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10Y1 -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710Y1
KR200283710Y1 KR2020020013564U KR20020013564U KR200283710Y1 KR 200283710 Y1 KR200283710 Y1 KR 200283710Y1 KR 2020020013564 U KR2020020013564 U KR 2020020013564U KR 20020013564 U KR20020013564 U KR 20020013564U KR 200283710 Y1 KR200283710 Y1 KR 200283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gie
drive
corner
corn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기원
김연철
김치붕
문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2020020013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710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시스템용 보기에 관한 것으로, 문짝의 소정 부위에 위치된 핸들이 회동되면, 이 핸들이 장착된 하우징이 작동되고, 이 하우징이 설치되면서 문짝의 수직 일측면에 설치된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하우징의 작동에 리프팅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하측부에 위치된 문짝의 모서리부위를 감싸도록 코너드라이브가 체결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리프팅력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커넥팅로드에 의해 보기가 수평적 체결되어 코너드라이브와 동일한 움직임이 행하여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보기와 문짝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는 그 길이가 연장되어 근접된 문짝의 모서리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굴절되는 연장부가 더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문짝의 하측 두 모서리부위에 체결되는 코너드라이브와 고정브라켓 두 부재에 의해 핸들의 회동력이 문짝 전체에 균등하게 전달되고, 이를 통해 누적된 피로하중이나 우력 등에 의한 문짝의 비틀림 현상이 제거되며, 문짝의 수평적 배열 역시 인위적인 시공이 아닌 표준화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사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이 저감되도록 된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Fixing-Bracket of bogies for windows and doors system}
본 고안은 미세기를 위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기를 위해 회동되는 핸들로부터 부여된 작동력이 각 부재를 통해 최종적으로 보기(Bogies)에까지 온전히 전달되어 문짝이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된 보기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시스템은 기존의 문이나 창문의 불편함을 제거하면서 편리성이 부가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완전 밀폐가 가능하고 작동시 작동력이 최소화되면서 소음이 제거됨과 아울러 윗열기 등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시스템이다.
상기 창호시스템은 대략 미세기(미서기, Lifting Sliding)와, 윗열기 및 미세기(Tilt Sliding), 윗열기와 여닫이(Tilt Turn) 등의 기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세기 창호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도로서, 이 시스템(100)은 문짝(또는 창문짝;(110))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핸들(101)이 회동되면 상기 문짝(110)이 문틀(또는 창문틀; (120))로부터 리프팅된 상태에서 후술될 코너드라이브(105)와 보기(106)에 장착된 휠(105a, 106a)의 구름운동에 의해 개방되었다.
또한, 상기 문짝(110)이 고정되거나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핸들(101)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문짝(110)이 문틀(120)에 밀착되어 단단히 고정되었다.
이를 각 부재의 구조적 측면에서 간략히 언급하자면, 핸들(101)이 회동가능하게 하우징(102)에 결합되었고, 상기 하우징(102)은 문짝(110)의 수직 일측면에 체결된 드라이브기어(103)에 장착되었으며, 상기 드라이브기어(103)의 하측부에는문짝(110)의 모서리부위를 감싸도록 굴절된 코너드라이브(105)가 체결되었고, 이 코너드라이브(105)에 커넥팅로드(108)를 매개체로 보기(106)가 수평적 위치에 결합되었다.
또한, 상기 문짝(110)의 하면과 상기 코너드라이브(105) 및 보기(106) 사이에 개재되도록 고정브라켓(107)이 설치되었는데, 이 고정브라켓(107)에 형성된 경사진 장공(107a)에 상기 코너드라이브(105)와 보기(106)에 형성된 가이드축(105a, 106b)이 삽입 장착되어 상기 문짝(110)이 측방으로 약간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리프팅되었다.
상기 핸들(101)의 회동력이 하우징(102), 드라이브기어(103), 코너드라이브(105) 및 보기(106)까지 전달되어 상기 문짝(110)이 리프팅되었다.
