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583A - 자연 환기창 - Google Patents

자연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583A
KR20120109583A KR1020127019693A KR20127019693A KR20120109583A KR 20120109583 A KR20120109583 A KR 20120109583A KR 1020127019693 A KR1020127019693 A KR 1020127019693A KR 20127019693 A KR20127019693 A KR 20127019693A KR 20120109583 A KR20120109583 A KR 2012010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uilding
window
freel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290B1 (ko
Inventor
겐이치 이리우치지마
히로유키 자마
마모루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3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46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05Y2800/748Specific positions e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자연 환기창(1)은 건물 안(2) 및 건물 밖(3)을 연통하는 건물의 창(4)을 규정하는 틀체(5)와, 건물의 창(4)을 개폐하는 장지문(6)과,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6)에 건물의 창(4)에 대한 자연 개폐를 행하게 하는 자연 개폐 수단(7)과, 장지문(6)에 건물의 창(4)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연 환기창{Natural ventilation window}
본 발명은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을 개폐 이동시켜 건물의 창을 개폐시키는 자연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장지문의 세로문틀 상부에 일단이 피봇결합되고 타단이 그 일단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창틀의 세로틀에 피봇결합된 메인 아암과, 세로문틀 중간부에 일단이 피봇결합되고 타단이 세로틀 하부에 피봇결합되며 메인 아암보다도 긴 서브 아암을 가지고 있고, 서브 아암의 일단 및 창을 닫은 상태에 있는 장지문의 중심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지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는 자연 환기창이 제안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서는 창 완전개방 위치측에 있는 장지문의 기류에 기초한 창 폐쇄 이동을 가볍게 함과 동시에 창 완전폐쇄 위치측에 있는 장지문의 기류에 기초한 창 폐쇄 이동을 무겁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창 완전개방 위치측에 있는 장지문의 기류에 기초한 개폐 이동에 의해 적합하게 환기할 수 있고, 게다가 창 완전폐쇄 위치 측에 있는 장지문의 급속한 개폐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연 환기창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3-24737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8-75301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자연 환기창에 있어서, 자연 환기를 정지하거나 우천시 등에 빗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강제적인 창 폐쇄를 행할 수 있도록 장지문에 연결된 견인 끈 또는 견인 와이어 또는 기어 기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지문의 회전에 대해 이들 견인 끈 또는 견인 와이어의 하중 또는 기어 기구의 마찰력이 부하되어, 약한 기류에 의한 창 개방이 저해되어 자연 환기의 동작 범위가 한정되는 데다가, 자연 환기 중에서도 견인 끈 또는 견인 와이어가 주행되고 기어 기구가 동작하게 되어 이음(異音)의 발생, 조기의 소모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연 환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할 때에 자연 환기를 정지하거나, 우천시 등에 빗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강제적인 창 폐쇄를 행할 수 있는 자연 환기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자연 환기창은 건물의 창을 규정하는 틀체와, 건물의 창을 개폐하는 장지문과,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에 건물의 창에 대한 자연 개폐를 행하게 하는 자연 개폐 수단과, 장지문에 건물의 창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자연 개폐 수단은,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중 한쪽을 상하동(上下動)이 자유롭게 또한 그 한쪽을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지지 기구와,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간의 중간부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지지 기구는 장지문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 수평 축심을 가진 축체와,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제2 수평 축심은 장지문의 자중에 의해 그 장지문에 건물의 창의 자연 개방을 일으키도록, 장지문에 의한 건물의 창의 완전폐쇄부터 완전개방까지는 장지문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서 건물 내외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며, 축 지지체는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건물 내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를 사이에 두고 그 축체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벽을 가지고 있고, 강제 폐쇄 수단은, 틀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부재와, 이 아암 부재를 제1 및 제2 회전 위치에 배치하도록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아암 부재는 제1 회전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 장지문을 고정하도록 축체에 걸어맞춤하는 한편,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의 장지문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체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연 환기창에 의하면, 장지문에 건물의 