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05Y1 - 핀타입 감압변압기 - Google Patents

핀타입 감압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05Y1
KR200156405Y1 KR2019960020347U KR19960020347U KR200156405Y1 KR 200156405 Y1 KR200156405 Y1 KR 200156405Y1 KR 2019960020347 U KR2019960020347 U KR 2019960020347U KR 19960020347 U KR19960020347 U KR 19960020347U KR 200156405 Y1 KR200156405 Y1 KR 200156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stant voltage
core
secondary coil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585U (ko
Inventor
임동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0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05Y1/ko
Publication of KR980009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전기강판이 적층되어 결합된 E코아(11) 및 I코아(12)와, 상기 E코아(11) 및 I코아(12)의 내부에 감겨진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과, 상기 2차코일(14)에 의해 감압된 교유전원을 메인회로기판(32)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2차코일(14)에 연결되는 출력단(16)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접속핀(17)을 구비한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17)과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2차코일(14)로부터 감압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1, C2)로 이루어지는 정전압회로(20)가 마련된 정전압회로기판(22); 및 상기 정전압회로기판(22)으로부터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상기 메인회로기판(32)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전압회로(20)의 출력측과 상기 메인회로기판(32)에 마련된 메인회로(30)의 입력측을 연결하는 접속단자(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정전압회로로 구성하는 다이오드와 콘덴서의 불량과 파손으로 인한 이상발생시 그 정전압회로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핀타입 감압변압기
본 고안은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감압하여 출력하는 접속핀에 정전압회로기판을 일체로 설치하여 정전압회로에서 이상발생시 정전압회로기판만을 교체함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압변압기는 전자렌지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의 전기부품에 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1차코일과 2차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감압하여 출력하게 되며, 그 중 핀타입 감압변압기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핀타입 감압변압기(10)는 다수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결합되는 E코아(11) 및 I코아(12)와, 그 E코아(11) 및 I코아(12)의 내부에 권선된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과, 입력측 접속단자(18)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110V 또는 220V)을 1차코일(13)에 인가하는 입력단(15)과, 2차코일(14)으로부터 감압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16)과, 그 출력단(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용접되는 접속핀(17)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핀타입 감압변압기(10)는 입력측 접속단자(18)를 통해 교류전원이 1차코일(13)에 입력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2차코일(14)에 유기되어 감압된 교류전원을 출력단(16)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 출력단(16)에 돌출형성된 접속핀(17)은 회로기판에 용접되어 그 회로기판에 형성된 정전압회로의 입력측과 접속된다. 이 정전압회로는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메인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에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메인회로는 정전압회로로부터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구성 부품에 인가하므로서 주어진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핀타입 감압변압기는 정전압회로와 메인회로가 함께 회로기판에 형성되었고, 그 정전압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의 불량과 파손에 의한 이상발생시 회로기판 전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메인회로를 구성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부품들까지 폐기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핀에 별도의 정전압회로기판을 일체로 설치하고 정전압회로기판과 메인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통해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인가하므로서 정전압회로의 이상발생시 메인회로기판은 교체하지 않고 정전압회로기판만을 교체함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핀타입 감압변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의 회로 연결을 나타내는 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압변압기 11 : E코아
12 : I코아 13 : 1차코일
14 : 2차코일 20 : 정전압회로
22 : 정전압회로기판 30 : 메인회로
32 : 메인회로기판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전기강판이 적층되어 결합된 E코아 및 I코아와, 상기 E코아 및 I코아의 내부에 감겨진 1차코일 및 2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에 의해 감압된 교류전원을 메인회로기판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2차코일에 연결되는 출력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접속핀을 구비한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과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2차코일로부터 감압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다이오드와 제1 및 제2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정전압회로가 마련된 정전압회로기판; 및 상기 정전압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상기 메인회로기판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전압회로의 출력측과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마련된 메인회로의 입력측을 연결하는 접속단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의 회로 연결을 나타내는 결선도로서 종래와 동일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10)는 다수개의 전기강판이 적층되어 결합된 E코아(11) 및 I코아(12)와, 상기 E코아(11) 및 I코아(12)의 내부에 감겨진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과, 메인회로기판(32)으로 감압된 교류전원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2차코일(14)의 출력단(16)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접속핀(17)을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측 접속단자(18)에 연결된 입력단(15)은 상용교류전원(110V 또는 220V)을 상기 1차코일(13)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1차코일(13)과 2차코일(14)은 절연테이프와 노멕스 페이퍼 등에 의하여 절연처리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접속핀(17)과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되는 별도의 정전압회로기판(22)과, 상기 정전압회로기판(22)으로부터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상기 메인회로기판(32)으로 인가하는 출력측 접속단자(21)를 특징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정전압회로기판(22)에는 상기 2차코일(14)로부터 감압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회로(20)가 마련된다.
상기 정전압회로(20)는 도3과 같이 핀타입 감압변압기(10)의 2차코일(14)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1, C2)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코일(14)의 일측에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의 전류흐름을 형성하는 제1다이오드(D1)가 연결되고, 상기 2차코일(14)의 타측에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의 전류흐름을 형성하는 제2다이오드(D2)가 연결되고,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제2다이오드(D2)의 입력단 사이에 제1콘덴서(C1) 및 제2콘덴서(C2)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핀타입 감압변압기(10)는 외부로부터 상용교류전원(110V 또는 220V)을 입력받기 위해 입력측 접속단자(18)에 의해 교류전원(1)에 연결된다.
상기 교류전원(1)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110V 또는 220V)은 상기 접속단자(18)에 연결된 입력단(5)을 통해 1차코일(13)에 인가하게 됨에 따라 그 2차코일(14)에 의해 감압된 교류전원이 상기 출력단(16)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접속핀(17)을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2차코일(14)에 유기되어 감압된 교류전원은 상기 접속핀(17)에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되는 상기 정전압회로(20)에 인가된다. 상기 정전압회로(20)에 입력되는 감압된 교류전원은 직류전원으로 변환되고 그 직류전원은 상기 접속단자(21)을 통해 상기 메인회로기판(32)에 형성된 메인회로(30)의 입력측에 인가된다.
상기 정전압회로(20)는 상기 메인회로기판(32)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정전압회로기판(22)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전압회로(20)를 구성하는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1, C2)의 불량 및 파손으로 인한 이상발생시 상기 메인회로기판(32)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정전압회로기판(22)만을 교체하게 된다.
상기 정전압회로(20)는 도3의 실선을 나타내는 전류흐름과 파선으로 나타낸 전류흐름이 번갈아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콘덴서(C1)는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전류흐름이 형성시 충전하게 되며, 상기 제2콘덴서(C2)는 상기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전류흐름이 형성시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콘덴서(C1)(C2)에 의해 충전되는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이 상기 접속단자(21)를 통해 메인회로(3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콘덴서(C1)와 제2콘덴서(C2)에 일정한 전압이 충전된다. 즉, 상기 2차코일(14)에서 감압된 교류전원을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출력단(16)의 접속핀(17)을 통해 출력하면 상기 접속단자(21)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회로(30)에 인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1차코일에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감압하는 2차코일에 연결되는 출력단의 접속핀에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정전압회로가 형성된 별도의 정전압회로기판이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되고 그 정전압회로기판과 메인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접속단자를 통해 일정한 전압의 직류전원을 메인회로에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정전압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와 콘덴서의 불량과 파손으로 인한 이상발생시 그 정전압회로기판만을 교체하고 메인회로기판은 교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메인회로의 부품가지 폐기해야 하는 단점을 해소하므로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다수개의 전기강판이 적층되어 결합된 E코아(11) 및 I코아(12)와, 상기 E코아(11) 및 I코아(12)의 내부에 감겨진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과, 상기 2차코일(14)에 의해 감압된 교류전원을 메인회로기판(32)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2차코일(14)에 연결되는 출력단(16)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접속핀(17)을 구비한 핀타입 감압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17)과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2차코일(14)로부터 감압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와 제1 및 제2콘덴서(C1, C2)로 이루어지는 정전압회로(20)가 마련된 정전압회로기판(22); 및 상기 정전압회로기판(22)으로부터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상기 메인회로기판(32)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전압회로(20)의 출력측과 상기 메인회로기판(32)에 마련된 메인회로(30)의 입력측을 연결하는 접속단자(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타입 감압변압기.
KR2019960020347U 1996-07-09 1996-07-09 핀타입 감압변압기 KR200156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347U KR200156405Y1 (ko) 1996-07-09 1996-07-09 핀타입 감압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347U KR200156405Y1 (ko) 1996-07-09 1996-07-09 핀타입 감압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85U KR980009585U (ko) 1998-04-30
KR200156405Y1 true KR200156405Y1 (ko) 1999-09-01

