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317A - 카메라의 정점운대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정점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317A
KR20010010317A KR1019990029127A KR19990029127A KR20010010317A KR 20010010317 A KR20010010317 A KR 20010010317A KR 1019990029127 A KR1019990029127 A KR 1019990029127A KR 19990029127 A KR19990029127 A KR 19990029127A KR 20010010317 A KR20010010317 A KR 2001001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le
shoe
tilt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복
Original Assignee
정휘복
주식회사 녹산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복, 주식회사 녹산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정휘복
Priority to KR101999002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0317A/ko
Publication of KR2001001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정점운대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삼각대에 고정되는 정점운대를 설치시 어떤종류의 카메라를 장착해도 가로 세로의 렌즈 중심이 변하지 않고 일치될 수 있는 카메라의 정점운대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삼각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정점운대는 니은자형상의 앵글보디와, 상기 앵글보디는 수직방향인 상,하측에 나사구멍과 수평방향인 중앙에 일측이 개구진 원형홀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홀에는 삼각대에 고정하는 세팅베이스를 설치하며, 상기 앵글보디와 연결되는 틸트와, 상기 틸트의 상측에는 힌지부를 이루고 중앙은 홀과 하측에는 반원형의 가이드홀을 형성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나사구멍에 고정볼트로 틸트의 홀을 통하여 고정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하측 나사구멍에 틸트의 가이드홀을 통하여 로크핸들을 조립하며,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퀵슈와, 상기 퀵슈에는 상,하부에 카메라와 고정되는 로크슈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이룬 외측에 로크핸들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카메라를 삼각대에 설치시 가로 세로의 렌즈 중심이 동일하도록 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

Description

카메라의 정점운대{ONE POINT HEAD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정점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카메라를 전,후로 이동시키며 가로구도에서 세로구도로 전환시 렌즈 중심이 변하지 않도록 삼각대에 설치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메라 삼각대의 상부에 조립된 삼각대 운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삼각대운대에 형성된 카메라 세팅볼트에 카메라의 하단에 형성된 삼각대고정구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삼각대운대는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카메라가 가로구도에서 카메라운대를 세로구도로 전환시 카메라의 중심 위치가 틀려져 삼각대를 옮기고 새로이 구도를 잡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삼각대 운대는 카메라가 가로구도 상태로 장착된 상태로 촬영을 하고 나서 동일한 중심상태인 세로구도로 전환시 카메라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새로이 삼각대를 옮기고 조정레버를 모두 움직여서 새로이 구도를 세로상태로 중심을 맞추고 촬영을 하여야 함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의 가로구도와 세로구도를 맞추는데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삼각대에 정점운대를 설치시 어떤종류의 카메라를 장착해도 가로 세로의 렌즈 중심이 변하지 않고 일치될 수 있는 카메라의 정점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삼각대에 정점운대를 설치하고 정점운대에 카메라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 렌즈의 가로 세로의 구도를 맞출 수 있는 점점운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정점운대는 니은자형상의 앵글보디와, 상기 앵글보디의 외측에 전,후로 회전되게 수직방향으로 틸트를 설치하며, 상기 틸트에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퀵슈를 설치하고, 상기 앵글보디는 수직방향인 상측과 하측에 나사구멍을 이루고 수평방향인 중앙에 일측으로 개구진 베이스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홀에는 삼각대와 고정하는 세팅베이스를 고정하고, 상기 틸트는 상측에 힌지부를 이루며, 중앙에 홀과 하측에 반원형의 가이드홀을 형성하며, 상기 퀵슈는 일측에 힌지부와, 상하부에는 카메라와 고정되는 로크슈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리브와, 외측 중앙에 노브홀과, 상기 노브홀과 이격된 위치에 샤프트홀을 형성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상측 나사구멍에는 틸트볼트로 틸트의 홀을 통하여 조립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하측 나사구멍에는 틸트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하여 로크핸들을 조립하고, 상기 틸트의 힌지부와 퀵슈의 힌지부를 힌지핀으로 연결하며, 노브홀에는 스프링과 노브를 설치하고, 샤프트홀에는 샤프트볼트를 이용하여 로크핸들을 설치하며, 상기 퀵슈의 안착홈에는 카메라에 고정되는 로크슈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정점운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정점운대가 조립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정점운대에 카메라가 가로로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정점운대에 카메라가 세로로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정점운대 11:앵글보디
12:틸트 13:퀵슈
14:세팅베이스 15:로크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정점운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카메라 정점운대의 조립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점운대에 카메라가 가로로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4는 정점운대에 카메라가 세로로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삼각대의 로크볼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는 정점운대(10)는 니은자형상의 앵글보디(11)와, 상기 앵글보디(11)의 외측에 전,후로 회전되게 수직방향으로 틸트(12)를 설치하며, 상기 틸트(12)에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퀵슈(13)를 설치한다. 상기 앵글보디(11)는 수직방향인 상측과 하측에 나사구멍(11a,11b)을 이루고 수평방향인 중앙에 일측으로 개구진 베이스 고정홀(11c)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홀(11c)에는 삼각대와 고정하는 세팅베이스(14)를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세팅베이스(14)는 하측에 베이스를 상측에서 베이스 볼트로 고정시킨다. 상기 틸트(12)는 상측에 힌지부(12a)를 이루며, 중앙에 홀(12b)과 하측에 반원형의 가이드홀(12c)을 형성한다. 상기 퀵슈(13)는 일측에 힌지부(13a)와, 상하부에는 카메라와 고정되는 로크슈(15)를 안착시키는 안착부(13b)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13b)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리브(13c)와, 외측 중앙에 노브홀(13d)과, 상기 노브홀(13d)과 이격된 위치에 샤프트홀(13e)을 형성한다.