창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이, 틀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부재와, 이 아암 부재를 제1 및 제2 회전 위치에 배치하도록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아암 부재는 제1 회전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 장지문을 고정하도록 축체에 걸어맞춤하는 한편,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의 장지문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체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 환기 중에서의 장지문에의 간섭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고, 자연 환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할 때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자연 환기를 정지하거나, 우천시 등에 빗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강제적인 창 폐쇄를 행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중 한쪽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수평 축심을 가진 다른 축체와, 이 다른 축체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다른 축체를 사이에 두고 다른 축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1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다른 한 쌍의 안내벽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예의 회전 수단은, 제1 연결 부재와, 이 제1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아암 부재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직동(直動)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제1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일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5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2 연결 부재와, 이 제2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제2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예에서는 연결 기구는 제4 수평 축심을 가진 연결 축체와, 아암 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 축체를 사이에 두는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과,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 축체를 사이에 두고 제3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원호형상 안내벽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회전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제2 연결 부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동 핸들 또는 제2 연결 부재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은 아암 부재의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 내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아암 부재의 제1 회전 위치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 기구는 한 쌍의 원호형상 안내벽의 일단에 연접(連接)되어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암 부재의 제1 회전 위치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4 한 쌍의 안내벽을 더 가져도 된다.
회전 기구는 제2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는 수동 핸들 또는 전동 모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한 쌍의 안내벽 및 원호형상 안내벽은 장공 또는 오목개소를 규정하는 벽으로 구체화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 환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할 때에 자연 환기를 정지하거나, 우천시 등에 빗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강제적인 창 폐쇄를 행할 수 있는 자연 환기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의 장착판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틀 본체의 정면도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가로 중앙부로부터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예의 동작 설명을 위한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예의 동작 설명을 위한 가로 중앙부로부터의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된 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실시예
도 1부터 도 7에서, 본 예의 자연 환기창(1)은 건물 안(2) 및 건물 밖(3)을 연통하는 건물의 창(4)을 규정하는 틀체(5)와, 건물의 창(4)을 개폐하는 장지문(6)과,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6)에 건물의 창(4)에 대한 자연 개폐를 행하게 하는 자연 개폐 수단(7)과, 장지문(6)에 건물의 창(4)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틀체(5)는, 상부틀(11)과, 하부틀(12)과, 상부틀(11) 및 하부틀(12)를 가로방향에서 교락(橋絡)하는 한 쌍의 바깥 세로틀(13, 14)과, 바깥 세로틀(13, 14) 각각에 고착된 지지판(15, 16)과, 바깥 세로틀(13, 14) 각각에 병치(竝置)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틀(11) 및 하부틀(12)를 세로방향에서 교락하는 한 쌍의 안쪽 세로틀(17, 18)과, 창(4)의 둘레에서 틀체(5)에 끼움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창 완전폐쇄 위치에 있는 장지문(6)의 외연(外緣)에 접촉하여 장지문(6)의 외연과 협동하여 창(4)을 긴밀하게 폐쇄하는 시일 부재(19)를 구비하고 있다.
창(4)은, 상부틀(11)의 하면과, 하부틀(12)의 상면과, 안쪽 세로틀(17, 18) 각각의 내측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시일 부재(19)는, 상부틀(11) 및 하부틀(12)의 전면과 안쪽 세로틀(17, 18) 각각의 전면에 형성된 오목개소에 끼움고정되어 있다.