한편, 상기한 각 부재들을 제외한 시건장치를 비롯한 많은 여타 부재들은 본 건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어 언급이 회피되었음을 인지시키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스템(100)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문짝(110)에 의한 누적된 피로하중과 상기 문짝(110)의 개폐시 우력(Coupling Of Force)에 의한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비틀림 현상에 의한 수평적 정렬의 변화로 문짝(110)과 문틀(120) 사이가 불균형하게 이격 됨으로써 문의 완전밀폐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작업자의 경험에 의한 인위적인 배열 시공이 이루어져 정확한 작동에 애로사항이 있었고, 또한 빈번한 유지보수는 물론 막대한 보수비용의 산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기브라켓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문짝의 모서리부위를 감싸도록 체결됨으로써, 문짝의 하측 두 모서리부위에 체결되는 코너드라이브와 고정브라켓 두 부재에 의해 핸들의 회동력이 문짝 전체에 균등하게 전달되고, 이를 통해 누적된 피로하중이나 우력 등에 의한 문짝의 비틀림 현상이 제거되며, 문짝의 수평적 배열 역시 인위적인 시공이 아닌 표준화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사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이 저감되도록 된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세기 창호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이 설치된 미세기 창호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도,
도 3은 도 2의 고정브라켓이 확대 도시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창호시스템 12...문짝,
20...핸들 21...하우징,
22...드라이브기어 23...코너드라이브
24...커넥팅로드 25...보기.
26, 27...고정브라켓 27b...연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짝의 소정부위에 위치되어 회동되는 핸들과 장착됨으로써 연동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작동에 리프팅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일단부가 설치되면서 문짝의 일측 모서리부위를 감싸는 코너드라이브, 이 코너드라이브에 커넥팅로드에 의해 수평적 연동되게 설치되는 보기,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보기의 작동으로 밀폐가 해제된 문짝이 문틀에 부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보기에 설치된 휠, 상기 휠이 레일에 안착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 및 보기의 상면과 문짝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리프팅 동작에 의해 문짝이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리프팅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에 형성된 가이드축이 삽입 고정되게 측면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기에 장착된 고정브라켓는 상기 문짝의근접된 모서리부위의 2측면과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연장되어 굴절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보기에 장착되는 휠의 일부가 관통되어 간섭이 회피되도록 장공이 성형되며, 굴절된 선단부위가 문짝의 측면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게 체결공이 성형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주요부위에 대한 분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시스템(10)은 문짝(12)의 소정 부위에 위치된 핸들(20)이 회동되면, 이 핸들(20)이 장착된 하우징(21)이 작동되고, 이 하우징(21)이 설치되면서 문짝(12)의 수직 일측면에 설치된 드라이브기어(22)가 상기 하우징(21)의 작동에 리프팅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22)의 하측부에 위치된 문짝(12)의 모서리부위를 감싸도록 코너드라이브(23)가 체결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22)의 리프팅력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코너드라이브(23)와 커넥팅로드(24)에 의해 보기(25)가 수평적 체결되어 코너드라이브(23)와 동일한 움직임이 행하여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코너드라이브(23)와 보기(25)에는 문짝(10)의 이동을 위한 차륜(23a, 25a)이 설치되고, 이 차륜(23a, 25a)은 문틀(30)에 부착된 레일(32)을 따라 구름(Rolling)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짝(12)의 하면과 상기 코너드라이브(23) 및 보기(25) 사이에는 고정브라켓(26, 27)이 개재되면서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바, 이 고정브라켓(26,27)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22)가 리프팅 될 때, 문짝(12)이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리프팅 되도록 상기 드라이브기어(22)와 보기(25)에 형성된 가이드축(23b, 25b)이 삽입 고정되게 측면에 경사공(26a, 27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기(25)와 문짝(12)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7)에는 그 길이가 연장되어 근접된 문짝(12)의 모서리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굴절되는 연장부(27b)가 더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7b)에는 상기 차륜(25a)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장공(27c)이 성형되고, 굴절된 선단부위에는 문짝(12)의 측면과 체결되도록 체결공(27d)이 성형되며, 이 