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73Y1 -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73Y1
KR200153473Y1 KR2019950047150U KR19950047150U KR200153473Y1 KR 200153473 Y1 KR200153473 Y1 KR 200153473Y1 KR 2019950047150 U KR2019950047150 U KR 2019950047150U KR 19950047150 U KR19950047150 U KR 19950047150U KR 200153473 Y1 KR200153473 Y1 KR 200153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intering machine
conveyor
reciprocat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809U (ko
Inventor
조병국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47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73Y1/ko
Publication of KR970044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using devices for tilting or rocking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결원료(10)를 소결기 폭방향으로 왕복하는 왕복콘베이어(20)를 이용하여 소결원료호포(30)에 공급하는 소결원료 장입장치에 있어서,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의 원료 낙하 지점 즉, 왕복콘베이어(20)의 이동 방향에 90도 방향으로 가이드 콘베이어(80)를 설치하며, 이 가이드 콘베이어(80)는 소결기의 점화로 측을 낮게하고, 그 반대쪽을 높고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지지프레임(81)과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을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고정프레임(82)으로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제1도는 종래의 철광석 소결기 호퍼에 원료장입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제1(a)도는 정면도.
제1(b)도는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도로써,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소결원료 호퍼에 설치된 상태도로써,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결원료 20 : 왕복콘베이어
21 :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 30 : 소결원료호퍼
40 : 분할문 50 : 드럼피더
60 : 경사형판 70 : 소결대차
80 : 가이드 콘베이어 81 : 가이드콘베이어 지지프레임
82 : 가이드콘베이어 고정프레임
본 고안은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소결기내에서 폭방향으로 원료 입자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특히 소결기 측벽부에서 입자 분포를 개선하며 소결기 상,하층 방향으로 상부에는 작은 입자, 하부에는 큰 입자가 편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원료호퍼(30)내에서 소결원료(10)의 장입상태는 소결과정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소결속도(생산성) 및 소결광 품질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또한 소결기원료호포내에 장입된 원료의 소결기 대차(소결기) 폭방향으로 입도(입자크기) 편차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의 편차를 유발해서 역시 소결광 회수율에 크게 영향을 준다.
한편 소결원료호퍼(30) 내에서 소결기 폭방향으로 입자가 균일하고 소결기 양측벽부에서 입자가 작은 원료를 장입하는 것이 유리하며 소결원료호퍼(30) 높이 방향으로는 하부에는 입자가 큰 원료 상부에는 작은 원료를 장입하는 것이 소결원료호펴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균일화 하고 또한 상,하측간의 균일한 소결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종래에는 소결원료호퍼(30)의 저장 호퍼가 큰 대형의 소결기에서는 제1도와 같은 원료 장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철광석, 그리고 각종 부원료와 연로(분 코크스 또는 무연탄)가 배합되어 조립화된(Granulation) 소결원료(10)는 소결원료 저장호퍼(30)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왕복콘베이어(20)에 의하여 소결원료호퍼(30)에 저장되고 장입 밀도를 관리하기 위한 분할문(40)를 통하여 드럼형 피더(50)의 회전에 의해서 경사형판(60)에 공급되어 소결대차(70)에 장입된다.
여기서 왕복콘베이어(20)는 소결기 폭방향으로 원료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설비이며 경사판(60)은 원료를 소결기에 가이드하는 역할과 더불어 경사면에서의 사면 분급현상을 유도하여 소결기 하부에 큰입자, 상부에 작은 입자로 편석하여 장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왕복콘베이어(20)를 이용하여 소결원료(10)을 소결원료호퍼(30)에 장입할때 입자의 흐름에 의하여 양측벽부에서는 입자의 편석이 일어나며 특히 오히려 측 벽부에서 과량의 공기 흐름의 원인이 되는 큰 입자가 분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결기 상,하 방향의 입도편석의 유도는 경사판(60)은 그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상당한 길이가 요구되기 때문에 설비의 큰 개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슬릴 형의 경사판을 이용한 개량형의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그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상당한 개조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장치에서의 왕복콘베이어(20)를 통한 원료 장입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소결원료호퍼(30)의 양측벽부 큰입자의 분포를 근복적으로 해결하고 소결원료호퍼(30)길이 방향으로 입도편석을 유도하여 소결기내에서 상부는 작은입자, 하부는 큰입자로 편석하여 장입하도록 하므로써, 소결기내 원료의 소결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소결원료(10)를 소결기 폭방향으로 왕복하는 왕복콘베이어(20)를 이용하여 소결원료호퍼(30)에 공급하는 소결원료장입장치에 있어서,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의 원료 낙하 지점 즉, 왕복콘베이어(20)의 이동 방향에 90도 방향으로 가이드 콘베이어(80)를 설치하며, 이 가이드 콘베이어(80)는 소결기의 점화로 측을 낮게하고, 그 반대쪽을 높고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지지프레임(81)과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을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고정프레임(82)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통상적으로 대형의 소결기에서 사용되는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의 원료 낙하 지점에 왕복콘베이어(20)의 이동방향에 90도 방향으로 제2의 콘베이어인 가이드 콘베이어(80)을 설치한다.
이때 가이드 콘베이어(80)는 소결기의 점화로 측을 낮게하고 그 반대쪽을 높게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지지프레임(81)과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을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고정프레임(82)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가이드 콘베이어(80)의 이동방향은 소결기의 이동 방향과 같이 유지한다.
본 고안의 장치를 소결원료호퍼(30)에 장착한 것은 제3도와 같다.
왕복콘베이어(20)에서 공급된 소결원료(10)는 가이드콘베이어(80)에 낙하되고 다시 소결원료호퍼(30)의 소결기 점화로 측벽면에 집중적으로 장입된다.
이때 소결원료호퍼(30)에서는 왕복콘베이어(20) 만으로 장입될때 생기는 왕복시작점에서 입자가 큰 것이 측벽부에 모이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소결기 점화로 측 벽면에 원료를 집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호퍼길이 방향으로 경사면을 유도하여 이 원료가 드럼형 피터(50)를 통하여 그대로 소결대차(70) 장입됨으로써 소결기내 상하부 입도 편석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소결원료호퍼(30)의 길이만큼 경사형판(60)을 늘린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콘베이어(80)의 이동속도는 소결원료호퍼(30)내 쌓이는 형태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가이드 콘베이어(80) 대신에 경사형의 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소결원료호퍼(30)의 폭이 4m이고, 길이가 1.6m인 소결원료 장입 설비에 가이드콘베이어(80) 대신에 가이드 판을 사용하고 경사를 45로 하여 설비를 구성하였다.
종래의 설비와 본 고안 설비를 사용한 경우의 호퍼내 입자 크기 분포와 소결기내 입자 크기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때 소결원료는 종류와 조립 특성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평균 입자 크기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을 도식화하여 제1(b)도와 제3(b)도에 나타내었다.
종래 설비의 경우인 (A)에서는 소결원료호퍼(30)나 소결기대차(70)의 측벽부에 동일하게 입자가 큰 것이 분포 하였으며 소결기대차(70)내 상하 편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한 (B)에서는 특히 소결기 양 측벽부에서의 큰 입자가 편석되는 현상을 현저히 저감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소결기대차(70)내 상하 입자 편석이 크게 조장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소결기 양측벽부에서의 큰입자가 편석되는 현상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었으며, 또한 소결기내 상하 입자 편석을 크게 조장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결기 측벽부에서의 과량의 공기에 의한 소결성 저하 및 소결기 하부의 열축적 현상을 줄임으로써, 균일한 소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Claims (1)