장지문(6)은 직사각형상의 장지문 테두리와 이 장지문 테두리에 끼워 넣어진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장지문이어도 되고, 단순한 직사각형상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장지문이어도 되며, 바깥 세로틀(13)의 내측면에 고착된 지지판(15)과 바깥 세로틀(14)의 내측면에 고착된 지지판(16)은 서로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바깥 세로틀(13)의 내측면에 고착된 지지판(1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바깥 세로틀(14)의 내측면에 고착된 지지판(16)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숫자 부호에 덧붙여 부호 a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지지판(15)은 바깥 세로틀(13)의 내측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착된 상부 장착부(21) 및 하부 장착부(22)와, 상부 장착부(21) 및 하부 장착부(2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23)와, 베이스부(2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부(23)에서 건물 밖(3)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4)와, 베이스부(23)의 상부에 형성된 장공(25)과, 돌출부(24)에 형성된 장공(26)과, 베이스부(2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27)을 구비하고 있다.
장공(25)은, 상단(28)으로부터 건물 밖(3)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장공부(29)와, 경사 장공부(29)의 하단에 상단에서 연속하여 그 상단에서 하방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하단(30)에서 종단한 연직 장공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장공(25)은, 본 예와 같이 경사 장공부(29)와 연직 장공부(3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지만, 상하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된 연직 장공부만으로도 되는 한편, 상단으로부터 건물 밖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장공부만으로도 되고, 더욱이 건물 밖(3)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 장공부만으로도 된다.
장공(26)은, 일단(32)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된 수평 장공부(33)와, 수평 장공부(33)의 타단에 일단에서 연속하여 그 일단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타단(34)에서 종단한 경사 장공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장공(26)은, 본 예와 같이 수평 장공부(33)와 경사 장공부(35)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지만, 수평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된 수평 장공부만으로도 되는 한편,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똑바로 연장된 경사 장공부만으로도 되고, 더욱이 건물 밖(3)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 장공부만으로도 된다.
장공(27)은, 상단(36)으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원호형상 장공부(37)와, 원호형상 장공부(37)의 하단에 상단에서 연속하여 그 상단에서 하방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하단(38)에서 종단한 연직 장공부(39)를 구비하고 있다.
자연 개폐 수단(7)은, 장지문(6)의 상부(41) 및 하부(42) 중 한쪽, 본 예에서는 상부(41)를 상하동이 자유롭게, 즉 연직 방향(V)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상부(41)를 연직 방향(V) 및 건물 내외 방향(A)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축심(H1)을 중심으로 하여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43)와, 장지문(6)의 상부(41) 및 하부(42) 간의 중간부(44)를 연직 방향(V)에 직교하는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H1)과 평행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다른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하여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45)를 구비하고 있다.
건물 내외 방향(A)은 본 예에서는 수평 축심(H1, H2) 및 연직 방향(V)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지만, 수평 축심(H1, H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한편, 연직 방향(V)에 교차하는 방향이어도 된다.
지지 기구(43) 및 지지 기구(45)에 있어서,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깥 세로틀(13) 측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바깥 세로틀(14) 측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숫자 부호에 덧붙여 부호 a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지지 기구(43)는, 장지문(6)의 상부(41)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평 축심(H1)을 가진 축체(51)와, 축체(51)의 상하 방향, 즉 연직 방향(V)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연직 방향(V))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51)를 사이에 두고 축체(5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H1)을 중심으로 하여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벽(52, 53)을 가지고 있다.
축체(51)는 장지문(6)의 상부(41)의 바깥 세로틀(13) 측의 측면부(55)에 장착된 축 부재(56)와, 축 부재(56)에 수평 축심(H1)을 중심으로 하여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 자유 롤러(57)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벽(52, 53)은, 지지판(15)의 베이스부(23)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 자유 롤러(57)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장공(25)을 규정하고 있다.
지지 기구(43)는 장지문(6)에 의한 창(4)의 개폐에 있어서, 회전 자유 롤러(57)가 장공(25)을 규정하는 한 쌍의 안내벽(52, 53)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되면서 안내됨으로써, 장지문(6)의 상부(41)를 장공(25)을 따라 대략 연직 방향(V)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상부(41)를 수평 축심(H1)을 중심으로 하여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 기구(45)는 장지문(6)의 중간부(44)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평 축심(H2)을 가진 축체(61)와, 틀체(5)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61)를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하여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 지지체(62)를 구비하고 있다.
