카메라 회로부(10)의 회로기판(2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로기판(21)에는 렌즈조립체(20)가 부착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로기판(21)은 각도조절판(6)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각도조절판(6)의 외측방에는 전방케이스(3)의 측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좌우방향 각도조절기(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球)형의 양측을 평행하게 잘라 형성된 2개의 측면(23) 및 나머지 구형외측곡면(18)을 가짐과 동시 상기 2개의 측면(2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회동체(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20)가 압입되어 고정되게 상기 비디오카메라회로부(10)가 상기 회동체(5)에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동체(5)의 외측곡면(18)에는 상기 체결부재(9)의 상하 방향에 형성된 요홈(22,2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2개의 회동축(13,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곡면(18)과 내측곡면(19)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당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3)의 하나에는 전방케이스 개구부(16)로 구브러져 연장되는 상하 방향 카메라 각도조절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설명부호(8)은 전방케이스(3)에 설치된 상기 좌우방향 각도조절돌기(7)의 케이스이고, 12는 전방케이스(3)의 전면에 설치된 상하방향 각도조절기(11)의 케이스이며 15는 이케이스(1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광전변환회로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는 통상의 플렉시블 인출선을 사용하여 후단의 비디폰의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비디오폰 카메라는 통상 대문이나 담장에 부착되어 있으며, 비디오폰의 카메라를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카메라 자체를 좌우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조절함이 없이 카메라 렌즈 조립체(20)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 회로부(10)의 각도조절판(6)만을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 비디오폰의 전방케이스(3)의 개구부(16)에 대하여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즉, 비디오폰의 카메라를 좌우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8)를 개방하여 상기 각도조절판(6)과 같이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20)가 압입고정된 회동체(5)의 외측곡면(18)이 상기 체결부재(9)의 내측곡면(19)에 당접하여서 카메라 렌즈 조립체(20)의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경사지도록(약 15°)회동하고, 푸시를 중지하면 렌즈조립체(20)의 렌즈가 좌우방향으로 경사지도록(약 15°)회동하고, 푸시를 중지하면 그 위치에서 상기 외측곡면(18)과 내측곡면(19)이 당접되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와 화면이 일치되게 각도조절기(7,11)를 눌러 카메라의 렌즈각도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카메라 자체를 조정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 조절폭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카메라의 조정돌을 설치할 필요없이 케이스로 연장되게 설치된 조절돌기(7,11)만을 손으로 이동시켜 카메라 렌즈 조립체(20)을 이동시켜 조정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각도 조절을 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5) 및 카메라 각도조절판(6)에 각도조절기(7,11)를 부착하기 때문에 그의 제작도 극히 용이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방케이스(2) 및 전방 개구부(16)를 가지는 돌출부(14)가 형성된 전방케이스(3)와, 카메라의 입사광을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통상의 광전변환회로가 설치되고 각도조절판(6)에 부착된 회로기판(21)에 카메라 렌즈조립체(20)를 부착하여 형성된 비디오 카메라 회로부(10)와, 구(球)형의 양측을 평행하게 잘라 형성된 양측면(23) 및 나머지 구형외측곡면(18)을 가짐과 동시 상기 양측면(23)을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조립체(20)가 압입고정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회동체(5)와, 상기 전방케이스(3)의 돌출부(4)내에 부착고정되는 프레임(17)과 이 프레임내에 형성되고, 삽입되는 회동체(5)의 외측곡면(18)과 서로 당접하여서, 좌우 및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내측곡면(19)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된 체결부재(9)와, 상기 내측곡면(19)의 상하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요홈부(22)와, 상기 요홈부(22)에 삽입지지되게 상기 외측곡면(18)상에 형성된 한쌍의 회동축(13)과, 상기 한쌍의 회동축(13)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전방케이스(3)의 개구부(16)를 향하여 구부러저 연장되게 형성된 상하방향 각도 조절돌기(17)와, 상기 각도조절판(6)의 일측에서 정방케이스(3)의 측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좌우방향 각도 조절돌기(7)와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돌기(7,11)를 사용하여 비디오카메라의 각도가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되도록한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2019900013728U 1990-09-03 1990-09-03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930008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728U KR930008234Y1 (ko) 1990-09-03 1990-09-03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728U KR930008234Y1 (ko) 1990-09-03 1990-09-03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293U KR920007293U (ko) 1992-04-22
KR930008234Y1 true KR930008234Y1 (ko) 1993-12-13

Family

ID=193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728U KR930008234Y1 (ko) 1990-09-03 1990-09-03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2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32B1 (ko) * 2006-09-18 2008-03-20 (주)파도시스템 도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32B1 (ko) * 2006-09-18 2008-03-20 (주)파도시스템 도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293U (ko) 199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29134A5 (ko)
WO2020063022A1 (zh) 一种可转动智能手表
KR930008234Y1 (ko) 비디오폰의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WO1995034988A3 (en) Miniature cameras
GB8331040D0 (en) Combined hinge and electric switch assembly
JP2639217B2 (ja) 光電スイッチおよび光電スイッチ本体ケースカバーの保持構造
JP3192314B2 (ja) ドアホン玄関子機
JP2001329625A (ja) 床用目地装置
KR880001054Y1 (ko) Crt 터미날의 화면경사 조정장치
GB2366929A (en) Surveillance camera with rotating lens
KR200158900Y1 (ko) 모니터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JP2536067Y2 (ja) 天窓付設物の取付装置
KR0126051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KR19980022150U (ko) 컴퓨터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100227043B1 (ko) 가시영역조절이 자유로운 도어용 비디오폰 카메라
JPH0338718Y2 (ko)
KR200154211Y1 (ko)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930000353Y1 (ko) 비디오 인터폰용 카메라의 c.c.d렌즈 화각 조절장치
JPH0130544Y2 (ko)
JPS6344520Y2 (ko)
JPH0725619Y2 (ja) 測量機
JP2528939Y2 (ja) 網 戸
KR860001066Y1 (ko) 경사 각도 조절 받침대
JPH0327674Y2 (ko)
JPH0315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