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881Y1 -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881Y1
KR200157881Y1 KR2019970013117U KR19970013117U KR200157881Y1 KR 200157881 Y1 KR200157881 Y1 KR 200157881Y1 KR 2019970013117 U KR2019970013117 U KR 2019970013117U KR 19970013117 U KR19970013117 U KR 19970013117U KR 200157881 Y1 KR200157881 Y1 KR 200157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bracket
film
cleaning blade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480U (ko
Inventor
손민호
Original Assignee
우석형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형,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우석형
Priority to KR2019970013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8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되는 폐토너를 회수하는 폐토너회수장치에 있어서, 토너의 비산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에 관한 기술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폐토너회수장치의 커버와 브라켓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필름실을 사용하여 밀폐시키므로서, 브라켓에 부하를 주지않아 크리닝브레이드가 감광체에 접하는 접합력을 왜곡시키지 않으며, 균일한 규격으로의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커버와; 제거된 폐토너의 경로를 제공하는 입구실과;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브레이드와; 양측단에 회동중심이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스프링홀이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크리닝브레이드가 감광체에 접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연질의 텐션을 갖는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필름실을 포함하는 폐토너회수장치를 제공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회수장치에서 회수되는 폐토너의 비산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됨.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본 고안은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복사기, 레이져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 중에서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형의 폐토너회수장치에 있어서, 폐토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으로 형성된 필름실을 이용하는 폐토너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상에 전기적잠상을 형성한 후에 토너를 근접시켜 상을 형성하고, 감광체상에 형성된 상을 용지에 전사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감광체상에 부착되어 있던 토너가 모두 용지로 이체되어야 하나, 그 일부가 그대로 감광체에 남아있기 때문에 다음의 현상과정을 진행하기 이전에 감광체상에 남아있는 토너, 즉 폐토너를 제거하여야 하며, 이처럼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광체의 일측에 폐토너회수장치가 장착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폐토너회수장치는 폐토너를 회수하는 일측면에 접하여 폐토너를 저장할 수 있는 폐토너회수통이 일체로 구성되는 방식과,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밀어내어 별도로 위치하는 폐토너회수통에 저장하거나, 회수된 폐토너를 현상부로 이동시켜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크게 대별되며, 전자의 방식에서는 폐토너회수장치와 폐토너회수통이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폐토너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너의 비산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나, 후자의 방식에서는 감광체상의 폐토너를 회수하고,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토너의 비산이 많이 발생되며, 이러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토너회수장치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Seal)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의 재료로서 가격이 저렴한 스폰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폐토너회수장치에 있어서, 스폰지실을 이용하는 폐토너회수장치를 첨부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광체(20)의 토너를 용지에 전사하는 과정을 수행한 이후의 단계에 폐토너회수장치(1)가 장착되며, 폐토너회수장치(1)는 후측 하단부에는 스프링걸이편(4)이, 중앙부에는 실고정대(5)가, 전단측에는 회수된 폐토너를 수납하고 이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나선형축(12)이 장착되도록 일체로 구성된 커버(2)와; 폴리우레탄고무 등의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커버(2)의 전단 하측에 고정 부착되며, 타단은 감광체(20)와 접하여 회수되는 폐토너의 낙산을 방지하는 입구실(7)과; 상기 입구실(7)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감광체(20)에 접하여 감광체(20)상에 남아있는 폐토너를 닦아내는 크리닝브레이드(8)와; 전단부에 상기 크리닝브레이드(8)가 고정부착되며, 전단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9)이 상기 커버(2)의 측판에 고정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며, 후단에는 스프링홀(10)이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3)과; 일단은 스프링걸이편(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홀(10)에 연결되어 상기 크리닝브레이드(8)가 감광체(20)에 접하는 접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프링(11)과; 상기 실고정대(5)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커버(2)와 상기 브라켓(3)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막아주는 스폰지실(6)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버(2)는 회수된 폐토너를 현상부로 이송하여 폐토너를 재사용하는 방식이나, 대전롤러 등에 의해 대전하는 방식의 경우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실고정대(5) 후단 측으로 동력전달축(13)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폐토너회수장치는 크리닝브레이드(8)에 의해 제거되는 폐토너가 입구실(7)에 의해 나선형축(12)이 위치한 곳으로 흐르게 되어 수납되며, 상기 수납된 폐토너는 일측으로 밀어주는 장치인 나선형축(12)(또는 나선형의 코일형상으로도 구성되기도 함)의 