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86Y1 -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86Y1
KR200156386Y1 KR2019960029407U KR19960029407U KR200156386Y1 KR 200156386 Y1 KR200156386 Y1 KR 200156386Y1 KR 2019960029407 U KR2019960029407 U KR 2019960029407U KR 19960029407 U KR19960029407 U KR 19960029407U KR 200156386 Y1 KR200156386 Y1 KR 200156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housing assembly
motor
insul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113U (ko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준
Priority to KR2019960029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와 전기자조립체, 프레임조립체 및 감속 하우징조립체가 상호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대 하우징조립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자동차용 DC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부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차단부를 갖는 소정형상의 절연체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 절연체를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에 압입설치된 단자상부로 끼움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자와 프레임조립체 및, 프레임조립체와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전기쇼크 및 화재발생 등의 위험을 제거하고, 통전으로 인한 모터의 성능저하우려를 방지하여 모터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제1도는 통상적인 DC 모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예시도,
제2도는 종래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절연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절연체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하우징조립체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용 DC 모터 10 : 하우징조립체
16 : 단자 19 : 절연체
19a : 지지부 19b : 차단부
19c : 요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DC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절연파괴로 인한 통전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전기쇼크 및 화재 등의 재해와 모터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DC 모터(이하 『모터』라 약칭한다)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와, 정류자 및 코어(CORE), 동선 등이 조립되어 있는 전기자조립체(20), 그리고 프레임조립체(30)와, 감속 하우징조립체(40)로써 조립, 구성되어 모터(1)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1)의 조립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몸체(11)상에 베어링(15)을 압입 설치한 후, 이러한 하우징몸체(11)로 스폿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케이블(13)로써 연결되는 브러쉬(18), 과부하차단기(14) 및 단자(16) 등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 단자(16)를 압입시켜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를 이룬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한 전기자조립체(20)를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의 축 중심에 끼움설치한 후 프레임조립체(30)를 덮고, 이어 상기한 감속 하우징조립체(40)를 연결한 다음 통상의 체결볼트(50)로써 체결고정시켜 모터(1)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상호 조립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이루어진 모터(1)의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상에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단자(16)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는 상대 단자(미도시)가 설치된 상대 하우징조립체(미도시)가 조립설치되어 모터(1)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모터(1)의 조립과정에서 하우징조립체(10)에 압입설치된 단자(16)와 프레임조립체(30)간에는 상호 접촉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게 되고, 이로 인해 프레임조립체(30)와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서도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결국 모터(1)에 의한 사용자의 전기쇼크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 등의 위험부담이 상단하였으며, 절연파괴로 인해 발생되는 누전에 의해 모터(1)의 성능저하를 일으키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한편, 이와같은 모터(1)의 절연파괴로 인한 통전의 위험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조립체(10)와 단자조립부를 감싸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럴 경우에는 단자(16)의 조립이 불가능해지는 폐단이 있기 때문에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모터의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에 설치된 단자와 각 구성부품의 통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와 전기자조립체, 프레임조립체 및 감속 하우징조립체가 상호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대 하우징조립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자동차용 DC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부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차단부를 갖는 소정형상의 절연체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 절연체를 일체형 하우징조립체에 압입설치된 단자상부로 끼움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자와 프레임조립체 및, 프레임조립체와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전기쇼크 및 화재발생 등의 위험을 제거하고, 통전으로 인한 모터의 성능저하우려를 방지하여 모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종래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은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와, 전기자조립체(20), 프레임조립체(30) 및, 감속 하우징조립체(40)가 체결볼트(50)에 의해 상호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대 하우징조립체(미도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자동차용 DC 모터(1)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부(19a)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차단부(19b)를 갖는 소정형상의 절연체(19)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 절연체(19)를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의 하우징몸체(11)상에 압입설치된 단자(16) 상부로 끼움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차단부(19b)로는 소정깊이의 요홈(19c)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한 하우징조립체(10)의 하우징몸체(11)상에 형성되는 돌출부(11a)로 상기 요홈(19c)이 끼워져 절연체(19)가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로써 12는 콘덴서를, 17은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설치과정과 병행하여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의 방법에 의해 하우징몸체(11)상에 베어링(15) 및 브러쉬, 과부하차단기(14), 단자(16) 등의 구성요소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단자(16)를 압입시켜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1)를 이룬다.