상기 앵글보디(11)의 상측 나사구멍(11a)에는 틸트볼트(16)로 틸트(12)의 홀(12b)을 통하여 조립하며, 상기 앵글보디(11)의 하측 나사구멍(11b)에는 틸트(12)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2c)을 통하여 고정핸들(17)을 조립한다. 상기 틸트(12)의 힌지부(12a)와 퀵슈(13)의 힌지부(13a)를 힌지핀(18)으로 연결하며, 상기 퀵슈(13)의 노브홀(13d)에는 스프링(19)과 노브(20)를 설치하고, 샤프트홀(13e)에는 샤프트볼트(21)를 이용하여 상,하부에 토션스프링(23)과 로크핸들(22)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퀵슈(13)의 안착부(13b)에는 카메라에 고정되는 로크슈(15)가 안착되도록 카메라의 정점운대를 구성한다. 상기 퀵슈(13)의 상,하부에 형성된 안착부(13b)에는 카메라의 고정구에 고정되는 로크슈(15)가 안착되어 가이드리브(13c)에 가이드되며, 로크핸들(22)에 의해 로크슈(15)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노브(20)는 스프링(1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로크슈(15)는 슈의 상부에 장공(15a)과, 상기 장공(15a)에 세팅볼트(15b)를 설치하되, 상기 세팅볼트(15b)의 상측에는 스톱퍼링과 이링이 끼워지고 하측에는 이링과 판스프링과 핸들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점운대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삼각대의 로크볼트(도시하지 않음) 앵글보디(11)에 설치된 세팅베이스(14)를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로크슈(15)의 세팅볼트(15b)를 핸들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구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후 도 3과 같이 정점운대(10)의 퀵슈(1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3b)에 카메라에 고정된 로크슈(15)를 안착시키면 상기 로크슈(15)의 외측은 가이드리브(13c) 내측면에 가이드되며, 이때 로크슈(15)가 노브홀(13d)에 설치된 노브(20)를 누르게 되므로 외측에 있는 로크핸들(22)이 샤프트볼트(21)에 설치된 토션스프링(23)력에 의해 회전되며 로크슈(15)와 밀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로크핸들(22)을 더 회전시켜 로크슈(15)를 안착부(13b)측으로 밀착되게 하여 로크슈(15)는 로크핸들(22)에 의해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의 렌즈위치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고자 할때에는 틸트(12)에 설치된 고정핸들(17)을 풀고 틸트(1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틸트볼트(16)를 중심으로 틸트(12)가 회전된다. 이때 퀵슈(13)의 안착부(13b)에 고정된 카메라의 렌즈 위치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카메라 위치에서 고정핸들(17)을 조이게 되면 카메라의 렌즈 위치가 가로 구도의 상태로 고정이 되어 촬영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가 가로구도로 촬영하기 위해 퀵슈(13)에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카메라의 렌즈를 세로 구도로 할 때에는 카메라에 고정된 로크슈(15)를 퀵슈(13)의 안착부(13b)에서 빼낸다. 이때 퀵슈(13)의 로크핸들(22)을 회전시켜 로크슈(15)를 밀고 있던 상태에서 벗어나면 노브(20)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노브(20)를 상향으로 밀게 되므로 카메라에 고정된 로크슈(15)를 안착부(13b)에서 빼내게 되면 노브(20)가 상향으로 이동되며 로크핸들(20)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로크핸들(22)은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정점운대(10)의 퀵슈(13)를 힌지부(13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틸트(12)와 수직상태로 이동시켜 고정시키고 카메라의 로크슈(15)를 퀵슈(13)의 하측에 형성된 안착부(13b)에 장착시킨다. 이때 카메라의 렌즈 위치가 세로 구도의 상태로 고정이 되어 촬영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의 삼각대에 고정되는 정점운대를 설치시 어떤종류의 카메라를 장착해도 가로 세로의 렌즈 중심이 변하지 않고 일치될 수 있고, 손쉽게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카메라의 삼각대에 장착하는 정점운대에 있어서,
    상기 정점운대는 니은자형상의 앵글보디와, 상기 앵글보디의 외측에 전,후로 회전되게 수직방향으로 틸트를 설치하며, 상기 틸트에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퀵슈를 설치하고, 상기 앵글보디는 수직방향인 상측과 하측에 나사구멍과 수평방향인 중앙에 일측으로 개구진 베이스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홀에는 삼각대와 고정하는 세팅베이스를 고정하고, 상기 틸트는 상측에 힌지부와 중앙에 홀과 하측에 반원형의 가이드홀을 형성하며, 상기 퀵슈는 일측에 힌지부와 상하부에는 카메라와 고정된 로크슈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리브와 외측 중앙에 샤프트홀을 형성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상측 나사구멍에는 틸트볼트로 틸트의 홀을 통하여 조립하며, 상기 앵글보디의 하측 나사구멍에는 틸트의 가이드홀을 통하여 로크핸들을 조립하고, 상기 틸트의 힌지부와 퀵슈의 힌지부를 힌지핀으로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홀에는 샤프트볼트를 이용하여 로크핸들을 설치하며, 상기 퀵슈의 안착홈에는 카메라에 고정되는 로크슈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 노브홀을 형성하며, 상기 노브홀에는 스프링과 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슈는 슈의 상부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세팅볼트를 끼워 상측에서 스톱퍼링과 이링을 끼우고, 하측에는 이링과 판스프링과 핸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슈는 안착부의 가이드리브에 가이드되며 로크핸들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정점운대.
