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200Y1 -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200Y1
KR200157200Y1 KR2019970029155U KR19970029155U KR200157200Y1 KR 200157200 Y1 KR200157200 Y1 KR 200157200Y1 KR 2019970029155 U KR2019970029155 U KR 2019970029155U KR 19970029155 U KR19970029155 U KR 19970029155U KR 200157200 Y1 KR200157200 Y1 KR 200157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ynthetic resin
spout
liqu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39U (ko
Inventor
김우창
Original Assignee
김우창
주식회사창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창, 주식회사창해산업 filed Critical 김우창
Priority to KR2019970029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20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기존의 용기에 비해 대폭 개선된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용기의 보관시·운반시 및 작업시에 용기가 부피 및 넓이를 적게 차지하게 하면서도, 용기의 마개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주둥이부가 쉽게 당겨져서 돌출되도록 해주며, 또한 작업시에 용기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하부를 이루는 가요성 합성수지재의 용기본체(21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주둥이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에는 양측벽(211 및 212)의 대각선부위 및 상기 대각선부위를 연결하는 상면(213)의 일변과 하면(214)의 일변에는 접음선(2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면에는 변형연결부(2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주둥이부(220)는 중공원통형의 주둥이(221)와 마개(22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주둥이(221)는 상기 변형연결부(216)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221)의 하부에 바닥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플랜지형 홀더(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를 제공해준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는 액체를 보관하거나 운반하거나 또는 액체를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본 고안은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기존의 용기에 비해 대폭 개선된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거나 또는 작업하기 위해서 각종 액체용 합성수지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는, 대략 원통형이나 육면체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돌출시켜 형성한 주둥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의 경우에는, 용기본체가 변형될 수 없어서 부피를 줄일 수 없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용기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주둥이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액체를 담은 다수의 용기를 수직방향으로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액체를 담은 용기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1987. 5. 28.자로 일본국에서 출원(일본국출원번호 : 실용신안등록출원 소62-81785)되어 1988. 12. 7.자로 출원공개(일본국출원공개번호 : 실용신안출원공개 소63-190036)된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이다.
제1(a)도 및 제1(b)도를 참조하여 출원공개된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는, 하부를 이루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주둥이부(1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본체(110)는 가요성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10)중 마주보는 양측벽(111 및 112)의 대각선부위 및 상기 대각선부위를 연결하는 상면(113)의 일변과 하면(114)의 일변에는 접음선(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면에는 변형연결부(11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변형연결부(116)는 주변의 접음선(117)에 의해 구획된 상태에서 융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주둥이부(120)는 중공원통형의 주둥이(121)와 마개(122)로 이루어져 있는 한편 상기 주둥이(121)는 상기 변형연결부(116)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에 액체를 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주둥이부(120)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절반부를 상기 접음선(115)를 따라 접어서 나머지 절반부와 포개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접어서 포개놓은 각각의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들은 다수개를 서로 포개어 놓을 수 있다.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에 액체를 담아 놓은 경우에는, 역시 상기 주둥이부(120)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액체를 담은 다수개의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를 수직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다. 액체를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에 담거나 빼낼 경우에는 상기 주둥이부(120)을 상방으로 당겨서 상기 변형연결부(116)가 상기 접음선(117)을 경계로 해서 상방으로 융기되도록 하여 상기 주둥이부(12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출원공개된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용기에서 액체를 빼내기 위해서 상기 마개(12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를 선회시키기 어렵고(즉, 상기 용기본체(110)가 가요성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어 상기 마개(122)만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122)를 선회시켜 개방하거나 상기 용기본체(1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122)를 선회시켜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본체(110)가 뒤틀려서 상기 용기본체(110)내에 담겨있는 액체가 밖으로 유출된다),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용기에서 액체를 빼내기 위해서 상기 주둥이부(120)를 상방으로 돌출시키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둥이부(120)를 파지해서 당겨주기 어려우며, 또한 자동화작업등에 있어 가요성이 있는 상기 용기본체(110)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용기의 보관시·운반시 및 작업시에 용기가 부피 및 넓이를 적게 차지하게 하면서도, 용기의 마개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주둥이부가 쉽게 당겨져서 돌출되도록 해주며, 또한 작업시에 용기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a)도는 종래의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를 반부를 접은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용기본체 211 및 212 : 양측벽
213 : 상면 214 : 하면
215 : 접음선 216 : 변형연결부
220 : 주둥이부 221 : 주둥이
222 : 마개 223 : 플랜지형 폴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를 이루는 가요성 합성수지재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주둥이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본체에는 양측벽의 대각선부위 및 상기 대각선부위를 연결하는 상면의 일변과 하면의 일변에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는 변형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주둥이부는 중공원통형의 주둥이와 마개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주둥이는 상기 변형연결부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의 하부에 바닥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플랜지형 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를 제공해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200은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이다.