축체(61)는 장지문(6)의 중간부(44)의 바깥 세로틀(13) 측의 측면부(55)에 장착된 축 부재(66)와, 축 부재(66)에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하여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 자유 롤러(67)를 구비하고 있고, 장지문(6)의 자중에 의해 장지문(6)에 의한 건물의 창(4)의 자연 개방을 일으키도록, 장지문(6)에 의한 건물의 창(4)의 완전폐쇄부터 완전개방까지는 장지문(6)의 무게중심(G)을 통과하는 연직선(68) 상으로부터 거리(δ)를 가지고 건물 밖(3) 측으로 벗어나는 수평 축심(H2)을 가지고 있고, 수평 축심(H2)은 장지문(6)에 의한 건물의 창(4)의 완전개방에 있어서, 장지문(6)의 무게중심(G)을 통과하는 연직선(68)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축 지지체(62)는,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의 건물 내외 방향(A)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를 사이에 두고 그 축체(61)를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하여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벽(71, 72)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안내벽(71, 72)은, 지지판(15)의 건물 밖(3)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4)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 자유 롤러(67)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장공(26)을 규정하고 있다.
지지 기구(45)는, 장지문(6)에 의한 창(4)의 개폐에 있어서, 회전 자유 롤러(67)가 장공(26)을 규정하는 한 쌍의 안내벽(71, 72)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되면서 안내됨으로써, 장지문(6)의 중간부(44)를 장공(26)을 따라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중간부(44)를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하여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강제 폐쇄 수단(8)은, 틀체(5)의 지지판(15)에서의 돌출부(24)의 근원부에 축(75)을 개재하여 수평 축심(H2)과 평행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그 축(75)의 수평 축심(H3)을 중심으로 하여 R3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부재(76)와, 아암 부재(76)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회전 위치 및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회전 위치에 배치하도록 아암 부재(76)를 수평 축심(H3)을 중심으로 하여 R3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77)을 구비하고 있다.
대략 V자 형상의 측면 형상을 가진 판형상의 아암 부재(76)는, 대략 연직 방향으로 직립된 제1 회전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안내벽(71, 72)에 따른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의 건물 내외 방향(A)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창(4)을 폐쇄하는 위치에 장지문(6)을 고정하도록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에 한쪽의 경사 가장자리(81)에서 걸어맞춤하는 한편, 대략 수평 방향으로 쓰러진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의 창(4)을 폐쇄하는 위치에의 장지문(6)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벽(71, 72)에 따른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의 건물 내외 방향(A)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체(61)의 회전 자유 롤러(67)에의 한쪽의 경사연(81)에서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단부(82)에 장공(83)이 형성된 아암 부재(76)는, 장지문(6)의 건물의 창(4)에 대한 자연 개폐 중에서 장공(26)의 어느 하나의 부위에 배치된 회전 자유 롤러(67)에 다른 쪽의 경사연(84) 및 수평연(85)에서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제2 회전 위치에서는 다른 쪽의 단부(86)가 경사 장공부(35)의 하방에 위치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아암 부재(76)는, 제2 회전 위치부터 R3방향에서의 도 1에서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한 제1 회전 위치까지의 회전으로, 장공(26)의 어느 하나의 부위에 위치한 회전 자유 롤러(67)에 