KR1019990029127A 1999-07-19 1999-07-19 카메라의 정점운대 KR20010010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27A KR20010010317A (ko) 1999-07-19 1999-07-19 카메라의 정점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27A KR20010010317A (ko) 1999-07-19 1999-07-19 카메라의 정점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17A true KR20010010317A (ko) 2001-02-05

Family

ID=196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27A KR20010010317A (ko) 1999-07-19 1999-07-19 카메라의 정점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03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72A (ko) * 2001-03-16 2002-09-28 백승헌 카메라 회전장치
CN104568161A (zh) * 2014-12-29 2015-04-29 浙江工业大学 用于固定测温装置镜头的可调夹具及测温装置
CN105415096A (zh) * 2015-11-03 2016-03-23 清华大学 制孔作业用装置
KR101939824B1 (ko) * 2017-07-27 2019-04-11 박상인 삼각대용 멀티헤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859U (ko) * 1978-09-20 1980-03-27
JPS58200898A (ja) * 1982-05-14 1983-11-22 株式会社新光電気 カメラ支持装置
JPS646598A (en) * 1987-06-30 1989-01-11 Nippon Velbon Seiki Kogyo Universal head
JPH0614692U (ja) * 1992-07-23 1994-02-25 スリック株式会社 雲台装置
KR20000046030A (ko) * 1998-12-31 2000-07-25 정휘복 카메라의 정점 운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859U (ko) * 1978-09-20 1980-03-27
JPS58200898A (ja) * 1982-05-14 1983-11-22 株式会社新光電気 カメラ支持装置
JPS646598A (en) * 1987-06-30 1989-01-11 Nippon Velbon Seiki Kogyo Universal head
JPH0614692U (ja) * 1992-07-23 1994-02-25 スリック株式会社 雲台装置
KR20000046030A (ko) * 1998-12-31 2000-07-25 정휘복 카메라의 정점 운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72A (ko) * 2001-03-16 2002-09-28 백승헌 카메라 회전장치
CN104568161A (zh) * 2014-12-29 2015-04-29 浙江工业大学 用于固定测温装置镜头的可调夹具及测温装置
CN105415096A (zh) * 2015-11-03 2016-03-23 清华大学 制孔作业用装置
CN105415096B (zh) * 2015-11-03 2017-08-04 清华大学 制孔作业用装置
KR101939824B1 (ko) * 2017-07-27 2019-04-11 박상인 삼각대용 멀티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436B2 (en) Camera rotation support apparatus for video presenter and video presenter having the same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70023600A1 (en) Stand for flat-panel display
JP2002031469A (ja) 冷蔵庫のディスプレー装置の設置構造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JP2008178016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取付台
KR20010010317A (ko) 카메라의 정점운대
JP2010117395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4896853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のパン・チルト機構
JP4018093B2 (ja) ヒンジ機構
JP2020005235A (ja) インターホン機器
WO2008081380A1 (en) An adjustment arrangement
KR20080113787A (ko) 각도 조절장치
JP2602937Y2 (ja) 調整蝶番
JP2023150625A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2008113210A (ja) インターホン子機の取付台
JP4371419B2 (ja) 壁掛け取り付け台
JP2007272605A (ja) 簡易固定用支持装置
JP3894451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2020039768A (ja) タブレット支持装置及びタブレットスタンド
GB2366929A (en) Surveillance camera with rotating lens
KR100203858B1 (ko)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KR1003393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 장착용 연결장치
JP2023092560A (ja) 端末機器の保持装置
KR100231921B1 (ko) 비디오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