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480Y1 -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 Google Patents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480Y1
KR200154480Y1 KR2019970000654U KR19970000654U KR200154480Y1 KR 200154480 Y1 KR200154480 Y1 KR 200154480Y1 KR 2019970000654 U KR2019970000654 U KR 2019970000654U KR 19970000654 U KR19970000654 U KR 19970000654U KR 200154480 Y1 KR200154480 Y1 KR 200154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anel
frame
closed position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629U (ko
Inventor
박문찬
Original Assignee
박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찬 filed Critical 박문찬
Priority to KR2019970000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4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4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를 제공한다.
그 밀폐형 도어는, 도어를 도어프레임(22)에 대해 개폐시키기 위한 밀폐형 도어에 있어서: 일측이 도어프레임(22)에 고정되는 힌지(23); 그 힌지(23)의 타측이 고정되어 도어프레임(22)에 대해 개방위치와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내부 프레임(24); 상기 도어프레임(22)에 대해 완전히 밀폐되는 밀폐위치와 상기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전, 후진 가능하게 내부프레임(24)에 결속되는 도어패널(21);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21)을 전, 후진시키도록 도어패널(21)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도어프레임(22)에 지지되어 도어패널(21)을 도어프레임(22) 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밀폐위치와 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그 도어프레임(22)에 걸림이 없어 도어패널(21)과 내부프레임(24)이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스토퍼(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간편한 조작으로 개방가능 폐쇄위치로부터 밀폐위치로 도어패널(21)을 전진, 도어프레임(22)을 가압, 밀착시켜 간단한 구조로 공기 및 가스 등의 기체나 유체 및 음향으로부터 실내(또는 폐쇄공간부)와 실외를 완벽하게 차단, 밀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본 고안은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간단한 구조로 공기 및 가스 등의 기체나 유체 및 음향으로부터 실내(또는 폐쇄공간부)와 실외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하우징의 점검문 등 하우징을 필요로 하는 기계의 점검문이나, 건조로, 냉동(창)고 기타 기체 또는 음향으로부터 완벽한 차단을 필요로하는 곳에서는 밀폐형 도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밀폐형 도어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밀폐의 정도가 떨어지거나, 또는 밀폐의 정도가 높을 수록 도어의 개폐조작이 더욱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96-79159호(1996.12.31일 출원)의 발명은 그 구조가 복잡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단순한 구조와 간편한 조작으로 도어가 도어프레임의 전체에 걸쳐 강력하고도 완벽하게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는,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도어의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밀폐형 도어의 배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밀폐형 도어의 밀폐상태와 개방가능 폐쇄상태를 도시한 제2도의 선 C-C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은 스토퍼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제7도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도어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3-2 : 스토퍼(stopper) 3-2a : 롤러
4 : 구동축 5 : 보강판
6 : 축받침부재 7 : 구동판
8, 9, 10 : 링케이지 21 : 도어패널
21a : 도어패킹 22 : 도어프레임
23 : 힌지(hinge) 24 : 내부프레임
25, 25-1 : 가이드부재 25a : 이탈방지부재
27 : 판스프링 28 : 핸들
28a, 28b : 핸들고정장치 30 : 단열처리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대해 개폐시키기 위한 밀폐형 도어에 있어서: 일측이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 그 힌지의 타측이 고정되어 도어프레임에 대해 개방위치와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내부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대해 완전히 밀폐되는 밀폐위치와 상기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내부프레임에 대해 전, 후진 가능하게 내부프레임에 결속되는 도어패널;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을 전, 후진시키도록 도어패널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도어프레임에 지지되어 도어패널을 도어프레임 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밀폐위치와 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그 도어프레임에 걸림이 없어 도어패널과 내부프레임이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는 축받침부재를 개재하여 도어패널에 회전가능하게 대향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함께 회동하며, 그 한쌍의 구동축은 한쌍의 링케이지 및 하나의 구동판을 개재하여 하나의 외부 핸들에 의해 회동되고, 그 핸들은 상기 스토퍼의 밀폐위치에서 도어패널에 고정가능하도록 도어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패널과 내부프레임 사이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도어패널이 후진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에 있을 때 그 도어패널이 내부프레임에 대해 유동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이 상기 도어패널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그 축받침부재에 안내되는 앵글로 형성되고, 도어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가 축받침부재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패널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가 도어패널에 고정되고, 도어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부재가 그 가이드부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핸들을 밀폐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핸들고정장치가 도어패널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 부착된 롤러를 개재하여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고정시트 보강판에 가압되어 도어패널이 도어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더욱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내지는 구동축이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도어프레임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토퍼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정밀한 작동과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도어의 정면도와 배면도가 도시되며, 도3 및 도4에는 도2의 선 C-C 단면을 취한 단면도로서 그 밀폐형 도어의 밀폐상태와 개방가능 폐쇄상태가 도시되고, 도7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1 내지 도4에서 그 실시예의 밀폐형 도어는 적어도 도어프레임(22), 힌지(23), 내부프레임(24), 도어패널(21), 스토퍼(3)을 구비한다.