경사연(81), 경사연(84) 및 수평연(85) 중 어느 하나에서 아래부터 걸어맞춤하여 회전 자유 롤러(67)를 한 쌍의 안내벽(71, 72)의 안내 하에서 장공(26)의 일단(32) 측으로 가져와 장지문(6)에 의한 건물의 창(4)의 완전폐쇄를 일으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제1 회전 위치부터 R3방향에서의 도 6에서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한 제2 회전 위치까지의 회전으로, 회전 자유 롤러(67)에의 경사연(8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장공(26)의 일단(32)부터 타단(34)까지의 회전 자유 롤러(67)의 한 쌍의 안내벽(71, 72)의 안내 하에서의 자유 이동을 허용하여 건물의 창(4)에 대한 기류에 기초한 장지문(6)에 의한 개폐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수단(77)은, 판형상의 연결 부재(91)와, 연결 부재(91)의 일단부(92)를 아암 부재(76)의 일단부(82)에 수평 축심(H3)과 평행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축심(H4)을 중심으로 하여 R4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장공(83)을 따라 직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93)와, 연결 부재(91)의 타단부(95)에 일단부(96)에서 축 부재(97)를 개재하여 수평 축심(H4)과 평행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축 부재(97)의 수평 축심(H5)을 중심으로 하여 R5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판형상의 연결 부재(98)와, 연결 부재(98)의 타단부(99)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연결 부재(98)의 타단부(99)의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 부재(98)를 R6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기구(93)는, 수평 축심(H4)을 가진 연결 축체(101)와, 아암 부재(76)의 일단부(82)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 축체(101)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안내벽(102, 103)과, 틀체(5)의 지지판(15)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75)의 수평 축심(H3)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안내벽(102, 103)과 같이 연결 축체(101)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원호 안내벽(104, 105)과, 한 쌍의 원호 안내벽(104, 105)의 일단에 연접되어 틀체(5)의 지지판(15)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암 부재(76)의 제1 회전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벽(102, 103)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안내벽(106, 107)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축체(101)는, 연결 부재(91)의 일단부(92)에 장착된 축 부재(11O)와, 축 부재(110)에 그 축 부재(110)의 수평 축심(H4)을 중심으로 하여 R4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 자유 롤러(111)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 부재(76)의 제1 회전 위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아암 부재(76)의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벽(102, 103)은, 아암 부재(76)의 한쪽의 단부(82)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 자유 롤러(111)가 R4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장공(83)을 규정하고 있다.
한 쌍의 원호 안내벽(104, 105) 및 한 쌍의 안내벽(106, 107)은, 장공(83)에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회전 자유 롤러(111)가 추가로 R4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장공(27)을 규정하고 있고, 한 쌍의 원호 안내벽(104, 105)은 장공(27) 중의 원호형상 장공부(37)를, 한 쌍의 안내벽(106, 107)은 장공(27) 중의 연직 장공부(39)를 각각 규정하고 있다.
회전 기구(100)는, 연결 부재(98)를 R6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동 핸들 또는 전동 모터, 본 예에서는 바깥 세로틀(13)에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출력 회전축이 연결 부재(98)의 타단부(99)에 연결된 가역의 전동 모터(115)를 갖고 있다.