  1. 소결원료(10)를 소결기 폭방향으로 왕복하는 왕복콘베이어(20)를 이용하여 소결원료호퍼(30)에 공급하는 소결원료 장입장치에 있어서,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의 원료 낙하 지점 즉, 왕복콘베이어(20)의 이동 방향에 90도 방향으로 가이드 콘베이어(80)를 설치하며, 이 가이드 콘베이어(80)는 소결기의 점화로 측을 낮게하고, 그 반대쪽을 높고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지지프레임(81)과 왕복콘베이어 지지프레임(21)을 경사지게 하여 가이드 콘베이어 고정프레임(82)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 장입장치.
KR2019950047150U 1995-12-26 1995-12-26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KR200153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50U KR200153473Y1 (ko) 1995-12-26 1995-12-26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50U KR200153473Y1 (ko) 1995-12-26 1995-12-26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809U KR970044809U (ko) 1997-07-31
KR200153473Y1 true KR200153473Y1 (ko) 1999-08-02

Family

ID=1943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50U KR200153473Y1 (ko) 1995-12-26 1995-12-26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80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8179B2 (ja) 焼結機への原料装入装置
KR100411280B1 (ko)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KR200153473Y1 (ko) 철광석 소결기의 원료장입장치
KR20160035150A (ko) 원료 장입 장치
KR200221116Y1 (ko) 소결배합원료의 층밀진동기
JP3536682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3758386B2 (ja) 焼結パレットへの原料装入方法
KR920006706Y1 (ko)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장치
JP3536681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200288777Y1 (ko) 소결원료의장입장치
KR101977356B1 (ko) 원료 장입 장치
KR100406438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입방법
KR101667290B1 (ko) 원료 장입 장치
US34919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 sinter mix onto a sinter strand
KR101368435B1 (ko)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KR100928830B1 (ko) 회수율이 향상된 제철용 소결광 제조방법
KR101665067B1 (ko) 원료 장입 장치
RU1801122C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доменной печи
KR0146795B1 (ko) 고로조업 방법
JPS5930396Y2 (ja) 焼結原料装入装置
JPH08209255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JPH0331995B2 (ko)
JPH0873951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20000010449A (ko) 재순환 상부광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20030035492A (ko) 소결광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