상기 액체용 합성수지용기(200)는 하부를 이루는 용기본체(21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주둥이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본체(210)는 가요성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210)에는, 마주보는 양측벽(211 및 212)의 대각선부위 및 상기 대각선부위를 연결하는 상면(213)의 일변과 하면(214)의 일변에 접음선(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면에는 변형연결부(21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변형연결부(216)는 주변의 접음선(217)에 의해 구획된 상태에서 융기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부(220)는 주둥이(221), 마개(222), 및 플랜지형 홀더(2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둥이(221)는 상기 변형연결부(216)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는 상기 주둥이(221)의 하부에 바닥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마개(222)는 상기 주둥이(221)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다.
한편, 개방시에 파지해서 힘을 가하기 쉽도록 하기위해서,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의 측면에 요철부(2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타의 작용은 종래의 작용과 유사하므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른 작용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둥이(221)의 하부에 바닥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형홀더(2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이 발생한다. 즉,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용기에서 액체를 빼내기 위해서 상기 마개(22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223)를 선회시켜서 상기 마개(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를 파지하므로 상기 용기본체(210)가 뒤틀려서 상기 용기본체(210)내에 담겨있는 액체가 밖으로 유출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용기에서 액체를 빼내기 위해서 상기 주둥이부(220)를 상방으로 돌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를 파지해서 당겨주어 상기 주둥이부(220)를 상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화작업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를 지지시켜 용기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의 측면에 요철부(224)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개(222)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를 파지할때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따르면, 본 고안은, 용기의 보관시·운반시 및 작업시에 용기가 부피 및 넓이를 적게 차지하게 하면서도, 용기의 마개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주둥이부가 쉽게 당겨져서 돌출되도록 해주며, 또한 작업시에 용기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형 홀더의 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플랜지형 홀더를 파지할때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므로, 마개를 더욱 더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하부를 이루는 가요성 합성수지재질의 용기본체(21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주둥이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에는 양측벽(211 및 212)의 대각선부위 및 상기 대각선부위를 연결하는 상면(213)의 일변과 하면(214)의 일변에 접음선(2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면에는 변형연결부(2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주둥이부(220)는 중공원통형의 주둥이(221)와 마개(22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주둥이(221)는 상기 변형연결부(216)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221)의 하부에 바닥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플랜지형 홀더(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형 홀더(223)의 측면에 요철부(2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KR2019970029155U 1997-10-21 1997-10-21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KR200157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55U KR200157200Y1 (ko) 1997-10-21 1997-10-21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55U KR200157200Y1 (ko) 1997-10-21 1997-10-21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39U KR19990015839U (ko) 1999-05-15
KR200157200Y1 true KR200157200Y1 (ko) 1999-09-15

Family

ID=195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55U KR200157200Y1 (ko) 1997-10-21 1997-10-21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2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39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4844A (en) Latching device for collapsible container
US3090526A (en) Disposable-type dispensing container package
US20020074247A1 (en) Folding funnel and its storage case
US4402452A (en) Foldable reusable shipping carton
KR20110011617A (ko) 사전-위치설정 및 고정된 분배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백-인-박스 용기
US5489027A (en) Cartonless Packaging system
KR200157200Y1 (ko) 액체용 합성수지용기
JPS5821374Y2 (ja) 二軸延伸させた合成樹脂製肉薄壜
JP3803997B2 (ja) 袋用注出栓
JP4113365B2 (ja) 合成樹脂製箱型容器
CN211365509U (zh) 一种便于倾倒的牛奶盒
CN211376801U (zh) 注液嘴塞
KR900009111Y1 (ko) 액체용기의 유출보조구
US2184205A (en) Cover or lid for boxes and cases
CN213263708U (zh) 一种饮料杯包装结构
JP2550714Y2 (ja) 2液混合容器
US902932A (en) Paper receptacle.
CN208531179U (zh) 瓶盖
JP3035719U (ja) タンク用トレイ
JP2550710Y2 (ja) 2液混合容器
KR920005688Y1 (ko) 병마개의 걸이장치
JP2002160756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S5827999Y2 (ja) 開口栓付容器の内容液注出口
JP2523142Y2 (ja) 2液混合容器
JPH0754152Y2 (ja) 衛生陶器の保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