회전 기구(100)는, 전동 모터(115)의 작동에 의한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으로, 연결 부재(98)를 R6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회전 기구(100)에서는 전동 모터(115)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수동 핸들을 이용해도 되고, 수동 핸들의 조작에 의해 연결 부재(98)를 R6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회전 수단(77)은, 전동 모터(115)의 작동에 의한 연결 부재(98)의 R6방향에서의 도 6 및 도 7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회전 자유 롤러(111)를 장공(83)의 일단(121)에서 타단(122)으로 이행시킴과 동시에 연직 장공부(39)의 하단(38)에서 상단으로 마찬가지로 이행시킨 후, 전동 모터(115)의 추가적인 작동에 의한 연결 부재(98)의 R6방향에서의 도 6 및 도 7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축 부재(97), 연결 부재(91) 및 연결 기구(93)를 개재하여 아암 부재(76)를 제1 회전 위치부터 제2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한편, 전동 모터(115)의 역작동에 의한 연결 부재(98)의 R6방향에서의 도 2 및 도 5에서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축 부재(97), 연결 부재(91) 및 연결 기구(93)를 개재하여 아암 부재(76)를 제2 회전 위치부터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킴과 동시에 추가적인 연결 부재(98)의 R6방향에서의 도 2 및 도 5에서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으로, 회전 자유 롤러(111)를 장공(83)의 타단(122)에서 일단(121)으로 이행시킴과 동시에 연직 장공부(39)의 상단에서 하단(38)으로 마찬가지로 이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강제 폐쇄 수단(8)은, 전동 모터(115)의 작동에 의한 아암 부재(76)의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회전 위치에의 설정에 의해, 회전 자유 롤러(67)의 자유 이동을 허용하여 건물의 창(4)에 대한 기류에 기초한 장지문(6)에 의한 개폐를 허용하는 한편, 전동 모터(115)의 작동에 의한 아암 부재(76)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회전 위치에의 설정에 의해 장지문(6)에 의한 건물의 창(4)의 완전폐쇄를 일으킴과 동시에 회전 자유 롤러(111)의 장공(83)의 일단(121) 및 연직 장공부(39)의 하단(38)으로의 이행에 의해 아암 부재(76)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회전 위치에의 설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자연 환기창(1)에 있어서, 전동 모터(115)의 작동에 의한 아암 부재(76)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회전 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1 회전 위치에의 설정에 의해 아암 부재(76)의 회전 자유 롤러(67)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 완전폐쇄 위치에 있는 장지문(6)의 창 개방 이동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하고, 그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그 창 완전폐쇄 위치에 있는 장지문(6)에는 수평 축심(H2)이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밖(3) 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축심(H2)을 중심으로 한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는 R2방향의 도 5에서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고, 이러한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면서 건물 내외 방향(A)에서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는 이동이 허용된 장지문(6)은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여 R2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R2방향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자유 롤러(57)는 한 쌍의 안내벽(52, 53)으로 안내되어 장공(25)을 따라 하강한다.
장지문(6)이 창 완전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수평 축심(H2)이 연직선(68) 상에 위치하여 거리(δ)가 0이 되기 때문에, R2방향의 도 2에서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는 장지문(6)에 부여되지 않게 된다. 장지문(6)에 부여되는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는 R2방향의 회전 모멘트는 장지문(6)이 창 완전폐쇄 위치에서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여 점차 이동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결과, 장지문(6)에 의한 급속한 창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반대로 장지문(6)이 창 완전개방 위치에서 창 완전폐쇄 위치로 향하여 점차 이동되는 경우에는 장지문(6)에 부여되는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는 R2방향의 회전 모멘트는 점차 증가한다.
장지문(6)이 창 완전개방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기류에 의해 장지문(6)에 대해 건물 밖(3) 측이 정압이 되고 건물 안(2) 측이 진공압이 되면, 장지문(6)에는 기류에 기초한 창 완전폐쇄 위치로 향하는 R2방향에서의 도 2에서의 반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고, 이 장지문(6)은 창 폐쇄 위치로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6)이 창 완전폐쇄 위치로 향하여 더 회전, 이동되면, 수평 축심(H2)이 무게중심(G)에 대해 건물 밖(3) 측에 위치하므로, 장지문(6)에는 기류에 기초한 창 완전폐쇄 위치로 향하는 이동에 저항하는 창 완전개방 위치로 향하는 회전, 이동력이 부여되고, 이러한 회전, 이동력은 장지문(6)이 창 완전폐쇄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작은 기류이어도 이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6)의 개폐 회전, 이동을 일으킬 수 있고, 게다가 장지문(6)에 의한 급속한 창 폐쇄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자연 환기창(1)에 의하면, 장지문(6)에 건물의 창(4)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8)이 틀체(5)에 R3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부재(76)와, 아암 부재(76)를 제1 및 제2 회전 위치에 배치하도록 아암 부재(76)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77)을 구비하고 있고, 아암 부재(76)는 제1 회전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안내벽(71, 72)에 따른 축체(61)의 건물 내외 방향(A)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창(4)을 폐쇄하는 위치에 장지문(6)을 고정하도록 축체(61)에 걸어맞춤하는 한편,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의 창(4)을 폐쇄하는 위치에의 장지문(6)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벽(71, 72)에 따른 축체(61)의 건물 내외 방향(A)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체(61)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 환기 중에서의 장지문(6)에의 간섭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어 자연 환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할 때에 자동으로 회전 수단(77)을 작동시킴으로써 자연 환기를 정지하거나, 우천시 등에 빗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강제적인 창 폐쇄를 행할 수 있다.
