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692Y1 -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692Y1
KR200157692Y1 KR2019970017077U KR19970017077U KR200157692Y1 KR 200157692 Y1 KR200157692 Y1 KR 200157692Y1 KR 2019970017077 U KR2019970017077 U KR 2019970017077U KR 19970017077 U KR19970017077 U KR 19970017077U KR 200157692 Y1 KR200157692 Y1 KR 200157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flange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479U (ko
Inventor
정만희
Original Assignee
박상록
주식회사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록, 주식회사두원공조 filed Critical 박상록
Priority to KR201997001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가 유동되는 파이프(1)와 파이프(2)의 각 선단부에 나사체결용 탭핑홀(3)(4)이 형성된 플랜지(5)(6)가 끼워져 장착되면서 이 플랜지(5)(6)의 탭핑홀(3)(4)로 머리부(7a)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나사부(7b)와, 상기 머리부(7a)를 관통하여 수용하는 클립(7c)으로 구성된 원터치형 볼트(7)가 체결되어 파이프(1)와 파이프(2) 사이를 관이음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매관의 관이음작업시 별도의 설비 없이도 파이프의 연결부위인 플랜지부위를 체결시킬 수 있으면서 냉매관의 폐기시 체결부품의 회수 및 재활용의 용이함과 이종(異種)의 파이프를 관이음함에 있어서도 부품의 공용화를 추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되는 공기조화기는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에게 쾌적함을 더해 줄 수 있도록 공기를 조화시키도록 된 장치인 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차량내 탑재되는 공기조화기는 크게 하절기때 공기를 냉각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함을 주도록 된 냉방장치와, 동절기때 공기를 가열시켜 온화함을 주도록 된 난방장치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방장치는 상온이나 저온상태에서도 액화 및 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및 고압상태의 기체로 변환시키도록 된 압축기와, 이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켜 중온 및 고압상태의 액체로 변환시키도록 된 응축기, 이 응축기로부터 냉각된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되기 쉬운 저온 및 저압의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도록 된 팽창밸브 및, 이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시켜 저온 및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도록 된 증발기로 구성되어 있어, 냉매의 증발시 외부로부터 빼앗는 열로 인해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냉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장치는 엔진 냉각용 온수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된 관로상에 장착된 히터유닛트와, 이 히터유닛트에 장착되어 온수가 방출하는 열을 강제로 송풍시켜 공기를 따뜻하게 가열시키면서 이를 차실내로 강제로 안내하도록 된 블로워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엔진 냉각용 온수로부터 열원을 받도록 된 히터유닛트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공기가 블로워를 매개로 차실내로 공급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난방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냉방자치에 있어서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은 다수개의 파이프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바, 이 냉매관의 연결부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냉방장치용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파이프(11)와 파이프(21) 사이의 결합부위가 상호 스터드볼트(12)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대응되는 파이프(11)와 파이프(21) 사이의 결합부위인 각 선단부에는 각기 측부로 나사체결용 탭핑홀(13)(23)이 형성된 플랜지(14)(24)가 끼워져 장착되고, 이 플랜지(14)(24)의 탭핑홀(13)(23)로 상기 스터드볼트(12)의 양선단이 각기 나사 체결되어 파이프(11)와 파이프(21)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1)의 플랜지(14)부위에는 대응되는 파이프(21)의 플랜지(24)로 삽입되는 돌출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5)의 외주상에는 오링(16)이 안착되어지며, 상기 파이프(11)의 플랜지(14)부위와 결합되는 파이프(21)의 플랜지(24)부위에는 돌출부(15)를 수용하도록 된 요홈부(도시안됨)가 구비되어져, 이 파이프(21)의 플랜지(24)에 형성된 외주상에 오링(16)을 장착한 파이프(11)의 플랜지(14)부위가 끼워져 맞이음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관용 파이프(11)(21)의 결합부위인 플랜지(14)(24)부위에 스터드볼트(12)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냉매관의 관이음에서는, 조립시 라인에서 조립용 설비를 이용하여 플랜지(14)(24)의 탭핑홀(13)(23)로 상기 스터드볼트(12)를 반영구적으로 체결시켜 왔다.