그 힌지(23)는 일측이 도어프레임(22)에 고정되고 타측이 내부프레임(24)에 고정되어 그 내부프레임(24)이 도어프레임(22)에 대해 개방위치와 개방가능 폐쇄위치사이에서 회동한다. 내부프레임(24)은 대형 도어나 중량의 도어인 경우 충분한 강도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패널(21)은 그 내부프레임(24)과는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22)에 대해 완전히 밀폐되는 밀폐위치(도3에 도시된 상태)와 상기 개방가능 폐쇄위치(도4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전, 후진 가능하게 구성되며, 단지 도어패널(21)의 이탈의 방지 내지는 원활한 전후진을 위해 상기 도어패널(21)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도7에서 25; 도2내지 도4에서 축받침부재(6)가 가이드부재의 역할을 겸함) 및 이탈방지부재(25a)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패널(21)이 후진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에 있을 때 그 도어패널(21)이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유동하지 아니하도록 그 도어패널(21)과 내부프레임(24) 사이에 판스프링(27)이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도2 내지 도4에서 볼트 내지는 핀 등을 축받침부재(6)에 설치하여 구성되고 도7에서는 판부재를 가이드부재(25)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구성되나, 축받침부재(6)의 일측을 돌출하여 형성하거나 가이드부재(25)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도어패널(21)의 전후진 운동은, 상기 스토퍼(3-1)에 의해 달성된다. 그 스토퍼(3-1)는, 도어패널(21)에 축받침부재(6)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4)에 고정되어 함께 밀폐위치와 개방가능 폐쇄위치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그 밀폐위치에서 스토퍼고정시트인 보강판(5)에 밀착됨으로써 도어패널(21)이 도어패킹(28a)을 개재하여 도어프레임(22)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 구동축(4)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에서는 내부프레임(24)의 내측 도어패널(21)에 설치되어 스토퍼(3-1)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변형 등으로 인한 작동의 불안정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강도의 보강이 필요하여 중량화, 대형화되지만,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축(4)이 내부프레임(24)의 외측 도어패널(21)에 도어프레임(22)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토퍼(3-1)의 길이가 짧게 되므로 정밀한 작동과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축(4)는 링케이지(8, 9, 10) 및 구동판(7)을 개재하여 외부의 핸들(28)에 의해 회동되고, 그 핸들(28)은 상기 스토퍼(3)의 밀폐위치에서 반발력에 대해 고정되도록 도어패널(21)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어패널(21)의 외면에는 핸들고정장치(28a, 28b)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자물쇠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대부분이 도어패널(21)의 내부에 형성되고 단열처리선(3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가 충전됨으로써 단열이 보장되게 된다.
또,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1)의 단부에 롤러(3-2a)가 부착되고 도어프레임(22)에는 스토퍼고정시트 보강판(5)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스토퍼(3-1)가 밀폐위치로 회동하는 때에 롤러(3-2a)가 보강판(5)상에서 구름운동을 일으키면서 도어패널(21)을 밀폐시키게 되어,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고 도어패널(21)을 견고하게 도어프레임(22)에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의 개폐방법은 그 작동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프레임(22)에 대해 힌지(23)를 개재하여 내부프레임(24)이 개방위치(도시생략됨)와 개방가능 폐쇄위치(도4의 상태)사이에서 회동함으로써 내부프레임(24)에 결속된 도어패널(21)이 함께 회동하여 그 도어프레임(22)을 개폐시킨다.