자연 환기창(1)에 있어서, 자연 개폐 수단(7)은 장지문(6)의 상부(41)를 연직 방향(V)으로 또한 수평 축심(H1)의 회전으로, R1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43)와, 장지문(6)의 중간부(44)를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H2)의 회전으로, R2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45)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대신에 예를 들면, 장지문(6)의 중간부(44)로부터 하방의 하부를 연직 방향으로 또한 수평 축심의 회전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지지 기구와, 장지문(6)의 중간부(44)를 건물 내외 방향(A)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 축심의 회전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해도 되고, 게다가 이 장지문(6)의 중간부(44)의 회전 축심이 창 완전폐쇄 위치에 있는 장지문(6)의 무게중심(G)에 대해 상방에 위치함과 동시에 그 무게중심(G)을 통과하는 연직선(68) 상으로부터 건물 안(2) 측으로 벗어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자연 개폐 수단(7)에서는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 각각에 전동 모터(115, 115a)를 설치하였지만, 그 대신에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 중 한쪽에 전동 모터를 설치하고, 이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을 회전 전달축 등을 개재하여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 중 다른 쪽에 전달하여, 회전 전달축 등의 회전에 의해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 중 다른 쪽의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깥 세로틀(13) 측과 바깥 세로틀(14) 측의 각 연결 부재를 기계적으로 동기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1 자연 환기창
2 건물 안
3 건물 밖
4 창
5 틀체
6 장지문
7 자연 개폐 수단
8 강제 폐쇄 수단

Claims (5)

  1. 건물의 창을 규정하는 틀체와, 건물의 창을 개폐하는 장지문과, 기류에 기초하여 장지문에 건물의 창에 대한 자연 개폐를 행하게 하는 자연 개폐 수단과, 장지문에 건물의 창에 대한 폐쇄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는 강제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자연 개폐 수단은,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중 한쪽을 상하동(上下動)이 자유롭게 또한 그 한쪽을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지지 기구와,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간의 중간부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지지 기구는, 장지문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 수평 축심을 가진 축체와,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제2 수평 축심은, 장지문의 자중에 의해 그 장지문에 건물의 창의 자연 개방을 일으키도록, 장지문에 의한 건물의 창의 완전폐쇄부터 완전개방까지는 장지문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서 건물 내외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며, 축 지지체는,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건물 내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를 사이에 두고 그 축체를 건물 내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2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 쌍의 안내벽을 가지고 있고, 강제 폐쇄 수단은, 틀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3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아암 부재와, 이 아암 부재를 제1 및 제2 회전 위치에 배치하도록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아암 부재는, 제1 회전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 장지문을 고정하도록 축체에 걸어맞춤하는 한편,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의 창을 폐쇄하는 위치에의 장지문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벽에 따른 축체의 건물 내외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체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자연 환기창.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기구는, 장지문의 상부 및 하부 중 한쪽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 수평 축심을 가진 다른 축체와, 이 다른 축체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다른 축체를 사이에 두고 다른 축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제1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다른 한 쌍의 안내벽을 가지고 있는 자연 환기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 수단은, 제1 연결 부재와, 이 제1 연결 부재의 일단부를 아암 부재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4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직동(直動)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제1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일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5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2 연결 부재와, 이 제2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제2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 기구는, 제4 수평 축심을 가진 연결 축체와, 아암 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 축체를 사이에 두는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과,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 축체를 사이에 두고 제3 수평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원호형상 안내벽을 구비하고 있는 자연 환기창.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 기구는 제2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는 수동 핸들 또는 전동 모터를 가지고 있는 자연 환기창.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은, 아암 부재의 제2 회전 위치에서는 건물 내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아암 부재의 제1 회전 위치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 기구는, 한 쌍의 원호형상 안내벽의 일단에 연접(連接)되어 틀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암 부재의 제1 회전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또 다른 한 쌍의 안내벽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4 한 쌍의 안내벽을 더 가지고 있는 자연 환기창.
