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47Y1 -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47Y1
KR200155447Y1 KR2019960033217U KR19960033217U KR200155447Y1 KR 200155447 Y1 KR200155447 Y1 KR 200155447Y1 KR 2019960033217 U KR2019960033217 U KR 2019960033217U KR 19960033217 U KR19960033217 U KR 19960033217U KR 200155447 Y1 KR200155447 Y1 KR 200155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miconductor package
fixing
manufacturing equipment
packag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013U (ko
Inventor
박종문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정헌태
주식회사아남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정헌태, 주식회사아남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2019960033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림/포밍공정까지 완료되어 낱개로 분리된 반도체 패키지를 다음공정으로 양호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를 안착시키는 트레이를 적층시켜 로딩 및 언로딩시 하나의 트레이 만을 순차적으로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트레이를 고정함으로서 트레이의 정확한 로딩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에서 트림/포밍 공정까지 완료되어 낱개로 분리된 반도체 패키지를 다음공정으로 양호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패키지를 안착시키는 트레이를 적층시켜 로딩 및 언로딩시 하나의 트레이 만을 순차적으로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트레이를 고정함으로서 트레이의 정확한 로딩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은 소잉 공정, 와이어 본딩 공정, 몰딩 공정 및 트림/포밍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와같이 트림/포밍 공정까지 거친 반도체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자체로부터 분리됨으로서 다음공정을 위해서는 튜브나 트레이 등에 낱개로 분리된 반도체 패키지를 삽입시키거나, 안착시켜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에는 트레이를 로딩시켜 반도체 패키지를 안착시키고, 이를 다시 언로딩 시키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트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서 반도체 패키지를 안착시킬 때 트레이의 로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불량을 발생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이를 로딩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 및 고정되도록 트레이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트림/포밍 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를 상기 트레이에 안착할 때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서 작업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 로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트레이 래치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급부 20 : 이송수단
30 ; 고정수단 40 : 배출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로딩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반도체 패키지가 안착되기전의 빈 트레이(50)가 다수 적층되어 있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에 적층된 트레이(50)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하나의 트레이(50)만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된 빈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과,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트레이(50)에 반도체 패키지를 모두 안착시킨 다음 배출하여 적층시켜 놓는 배출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공급부(10)에서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된 빈 트레이(5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은 트레이(50)의 하부에서 트레이(50)를 고정시키는 상부고정구(31)와, 상기 트레이(50)의 측면에서 트레이(50)를 고정시키는 측면고정구(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고정구(31)와 측면고정구(32)는 트레이(50)의 공급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린더(33)가 작동되어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50)에 반도체 패키지가 모두 안착되어 배출부(40)에 적층될 때에는 제3(a)(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래치(41)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서, 이는 L형의 래치(41)가 힌지(42) 결합되고, 상기 래치(41)의 상부에 스프링(44)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된 작동핀(43)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래치(41)는 반도체 패키지가 안착된 트레이(50)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오게 되면 상기 래치(41)가 힌지(42)를 지점으로 작동핀(43)을 밀면서 회동되고, 트레이(50)가 완전히 올라온 상태에서는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43)이 전진되어 래치(41)를 원위치로 복원시킴으로서 트레이(50)가 다시 하부로 빠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의하면, 트레이를 로딩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 및 고정되도록 트레이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트림/포밍 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를 상기 트레이에 안착할 때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서 작업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반도체 패키지가 안착되기전의 빈 트레이가 다수 적층되어 있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적층된 트레이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하나의 트레이 만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빈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트레이에 반도체 패키지가 모두 안착되면 이를 배출시켜 적층시키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트레이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상부고정구와, 트레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L형의 래치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래치의 상부 일측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된 작동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KR2019960033217U 1996-10-09 1996-10-09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KR200155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17U KR200155447Y1 (ko) 1996-10-09 1996-10-09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17U KR200155447Y1 (ko) 1996-10-09 1996-10-09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13U KR19980020013U (ko) 1998-07-15
KR200155447Y1 true KR200155447Y1 (ko) 1999-09-01

Family

ID=1946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217U KR200155447Y1 (ko) 1996-10-09 1996-10-09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227A (ko) * 1997-04-25 1998-11-16 윤종용 트레이 적재 장치
KR100456081B1 (ko) * 1997-12-29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류기 및 그를 이용한 트레이 로딩 장치
KR100904472B1 (ko) * 2007-10-12 2009-06-24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장비의 튜브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13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948B1 (ko) 반도체 번-인 공정의 반도체 디바이스 추출/삽입 및자동분류장치
KR200155447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KR100401014B1 (ko) 테스트 핸들러
KR100194326B1 (ko) 수평식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KR100223093B1 (ko) 수평식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KR100337570B1 (ko) 모듈아이씨 적재 트레이 순환 이송시스템
KR100194325B1 (ko) 수평식핸들러의 소자이송방법
KR0143334B1 (ko) 반도체 소자검사기의 고객트레이 이송장치
KR100981637B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S59128125A (ja) ロ−ダ・アンロ−ダ
KR101712075B1 (ko) 쏘잉소터시스템의 턴테이블 장치
KR19980026359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로딩장치
JPH07101550A (ja) 物品処理装置
KR100404621B1 (ko) 반도체 소자 분류기용 핸들러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200592B1 (ko) 집적 회로 소자의 검사 시스템
KR0144250B1 (ko) 칩 보관용 트레이 적재를 위한 매거진
JP2004319889A (ja) 製造対象物の受け渡し装置および製造対象物の受け渡し方法
KR100732529B1 (ko) 벌크 방식의 테스터 핸들러 로더/언로더
KR20050097730A (ko) 반도체 칩 패키지용 자동 성형 장치
KR20080058561A (ko) 테스트 핸들러
KR100346664B1 (ko) 반도체 제조용 커버레이 부착시스템
KR20080104494A (ko)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이송방법
JP2985532B2 (ja) Icデバイスの移載方法
KR200237345Y1 (ko) 반도체칩테스트장치
KR200267108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 장비의 매거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