따라서 냉매관의 폐기시, 상기 스터드볼트(12)를 재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냉매관의 관이음작업시 플랜지의 다른 이종(異種)의 파이프를 관이음할 때에는 규격이 다른 스터드볼트를 사용해야 하는 등 부품의 공용화를 추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 고안의 목적은 냉매관의 관이음작업시 별도의 설비없이도 파이프의 연결부위인 플랜지부위를 체결시킬 수 있으면서 냉매관의 폐기시 체결부품의 회수 및 재활용의 용이함과 이종(異種)의 파이프를 관이음함에 있어서도 부품의 공용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된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된 파이프에 장착된 플랜지로 원터치형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파이프 3,4 : 탭핑홀
5,6 : 플랜지 5a : 단차면
7 : 원터치형 볼트 7a : 머리부
7b : 나사부 7c : 클립
본 고안은 냉매가 유동되는 파이프(1)와 파이프(2)의 각 선단부에 나사 체결용 탭핑홀(3)(4)이 형성된 플랜지(5)(6)가 끼워져 장착되면서 이 플랜지(5)(6)의 탭핑홀(3)(4)로 머리부(7a)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스래드부(7b)와, 이 머리부(7a)를 관통하여 수용하는 클립(7c)으로 구성된 원터치형 볼트(7)가 체결되어 파이프(1)와 파이프(2) 사이를 관이음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된 파이프에 장착된 플랜지로 원터치형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냉방장치용 냉매가 유동되는 파이프(1)와 파이프(2)의 결합부위인 각 선단부에는 각기 측부로 나사체결용 탭핑홀(3)(4)이 형성된 플랜지(5)(6)가 끼워져 장착되고, 이 플랜지(5)(6)의 탭핑홀(3)(4)로 원터치형 볼트(7)가 나사체결되어 파이프(1)와 파이프(2) 사이를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형 볼트(7)는 머리부(7a)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나사부(7b)와, 이 머리부(7a)를 관통하여 수용하는 클립(7c)으로 구성되는 바, 이 클립(7c)은 상기 플랜지(5)의 상하 단차진 단차면(5a)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의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원터치형 볼트(7)의 나사부(7b)는 상기 플랜지(5)의 탭핑홀(3)내부로 나사체결되면서 클립(7c)은 플랜지(5)의 단차면(5a)으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관용 파이프(1)(2)의 관이음부위는 별도의 조립설비가 없이도 각각의 파이프(1)(2) 선단부위로 장착된 플랜지(5)(6)부위의 탭핑홀(3)(4)로 원터치형 볼트(7)의 나사부(7b)가 간단한 수공구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파이프(1)(2)들을 관이음시켜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클립(7c)은 원터치형 볼트(7)의 회전을 저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냉매관의 폐기시에는 상기 플랜지(5)의 단차면(5a)으로부터 원터치형 볼트(7)의 클립(7c)을 제거하면서 머리부(7a)를 돌려 나사부(7b)를 탭핑홀(3)(4)로부터 해체시키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냉매관의 관이음시 파이프의 선단부에 장착된 플랜지를 별도의 조립설비가 없이도 해제가 용이한 원터치형의 볼트를 매개로 체결함으로써, 관이음작업과 냉매관의 폐기시 원터치형의 볼트의 회수가 용이해 짐은 물론, 플랜지의 규격이 다른 이종(異種)의 파이프를 관이음할 때에도 규격이 다른 볼트를 클립에 끼워 사용하여 부품의 공용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냉매가 유동되는 파이프(1)와 파이프(2)의 각 선단부에 나사체결용 탭핑홀(3)(4)이 형성된 플랜지(5)(6)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의 상하부위에는 단차진 형태의 단차면(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5)(6)에는, 머리부(7a)와, 상기 탭핑홀(3)(4)에 삽입되는 나사부(7b)와, 상기 나사부(7b)에서 머리부(7a)측으로 끼워져 상기 단차면(5a)에 외삽되도록 그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클립(7c)으로 된 원터치형 볼트(7)가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1)와 파이프(2)가 관이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KR2019970017077U 1997-06-30 1997-06-30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KR200157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77U KR200157692Y1 (ko) 1997-06-30 1997-06-30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77U KR200157692Y1 (ko) 1997-06-30 1997-06-30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79U KR19990003479U (ko) 1999-01-25
KR200157692Y1 true KR200157692Y1 (ko) 1999-10-01

Family

ID=1950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077U KR200157692Y1 (ko) 1997-06-30 1997-06-30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46B1 (ko) * 2005-09-13 2012-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플랜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79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611A (en) Two plate TXV block connector for automotive A/C system with common bolts and independently attachable sides
US8146953B2 (en) Pipe joint cover structure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20070251265A1 (en) Piping structure with inner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090297367A1 (en) Ej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300544A1 (en) Piping connection device and heat pump cycle device having same
KR200157692Y1 (ko) 공기조화기용 냉매관의 연결구조
KR200158626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구조
JP3491957B2 (ja) 配管接続継手
KR101215698B1 (ko) 서비스 밸브
KR0129559Y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관접속장치
KR101060614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
KR101851659B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캡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JPH0356714Y2 (ko)
JP6822513B2 (ja) 流体ユニット、冷凍装置用ユニット、熱源ユニット、利用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JPH0737934Y2 (ja) 冷房サイクル用膨張弁の取付け構造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JPH0988918A (ja) 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構体
JP2001355942A (ja) 圧縮機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EP3971494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0160867B1 (ko) 에어컨용 응축기의 냉매 파이프 고정구조
CN217559978U (zh) 空调
JP4513896B2 (ja) エジェクタおよびエジェクタの製造方法
KR20000015393U (ko) 리시버 드라이어 고정용 브래킷 조립체
KR200298542Y1 (ko) 카에어컨의쿨링파이프이음매연결장치
KR100804661B1 (ko) 자동차 에어컨의 냉동사이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