이때, 상기한 단자(16)와 접촉되며 단자(16)의 상부측으로 위치되도록 전술한 절연체(19)를 하우징조립체(10)상에 끼움설치하여, 절연체(19)의 지지부(19a)는 단자(16)와, 차단부(19b)는 후술하는 프레임조립체(30) 및 미도시된 상대 하우징조립체와 각각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절연체(19)는 모터(1)를 이루기 위해 상호 조립되는 하우징조립체(10)와 프레임조립체(30) 및 상대 하우징조립체의 접촉부위와 일치하도록 선택적으로 그 형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16)와 상디 프레임조립체(20) 및 상대 하우징조립체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통전에 의해 절연파괴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통상의 모터(1) 조립방식에 의해 전기자조립체(20) 및 프레임조립체(30) 감속 하우징조립체(40), 상대 하우징조립체(미도시) 등을 상호 조립시켜 모터(1)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절연체(19)의 재질로는 절연효과가 뛰어난 통상적인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할 것이나, 단자(16)와 프레임조립체(30) 및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 밀착설치되어 절연을 이룰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절연체(19)는 하우징조립체(10)와 이에 조립결합되는 상대 하우징조립체의 형상변경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의 용이한 설계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단자(16)와 프레임조립체(30), 미도시된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 밀착설치되어 통전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용 DC 모터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간에 소정형상을 갖는 절연체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구성부품의 통전에 의해 발생되는 절연파괴현상으로 인한 전기쇼크 및 화재 등의 발생과 함께 모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모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와, 전기자조립체(20), 프레임조립체(30) 및 감속 하우징조립체(40)가 체결볼트(50)에 의해 상호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대 하우징조립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자동차용 DC 모터(1)에 있어서, 지지부(19a)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차단부(19b)를 갖는 소정형상의 절연체(19)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 절연체(19)를 일체형 하우징조립체(10)의 하우징몸체(11)에 압입설치된 단자(16) 상부로 끼움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자(16)와 프레임조립체(30)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30)와 상대 하우징조립체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19)의 차단부(19b)로는 소정깊이의 요홈(19c)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조립체(10)의 하우징몸체(11)에 형성되는 돌출부(11a)상으로 상기 요홈(19c)이 끼워져 절연체(19)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KR2019960029407U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KR200156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07U KR200156386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07U KR200156386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13U KR19980016113U (ko) 1998-06-25
KR200156386Y1 true KR200156386Y1 (ko) 1999-09-01

Family

ID=1946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407U KR200156386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13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5860B1 (en) Coil connecting structure in outer rotor-type multi-pole generator
KR910005976B1 (ko) 브러쉬 지지겸용 단자 집합체
US5939812A (en) Collector machine with housing contacting
EP0305991B1 (en) Starting electric motor
US4965478A (en) DC motor with a durable pigtail arrangement
US6836038B2 (en) Motor having grounding structure for reducing radio noise
JP2002084624A (ja) 高電圧用電気接続箱
KR200156386Y1 (ko) 자동차용 dc 모터의 절연구조
JPH083178Y2 (ja) 小型モータ
US5572077A (en) Miniature motor
JPH06165443A (ja) 電動機
US5099163A (en) Brush devic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3152248B2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H1127825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3976118B2 (ja) バッテリ用ターミナル
JP2692125B2 (ja) 回転電機のブラシホルダ組付け構造
JPH0753397Y2 (ja) モータの固定構造
JPH10174357A (ja) 接続端子
JP2000245094A (ja) モータのアース接続装置
JPH0226214Y2 (ko)
KR200342852Y1 (ko)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 어셈브리 구조
JP7379786B2 (ja) ブラシ付き直流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38929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JPH11299164A (ja) モータの界磁コイル端末の固定構造
KR200148080Y1 (ko) 모터의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