회전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밀려지져 이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회수된 폐토너는 그 입자가 미세하여 비산되어지며, 비산된 토너입자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므로 미세한 구멍만 있어도 이를 통하여 이동되어져 주변을 오염되게하므로, 이를 스폰지실(6)에 의해 폐토너회수장치(1)의 외부로 토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밀폐재료로서 스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재질의 속성상 외관치수를 정확하게 가공하는 것이 어렵고, 가공하는 과정중에 너무 두꺼운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브라켓(3)의 후단에 압력을 가하게되어 크리닝브레이드(8)가 감광체(20)에 접하는 접합력을 왜곡시켜 감광체(20)의 손상을 유발하며, 재질 자체가 너무 부드러워 작업자가 실고정대에 일정하게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장시간 사용할 때에는 재질의 경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떨어져나가 외형이 변형되어 비산되는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커버와 브라켓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는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형성된 필름형실을 사용하므로서, 브라켓에 부하를 주지않아 크리닝브레이드가 감광체에 접하는 접합력을 왜곡시키지 않으며, 균일한 규격으로의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폰지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스폰지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요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감광체 21 : 폐토너회수장치
22 : 커버 23 : 브라켓
24 : 스프링걸이편 25 : 실고정대
26 : 필름실 27 : 입구실
28 : 크리닝브레이드 29 : 회동축
30 : 스프링홀 31 : 스프링
32 : 나선형축 33 : 동력전달축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중에서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폐토너회수장치에 있어서, 후단부 하측에 스프링걸이편이 형성되고, 중앙부 상단에 실고정대가 형성되며, 전단부 하측으로 회수된 폐토너가 수납되며 폐토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이 장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커버와; 일단은 상기 커버의 전단부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감광체에 접하여 제거된 폐토너의 경로를 제공하는 입구실과; 상기 입구실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감광체에 접하여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브레이드와; 전단부는 하향절곡되어 상기 크리닝브레이드가 고정되며,양측단에 회동중심이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스프링홀이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스프링걸이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홀에 고정되어 상기 크리닝브레이드가 감광체에 접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연질의 텐션을 갖는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상기 실고정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향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브라켓의 하향절곡부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필름실을 포함하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20은 감광체, 21은 폐토너회수장치, 22는 커버, 23은 브라켓, 24는 스프링걸이편, 25는 실고정대, 26은 필름실, 27은 입구실, 28은 크리닝브레이드, 29는 회동축, 30은 스프링홀, 31은 스프링, 32는 나선형축, 33은 동력전달축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한 폐토너회수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감광체(20)가 전사를 수행하고난 이후의 위치에 폐토너회수장치(21)를 위치시키게 되며, 상기 폐토너회수장치(21)는 폐토너를 수납하는 커버(22)를 구성하되, 상기 커버(22)의 후단부 하측에는 스프링걸이편(24)을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부 상단에는 실고정대(25)를 형성하며, 전단부 하측으로는 감광체(20)로부터 회수된 폐토너가 수납되고, 수납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선형축(32) 또는 나선형코일(도시되지 않았음) 등의 폐토너이동수단이 장착되도록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2)의 전단부 하측에 폴리우레탄고무 등의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입구실(27)을 고정시키되, 상기 입구실(27)의 타단이 상기 감광체(20)에 접하도록 위치시켜 감광체(20)로부터 제거되는 폐토너가 낙산되지 않고 상기 커버(22)에 수납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입구실(27)의 상측에 일단이 상기 감광체(20)에 접하여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브레이드(28)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크리닝브레이드(28)는 전단부가 하향절곡되어 있는 브라켓(23)에 부착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며, 브라켓(23)의 양측 단부에 회동축(29)을 구성하고, 그 후단부에 스프링홀(30)을 일체로 구성하므로서 상기 회동축(29)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며, 스프링(31)을 상기 스프링걸이편(2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홀(30)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크리닝브레이드(28)가 감광체(20)에 접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22)와 브라켓(23)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실고정대(25)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향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브라켓(23)의 하향절곡부에 접하는 필름실(26)을 구성하되, 상기 필름실(26)의 재질을 폴리에스테르필름 등과 같이 연질의 텐션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상기 브라켓(23)의 회동에 따라서 도 4 에서와 같이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폐토너를 재사용하거나, 대전롤러 등을 사용하는 등 구동력을 반대측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22)의 실고정대(25) 후단측으로 동력전달축(33)이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감광체(20)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크리닝브레이드(28)에 의해 제거하게 되며, 제거된 폐토너는 입구실(27)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져 커버(22)의 전단부 하측에 수납되어지며, 수납된 폐토너는 나선형축(32)의 회전에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어져 외부에 연결된 폐토너수납통 또는 현상장치등으로 이송되어 진다. 