도어패널(21)을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그 도어패널(21)의 개방가능 폐쇄위치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8)을 밀폐위치로 회동하여 스토퍼(3-1)를 회동시킴으로써 도어프레임(22)의 스토퍼고정시트 보강판(5)에 롤러(3-2a)가 접촉, 가압하면서 도어패널(21)이 전진함으로써 도어프레임(22)에 도어패킹(21a)을 개재하여 도어패널(21)이 가압, 밀폐된다. 핸들(28)은 핸들고정장치(28a, 28b)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반발력에 따른 핸들(28)의 복귀를 방지하고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핸들고정장치(28a, 28b)는 종래의 공지된 것으로 일예로는 도1에서 핸들(28)을 제2핸들고정부재(28b)의 내측으로 회동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핸들고정부재(28a)를 점선의 위치로부터 실선의 위치로 회동시키고 그 제2핸들고정부재(28b)와의 사이에 고정핀 내지는 자물쇠를 채움으로써 핸들(28)이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개방을 위해서는 핸들고정장치(28a, 28b)를 해제하고 핸들(28)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3-1)가 도어프레임(22)으로부터 해제되고 도어패널(21)이 개방가능 폐쇄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도어패널(21)을 개방시킴으로써 도어프레임(22)이 개방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도어를 내부프레임(24)과 도어패널(21)로 분리시키고 그 상대적 전,후진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속시키며, 도어패널(21)의 내면에 설치되는 다수쌍의 스토퍼(3-1)와 구동축(4)을 하나의 구동판(7)과 핸들(28)을 회동시킴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개방가능 폐쇄위치로부터 밀폐위치로 도어패널(21)을 전진, 도어프레임(22)에 가압, 밀착시켜 간단한 구조로 공기 및 가스 등의 기체나 유체 및 음향으로부터 실내(또는 폐쇄공간부)와 실외를 완벽하게 차단, 밀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스토퍼를 중심으로 그 관련구성과 작동이 설명되고 도면에서는 도어프레임의 상하 내지는 좌우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는 구성이 도시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여러가지로 변경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도어를 도어프레임(22)에 대해 개폐시키기 위한 밀폐형 도어에 있어서:
    일측이 도어프레임(22)에 고정되는 힌지(23);
    그 힌지(23)의 타측이 고정되어 도어프레임(22)에 대해 개방위치와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내부 프레임(24);
    상기 도어프레임(22)에 대해 완전히 밀폐되는 밀폐위치와 상기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전, 후진 가능하게 내부프레임(24)에 결속되는 도어패널(21);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21)을 전, 후진시키도록 도어패널(21)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도어프레임(22)에 지지되어 도어패널(21)을 도어프레임(22) 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밀폐위치와 후진시키도록 회동된 때에 그 도어프레임(22)에 걸림이 없어 도어패널(21)과 내부프레임(24)이 개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스토퍼(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1)가 축받침부재(6)를 개재하여 도어패널(21)에 회전가능하게 대향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구동축(4)에 고정되어 함께 회동하며, 그 한쌍의 구동축(4)은 한쌍의 링케이지(8, 9, 10) 및 하나의 구동판(7)을 개재하여 하나의 외부 핸들(28)에 의해 회동되고, 그 핸들(28)은 상기 스토퍼(3-1)의 밀폐위치에서 도어패널(21)에 고정가능하도록 도어패널(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21)이 후진하는 개방가능 폐쇄위치에 있을 때 그 도어패널(21)이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유동하지 아니하도록 그 도어패널(21)과 내부프레임(24) 사이에 판스프링(2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24)이 상기 도어패널(21)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그 축받침부재(6)에 안내되는 앵글로 형성되고, 도어패널(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25a)가 축받침부재(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24)에 대해 상기 도어패널(21)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25)가 도어패널(21)에 고정되고, 도어패널(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25a)가 그 가이드부재(2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8)을 밀폐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핸들고정장치(28a, 28b)가 도어패널(21)의 외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1)의 단부에 부착된 롤러(3-2a)를 개재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2)에 설치된 스토퍼고정시트 보강판(5)에 가압되어 도어패널(21)이 도어프레임(22)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1) 내지는 구동축(4)이 내부프레임(24)의 외측에 도어프레임(22)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토퍼(3-1)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정밀한 작동과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도어.
KR2019970000654U 1997-01-20 1997-01-20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KR200154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654U KR200154480Y1 (ko) 1997-01-20 1997-01-20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654U KR200154480Y1 (ko) 1997-01-20 1997-01-20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629U KR19980056629U (ko) 1998-10-15
KR200154480Y1 true KR200154480Y1 (ko) 1999-08-16

Family

ID=1949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654U KR200154480Y1 (ko) 1997-01-20 1997-01-20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4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629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8267B2 (ja) 無摺動真空ゲートバルブ
US6170195B1 (en) Door assembly
CA2331080A1 (en) Over center door closing mechanism
US4913476A (en) Door latch and release apparatus
KR100707435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CA2680754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200154480Y1 (ko) 분리된 내부 프레임을 지니는 밀폐형 도어
JP2685971B2 (ja) 冷蔵庫等の扉装置
KR100214764B1 (ko) 분리된 내부 프레임에 의한 밀폐형 도어의 개폐방법과 그 밀폐형도어
KR101804523B1 (ko) 틈새 차단기능을 구비한 폴딩도어
KR20190094869A (ko) 상부 리드 개폐 장치
JP4033365B2 (ja) 開閉体の係脱装置
CN220415164U (zh) 一种用于湿法烟气脱硫设备的插板门
KR10070745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스킷 장치
KR200294540Y1 (ko) 도어 폐쇄용 푸싱부재가 구비된 폴딩 도어
KR20120109583A (ko) 자연 환기창
JP2618849B2 (ja) 引戸の封止装置
JP3326092B2 (ja) 室内側扉開き補助装置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EP1022419B1 (en) Compound hinge
JPH0424515B2 (ko)
WO2020121620A1 (ja) ドア開閉装置
KR0130639Y1 (ko) 반쪽개방 냉장고 도어장치
JP2022046094A (ja) ドア装置及びドア機構
JPH0240249A (ja) 遠心分離機のスライドド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