KR1020127019693A 2010-01-28 2010-12-07 자연 환기창 KR101464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7511A JP5504922B2 (ja) 2010-01-28 2010-01-28 自然換気窓
JPJP-P-2010-017511 2010-01-28
PCT/JP2010/007123 WO2011092784A1 (ja) 2010-01-28 2010-12-07 自然換気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583A true KR20120109583A (ko) 2012-10-08
KR101464290B1 KR101464290B1 (ko) 2014-11-21

Family

ID=4431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693A KR101464290B1 (ko) 2010-01-28 2010-12-07 자연 환기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04922B2 (ko)
KR (1) KR101464290B1 (ko)
CN (1) CN102725472B (ko)
WO (1) WO20110927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99B1 (ko) * 2010-06-28 2015-06-22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창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4401B2 (ja) * 2013-07-17 2017-08-02 Ykk Ap株式会社 横軸回転窓および建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062Y2 (ja) * 1993-07-09 1998-04-22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回転窓
JP3999621B2 (ja) * 2002-10-09 2007-10-31 不二サッシ株式会社 自然風力換気窓
JP4468762B2 (ja) * 2004-07-30 2010-05-26 トステム株式会社 自然換気窓
EP2803798A1 (en) * 2006-09-20 2014-11-19 Oiles Eco Corporation Natural ventilation window
JP4876813B2 (ja) * 2006-09-20 2012-02-15 オイレスEco株式会社 自然換気窓
JP4876931B2 (ja) 2007-01-24 2012-02-15 オイレスEco株式会社 自然換気窓
JP5104027B2 (ja) * 2007-05-18 2012-12-19 オイレスEco株式会社 自然換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99B1 (ko) * 2010-06-28 2015-06-22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창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2784A1 (ja) 2011-08-04
KR101464290B1 (ko) 2014-11-21
CN102725472A (zh) 2012-10-10
CN102725472B (zh) 2014-10-29
JP5504922B2 (ja) 2014-05-28
JP2011157681A (ja)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431B1 (ko) 자연 환기 장치
EP3219526B1 (en) Apparatus for window
US20090320377A1 (en) Casement Window
TWI426175B (zh)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20109583A (ko) 자연 환기창
RU2649819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подъемной и/или пере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JP4876813B2 (ja) 自然換気窓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KR101804523B1 (ko) 틈새 차단기능을 구비한 폴딩도어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1955232B1 (ko) 전동식 여닫이 창호
JP6352139B2 (ja) 換気装置
JP6333695B2 (ja) 換気装置
KR101216168B1 (ko)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200401596Y1 (ko) 회전 개폐식 자동창호
JP5292916B2 (ja) 天窓開閉装置
JP2964211B2 (ja) 窓用ヒンジ
JP4272134B2 (ja) スライドドア
JPH084554Y2 (ja) 窓障子用控え装置
KR101382459B1 (ko) 픽스드 글라스의 빛 차단 장치
KR100877681B1 (ko) 테일 게이트용 전동식 개폐장치
KR200283710Y1 (ko)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JPH04237782A (ja)
JPH0633558A (ja) 開閉屋根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