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968Y1 -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968Y1
KR200155968Y1 KR2019970024844U KR19970024844U KR200155968Y1 KR 200155968 Y1 KR200155968 Y1 KR 200155968Y1 KR 2019970024844 U KR2019970024844 U KR 2019970024844U KR 19970024844 U KR19970024844 U KR 19970024844U KR 200155968 Y1 KR200155968 Y1 KR 200155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sliding surface
adjustment
cross slid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488U (ko
Inventor
한연순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4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9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로스 슬라이더 상에서 슬라이딩 함에 따른 새들의 마찰면 마모조정을 간단한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gib)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새들과 크로스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된 집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새들의 마찰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 편차를 테이퍼조정으로 조정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슬라이더에 나사결합되고, 외주 일측에 집의 테이퍼면에 걸림결합되는 리드 플랜지가 형성되며, 별도의 공구를 끼워 회전시키면서 집의 슬라이딩면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정수단; 상기 조정수단의 리드 플랜지의 이동으로 집이 조정될 수 있게 크로스 슬라이더의 일측에 조정홈을 형성하되, 상기 조정수단은 형성된 테이퍼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본 고안은 엔.씨선반 이송대 집(gib)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슬라이더 상에서 슬라이딩 함에 따른 새들의 마찰면 마모조정을 간단한 조작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gib)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씨 선반은 서보모터의 고속회전으로 축이 연동하고 그 축에 공작물을 클램프할 수 있는 척이 끼워져 있는 스핀들 유니트와, 공작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중심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스핀들 유니트의 구동축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공작물의 중심을 지지하도록 하는 심압대와, 상기 스핀들 유니트 상부의 베드상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운동을 하는 이송대 유니트와, 상기 이송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작물에 접근하여 바이트작업이나 선삭작업을 할 수 있게 다양한 공구가 구비된 터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송대 유니트를 도 1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대략 45°나 60°정도 기울어진 베드상에 스핀들 유니트의 구동축(도시안됨)과 동일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볼스크류 유니트의 볼스크류 축(10)에 결합되고 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크로스 슬라이더(11)가 구비되고, 상기 크로스 슬라이더(11)의 상부에는 새들(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새들(12)에는 크로스 슬라이더(11)를 구동하는 볼스크류 유니트와 서로 교차되어 수직으로 구동하는 별도의 볼스크류 유니트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수직구동 볼스크류 유니트는 서보모터(13)의 축과 커플링(14)결합된 볼스크류 축(10)이 상기 새들(12)상의 양측에 위치된 베어링(16)(16')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스크류 축(10) 상에는 그 축(10)이 회전함에 따라 직진운동을 하는 볼스크류 너트(17)가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볼스크류 너트(17)에는 도시되지 않은 터릿이 위치된 이송대(18)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서 새들(12)에 위치된 이송대(18)가 수직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새들(12)과 크로스 슬라이더(11) 사이에 개재된 집(gib 19)이라는 길이방향 소재의 슬라이딩면(19a)을 타고 상기 새들(12)이 수직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집(19)의 슬라이딩면(19a)은 작업에 따른 수직운동의 연속으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된다. 상기 슬라이딩면(19a)의 대향측에는 좌,우 양측에 형성된 조정 스크류(20)의 조정으로 마찰마모에 의해 발생하는 새들(12)과의 틈새를 제거하도록 하여 작업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집 슬라이딩면 조정장치는 구조상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설치위치가 터릿이 고정되는 이송대, 기계의 외관을 고려한 커버, 배관 및 배선 등의 장애물로 가리워져 있는 곳이기 때문에 조정작업이 힘들게 될 뿐 아니라 두 개의 조정 스크류를 동시에 움직이면서 조정작업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과 능률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로스 슬라이더 상에서 슬라이딩 함에 따른 새들의 마찰면 마모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조정수단을 한 개소로 국한시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능률을 이루도록 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gib)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새들과 크로스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된 집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새들의 마찰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 편차를 테이퍼조정으로 조정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슬라이더에 나사결합되고, 외주 일측에 집의 테이퍼면에 걸림결합되는 리드 플랜지가 형성되며, 별도의 공구를 끼워 회전키면서 집의 슬라이딩면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정수단; 상기 조정수단의 리드 플랜지의 이동으로 집이 조정될 수 있게 크로스 슬라이더의 일측에 조정홈을 형성하되, 상기 조정수단은 형성된 테이퍼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볼스크류결합된 종래의 이송대를 도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이송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 - 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크로스 슬라이더 12 : 새들
18 : 이송대 19 : 집(gib)
19a : 슬라이딩면 19b : 테이퍼면
30 : 조정스크류 31 : 볼트부