그리고, 이러한 폐토너회수과정에서 발생되는 토너의 비산은 필름실(26)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고정대(25)에 일측이 고정되어지고 타측은 브라켓(23)의 하향절곡된 부분에 같은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하여 밀폐하고 있으며, 만약 수리 또는 필요에 감광체(20)로부터 크리닝브레이드(28)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필름실(26)도 함께 후방으로 회동되었다가, 상기 크리닝브레이드(28)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필름실(26)도 자체텐션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항상 일정한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 에서와 같이 필름실(26)의 일측은 실고정대(25)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텐션을 같고 브라켓(23)에 접하여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브라켓(23)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면서 비산되는 토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실(26)이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지므로 브라켓(23)의 회동에 제한을 주지 않게되어 크리닝브레이드(28)가 감광체(20)에 접하는 접합력을 왜곡시키지 않아 감광체의 손상을 방지하며, 종래 스폰지실보다 조립과 가공이 용이하며, 스폰지실의 경우에 발생되는 두께편차에 의한 공간발생을 필름실에서는 그 두께가 일정하므로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고안은, 연질의 필름실을 사용하므로서 커버와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게 되며, 두께의 편차에 의한 브라켓의 회동에 저해가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일정한 규격의 필름실 제조가 용이하고, 고정된 형상을 가지므로 조립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중에서 회수된 폐토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폐토너회수장치에 있어서,
    후단부 하측에 스프링걸이편(24)이 형성되고, 중앙부 상단에 실고정대(25)가 형성되며, 전단부 하측으로 회수된 폐토너가 수납되며 폐토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이 장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커버(22);
    일단은 상기 커버(22)의 전단부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감광체(20)에 접하여 제거된 폐토너의 경로를 제공하는 입구실(27);
    상기 입구실(27)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감광체(20)에 접하여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브레이드(28);
    전단부는 하향절곡되어 상기 크리닝브레이드(28)가 고정되며,양측단에 회동중심이되는 회동축(29)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스프링홀(30)이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23);
    일단은 상기 스프링걸이편(2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홀(30)에 고정되어 상기 크리닝브레이드(28)가 감광체(20)에 접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1); 및
    연질의 텐션을 갖는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상기 실고정대(25)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향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브라켓(23)의 하향절곡부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브라켓(23)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필름실(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실(26)은 폴리에스테르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KR2019970013117U 1997-05-31 1997-05-31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KR200157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17U KR200157881Y1 (ko) 1997-05-31 1997-05-31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17U KR200157881Y1 (ko) 1997-05-31 1997-05-31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80U KR19980068480U (ko) 1998-12-05
KR200157881Y1 true KR200157881Y1 (ko) 1999-10-01

Family

ID=1950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117U KR200157881Y1 (ko) 1997-05-31 1997-05-31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8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8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2422A (en) Toner contamination seal device for cleaner
US5444522A (en) Replaceable cleaner subsystem that prevents particle spillage
JPH0131629B2 (ko)
US4910560A (en) Cleaning device for use in copying machine
JPH09160470A (ja) 画像形成装置
JP3231486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157881Y1 (ko) 화상형성장치의 필름실을 이용한 폐토너회수장치
US5392108A (en) Stripping device
JPS6146833B2 (ko)
JPH0131630B2 (ko)
JP2011018043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クリーニング方法
JP2611010B2 (ja) クリ−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
JP4136767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314799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1165390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6282194A (ja) 定着装置
JPH0318714B2 (ko)
JPH05312718A (ja) トナー濃度検出センサ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S6014274A (ja) 静電記録装置
JPS59204876A (ja) クリ−ニング装置
JP2001051568A (ja) 画像形成装置
JP2501441Y2 (ja) トナ―除去装置
JPH02264992A (ja)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H113016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863032A (ja) 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