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029Y1 -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029Y1
KR200158029Y1 KR2019960067264U KR19960067264U KR200158029Y1 KR 200158029 Y1 KR200158029 Y1 KR 200158029Y1 KR 2019960067264 U KR2019960067264 U KR 2019960067264U KR 19960067264 U KR19960067264 U KR 19960067264U KR 200158029 Y1 KR200158029 Y1 KR 200158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xing
locking
open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72U (ko
Inventor
장홍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0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5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Abstract

본 고안은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관함 등과 같이 물품의 수납을 위하여 개폐되는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며 닫혀진 덮개의 록킹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컨솔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록킹을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덮개가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되기 위한 탄성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핀이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수단과, 덮개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결합되어 탄지되는 회전핀이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며 탄지되어 록킹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지지핀 및 회동수단의 회전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을 연결하는 탄성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동수단이 회동되면서 덮개의 개폐와 록킹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컨솔박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개폐하는 힌지구조에 록킹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와 동시에 록킹장치가 동작되어 개방된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낙하를 방지하며 닫혀진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유동과 그에 따른 개방이 방지되어 물품의 수납을 위한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개방이 방지되어 물품의 수납을 위한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편의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본 고안은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관함 등과 같이 물품의 수납을 위하여 개폐되는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며 닫혀진 덮개의 록킹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어 보관함 기능을 하는 컨솔박스는 운전석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컨솔박스에 수납되는 물품의 보관과 보호를 위하여 상기 컨솔박스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컨솔박스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컨솔박스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는 일측을 상기 컨솔박스의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였으며 닫혀진 덮개의 유동과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 결합된 반대측에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덮개의 유동과 개방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컨솔박스의 덮개는 상기 덮개의 개방을 위하여 록킹된 록킹장치를 해지한 후 덮개가 개방 가능한 것으로 덮개의 개방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틱과 같은 접착성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덮개를 접착시켜 덮개의 유동과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덮개의 접착을 이용한 접착성 록킹장치는 덮개의 접착성을 위하여 소정 거리의 간극조정이 필요로 하였으며 설치부품의 증가로 생산원가의 증가와 작업공정의 증가요인으로 제기되었으며 별도로 설치되는 록킹장치에 의하여 수납공간내의 물품 수납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컨솔박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개폐하는 힌지구조에 록킹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와 동시에 록킹장치가 동작되어 개방된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낙하를 방지하며 닫혀진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유동과 그에 따른 개방이 방지되어 물품의 수납을 위한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편의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수단 11,21 : 고정구멍
12,22 : 고정브라케트 13 : 걸림턱
14 : 지지편 20 : 회동수단
23 : 회전핀 24 : 탄성편
25 : 안착홈 30 : 탄성지지부
31 : 삽입공 32 : 탄성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컨솔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록킹을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덮개가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되기 위한 탄성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핀이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수단과, 덮개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탄성지지부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핀이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며 탄지되어 록킹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지지핀 및 회동수단의 회전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을 연결하는 탄성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동수단이 회동되면서 덮개의 개폐와 록킹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구조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솔(C)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11)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1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록킹을 위한 걸림턱(13)이 형성되어 덮개(D)가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되기 위한 탄성지지부(3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핀(14)이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수단(10)과, 덮개(D)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21)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2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탄성지지부(30)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핀(23)이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13)과 접촉되어 탄지되어 록킹되는 탄성편(24) 및 상기 탄성편(24)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25)이 형성되는 회동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핀(14) 및 회동수단(20)의 회전핀(23)이 삽입되는 삽입공(31)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31)을 연결하는 탄성부(32)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30)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수단(10)에 상기 탄성지지부(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동수단(20)이 회동되면서 덮개(D)의 개폐와 록킹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수단(20)은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케트(12)(22)에 관통된 고정구멍(11)(21)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컨솔(C)과 컨솔(C)을 개폐하는 덮개(D)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수단으로 상기 덮개(D)가 회동수단(20)에 의하여 회동되며 개폐된다.
이때, 탄성지지부(30)는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핀(14)과 회동수단(20)의 회전핀(23)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컨솔(C)에 고정된 고정수단(10)에 의하여 회동수단(20)이 회동된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30)는 활모양으로 만곡된 탄성부(32)가 상기 탄성부(32)의 양 단부의 삽입공(31)에 상기 지지핀(14) 및 회전핀(23)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회동수단(20)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개폐되는 덮개(D)의 개방된 상태와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30)를 구성하는 탄성부(32)의 양단부에 구비된 삽입공(31)의 거리가 고정수단(10)에 지지되어 회동되는 회동수단(20)의 회동에 따라 가변되어 탄성부(32)의 탄성력으로 개폐되는 덮개(D)가 탄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20)의 안착홈(25)에 구비되는 탄성편(24)은 상기 고정수단(10)의 걸림턱(13)과 탄지되도록하여 닫혀진 덮개(D)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인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를 제공하면 컨솔박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개폐하는 힌지구조에 록킹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의 개폐와 동시에 록킹장치가 동작되어 개방된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낙하를 방지하며 닫혀진 덮개를 지지하여 덮개의 유동과 그에 따른 개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효과는 물품의 수납을 위한 덮개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편의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1)

  1. 컨솔(C)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11)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1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록킹을 위한 걸림턱(13)이 형성되어 덮개(D)가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되기 위한 탄성지지부(3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핀(14)이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수단(10)과, 덮개(D)의 소정 위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구멍(21)이 관통된 고정브라케트(2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탄성지지부(30)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전핀(23)이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13)과 접촉되어 탄지되어 록킹되는 탄성편(24) 및 상기 탄성편(24)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25)이 형성되는 회동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10)의 지지핀(14) 및 회동수단(20)의 회전핀(23)이 삽입되는 삽입공(31)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31)을 연결하는 탄성부(32)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KR2019960067264U 1996-12-31 1996-12-31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KR20015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64U KR200158029Y1 (ko) 1996-12-31 1996-12-31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64U KR200158029Y1 (ko) 1996-12-31 1996-12-31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72U KR19980054072U (ko) 1998-10-07
KR200158029Y1 true KR200158029Y1 (ko) 1999-10-15

Family

ID=1948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264U KR200158029Y1 (ko) 1996-12-31 1996-12-31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7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2646A (ja) 車両サンバイザのための旋回支承ブロック
KR200158029Y1 (ko) 록킹장치 일체형 힌지구조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JP2518590B2 (ja) 盗難防止手段付き一般自動車用磁力結合型スキ―ラック
US5823407A (en) Security garment hanger
KR200307400Y1 (ko) 특장차용 도어록킹장치
KR970006746A (ko) 도어체커가 일체로 구비된 도어힌지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960004189Y1 (ko) 각도조절식 경첩
JPH0142377Y2 (ko)
KR100187175B1 (ko) 자동차용 콘솔 팔걸이의 힌지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0117356Y1 (ko) 자동차용 팔걸이 덮개의 힌지부 구조
KR0116561Y1 (ko) 레버형 도어록의 레버방향 절환장치
KR200147925Y1 (ko) 연료주입구의 개폐도어 회동장치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100229277B1 (ko) 자동차 도어용 힌지 브라케트
KR0130727Y1 (ko) 세탁기의 도어
KR0118600Y1 (ko) 차량의 트렁크 오픈지지장치
KR100510292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AU701925B2 (en) Security garment hanger
JPH07291323A (ja) 蓋開閉装置
JPH09286281A (ja) ボックス用リッドの取付構造
KR950001102Y1 (ko) 자동차의 도아 과다열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