32 : 리드 플랜지 33 : 로크너트
34 : 조정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이송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 - A 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새들(12)과 크로스 슬라이더(11) 사이에 개재된 집(19)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새들(12)의 마찰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 편차를 테이퍼조정으로 조정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슬라이더(11)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부(31)가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집(19)의 테이퍼면(19b)에 걸림결합되어 볼트부(31)가 진행하면서 상기 집(19)의 슬라이딩면(19a)을 새들(12)쪽으로 상향시키도록 가이드하는 리드 플랜지(32)가 형성되며, 별도의 공구를 끼워 회전시키면서 상기 집(19)의 슬라이딩면(19a)을 상향조정하도록 하는 조정 스크류(30)를 구비한다. 상기 조정스크류(30)의 끝단에는 조정된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로크너트(3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스크류(30)의 리드 플랜지(32)가 볼트부(31)의 나사결합에 따른 이동으로 집(19)의 슬라이딩면(19a)이 조정될 수 있게 크로스 슬라이더(11)의 일측에 일정 여유공간인 조정홈(3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조정스크류(30)의 설치위치는 형성된 테이퍼면(19b)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스크류에 의한 이송대의 잦은 운동으로 새들(12)과, 상기 새들(12)과 크로스 슬라이더(11) 사이에 개재된 집(19)의 슬라이딩면(19a)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마모의 염려는 강성을 어느정도 고려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해결할 수 있겠지만 동일 강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슬라이딩되는 면에 결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하기 편리한 소모성인 부분에는 강성이 약한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 집(19)이다.
한편, 상기 집(19)의 슬라이딩면(19a)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새들(12)과의 미세한 이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격은 높은 정밀도의 가공을 요하는 공작기계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본 고안에서 집(19)의 테이퍼면(19b)과 크로스 슬라이더(11)의 테이퍼면(11b)이 서로 완전히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홈(34)내에 위치된 조정스크류(30)를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집(19)이 상향되는 방향쪽으로 돌리면 볼트부(31)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리드 플랜지(32)에 의해 집(19)은 볼트부(31)의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계속 조정하는 과정에서 조정이 완료되면 로크너트(33)를 꽉 죄어 고정하면 조정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단 한 번의 조정스크류의 조정작업으로 간단히 해결되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조작상의 간편함을 제공하게 되고, 조정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이바지 되는 간단하지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새들과 크로스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된 집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새들의 마찰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 편차를 테이퍼조정으로 조정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슬라이더에 나사결합되고, 외주 일측에 집의 테이퍼면에 걸림결합되는 리드 플랜지가 형성되며, 별도의 공구를 끼워 회전시키면서 집의 슬라이딩면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정수단;
    상기 조정수단의 리드 플랜지의 이동으로 집이 조정될 수 있게 크로스 슬라이더의 일측에 조정홈을 형성하되, 상기 조정수단은 형성된 테이퍼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KR2019970024844U 1997-08-30 1997-08-30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KR200155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44U KR200155968Y1 (ko) 1997-08-30 1997-08-30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44U KR200155968Y1 (ko) 1997-08-30 1997-08-30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88U KR19990011488U (ko) 1999-03-25
KR200155968Y1 true KR200155968Y1 (ko) 1999-09-01

Family

ID=1950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844U KR200155968Y1 (ko) 1997-08-30 1997-08-30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529A (ko) * 2001-12-31 2003-07-07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기브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529A (ko) * 2001-12-31 2003-07-07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기브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88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304B2 (en) Multi-function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in multi-function machine tool
US9162289B2 (en) Machine tool apparatus and method
CN100349693C (zh) 用于万能铣床的主轴头以及万能铣床
JPH0794094B2 (ja) 工作機械
JP2005028480A (ja) Nc旋盤
CN1312746A (zh) 具有冷车削附件的磨床
JP2018075667A (ja) 工作機械
US5429020A (en) Lathe
WO1992015425A1 (en) Machine tool
KR200155968Y1 (ko) 엔.씨선반 이송대 집의 슬라이딩면 조정장치
JPH05212617A (ja) ねじ研削盤
JP3195389B2 (ja) 工作機械
KR100563950B1 (ko) 복합가공테이블 및 이 테이블을 구비한 수직선반
JPS6354504B2 (ko)
CN214979165U (zh) 一种倾斜式双主轴车铣设备
JP2001246531A (ja) 工作機械
US7201088B2 (en) Lathe
KR960013171B1 (ko) Cnc 선반
JPH0740114A (ja) ガンドリル機械
RU2727133C1 (ru) Токарный обрабатывающий центр
JPS6210024Y2 (ko)
JPH04365501A (ja) 対向スピンドル旋盤
JP2005028481A (ja) 工作機械
JP2632249B2 (ja) 移動差制御方法及び装置
JPS62183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