체결공(27d)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8)는 시스템(10)의 최종 조립 후 미세한 죄임과 해제로 상기 문짝(12)의 배열맞춤을 완벽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사후 유지보수 시에도 이것을 이용하여 손쉽게 교정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미세기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윗열기와 미세기, 윗열기와 여닫이 등 모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창호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이용에 의해 문짝에 대한 기존의 뒤틀림 현상 및 인위적인 시공을 배제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들로부터 부여되는 회동력이 문짝 전체에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배열 시공되면서 종래의 숙련공에 의한 인위적 배열맞춤이 배제됨은 물론 규격화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누적 피로하중에 의한 비틀림 현상 역시 최소화되는 동시에 시스템 시공에 대한 작업자의 편리성이 강화되면서 사후 보수유지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문짝의 소정부위에 위치되어 회동되는 핸들과 장착됨으로써 연동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작동에 리프팅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일단부가 설치되면서 문짝의 일측 모서리부위를 감싸는 코너드라이브, 이 코너드라이브에 커넥팅로드에 의해 수평적 연동되게 설치되는 보기,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보기의 작동으로 밀폐가 해제된 문짝이 문틀에 부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와 보기에 설치된 휠, 상기 휠이 레일에 안착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 및 보기의 상면과 문짝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리프팅 동작에 의해 문짝이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리프팅되도록 상기 코너드라이브에 형성된 가이드축이 삽입 고정되게 측면에 경사진 장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기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은 상기 문짝의 근접된 모서리부위의 2측면과 접촉되어 체결되도록 연장되어 굴절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보기에 장착되는 휠의 일부가 관통되어 간섭이 회피되도록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굴절된 선단부위에 문짝의 측면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KR2020020013564U 2002-05-03 2002-05-03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KR200283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4U KR200283710Y1 (ko) 2002-05-03 2002-05-03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4U KR200283710Y1 (ko) 2002-05-03 2002-05-03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710Y1 true KR200283710Y1 (ko) 2002-07-27

Family

ID=7312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64U KR200283710Y1 (ko) 2002-05-03 2002-05-03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7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442B2 (ja) レールで案内される走行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US20090178770A1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GB2378218B (en) Sash windows
EP2148038B1 (en) Natural ventilator
US20100248603A1 (en) Retrofit Fume Hood Drive Assembly
US5373663A (en) Device for motorizing an overhead swinging door for a garage or the like, and motorized overhead swinging door provided with this device
CN205387875U (zh) 用于铝合金型材传动盒及铝合金门窗
KR200283710Y1 (ko) 창호시스템용 보기의 고정브라켓
RU2420644C2 (ru) Окно или дверь с прибором
EP0592374A1 (en) Device for motorizing an overhead swinging door for a garage or the like, and motorized overhead swinging door provided with this device
CN109703581B (zh) 导流罩开闭机构及导流罩
JP5504922B2 (ja) 自然換気窓
IT1306463B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serramenti ad ante articolate, inparticolare di serramenti oscuranti esterni.
CN219197008U (zh) 一种塞拉门锁紧机构
CN204627249U (zh) 滑轮调节装置
CA2168814A1 (en) Double-hung window arrangement and an electrical window operator for operating an upper sash section of such an arrangement
CN210238365U (zh) 一种闸机逻辑测试台
CN214407994U (zh) 一种具有位移补偿功能的检测组件
DK199901120A (da) Elektrisk operatorenhed til vinduer
CN216841149U (zh) 隐藏式侧装自动开关门机
KR200280529Y1 (ko) 유리문용 축 고정구 구조
JP4119444B2 (ja) ランナ装置
KR200187181Y1 (ko) 자동차용 도어윈도우 레귤레이터
CN1959046A (zh) 滑动窗或门框锁的重新对准装置
KR20210019810A (ko) 창짝 및 이를 포함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