Family

ID=1946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347U KR200156405Y1 (ko) 1996-07-09 1996-07-09 핀타입 감압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8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516A (en) Series resonant converter transformer assembly having integral inductor tank elements
US6075431A (en) Converter transformer
CN109494974B (zh) 用于抑制干扰信号的电磁兼容性滤波器
US8564394B2 (en) Power module and circuit board assembly thereof
US10050533B2 (en) High voltage high frequency transformer
US20150214781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JP2004274262A (ja) 電気絶縁型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
US5631815A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KR20150050336A (ko) 변압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원장치
KR200156405Y1 (ko) 핀타입 감압변압기
JP2009213214A (ja) パワー駆動電源
US10097096B2 (en) Packaging of a power conversion circuit
US5610449A (en) Electric power unit
US20210384834A1 (en) In-vehicle power conversion device
US20230209681A1 (en) Electronic circuit with isolation
KR200147714Y1 (ko) 감압 변압기
KR200147713Y1 (ko) 리드타입 감압변압기
US7061360B2 (en) Transformer/rectifier arrangement
JP2585213B2 (ja) 調理器
JP321972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348407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
KR20040096233A (ko) 고압 변압기 및 전자레인지
JPH01130492A (ja) 高周波加熱装置用昇圧変圧器
JP2020150703A (ja) 電源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
KR100282490B1 (ko) 인버터 타입 파워 서플라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