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191Y1 -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191Y1
KR200153191Y1 KR2019950033972U KR19950033972U KR200153191Y1 KR 200153191 Y1 KR200153191 Y1 KR 200153191Y1 KR 2019950033972 U KR2019950033972 U KR 2019950033972U KR 19950033972 U KR19950033972 U KR 19950033972U KR 200153191 Y1 KR200153191 Y1 KR 200153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nclosure
exhaust gas
dust collec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85U (ko
Inventor
주경복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33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91Y1/ko
Publication of KR970020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가스중의 분진을 최소화 하고,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각각의 집진장치를 일체화 하여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으로 배기가스 유입구를 가지고, 상부로 청정가스 배출구를 가지는 함체와; 함체의 내부 중간부위에는 바닥면이 가장자리쪽으로 경사진 수조가 설치되고, 수조의 중앙에는 상승한 가스가 부딪히는 살수유입 방지판을 구비하여서 하단부가 배기가스 유입구보다 하부로 위치하는 가스유입관이 설치되며, 살수유입 방지판의 상부로는 미세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청정가스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이루어진 습식집진부와; 함체의 하부에는 전동밸브를 갖는 분진배출구와 상부에 함체의 하부로 포집된 분진이 인입되고 전동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진인입구가 연결된 분진저장호퍼로된 건식집진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 11 : 배기가스유입구
12 : 청정가스배출구 20 : 습식집진부
21 : 수조 22 : 가스유출관
23 : 살수유입 방지판 24 : 분사노즐
25 : 필터 30 : 건식집진부
31 : 분진저장호퍼
본 고안은 배기가스내에 함유된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가기스중의 분진을 최소화하고,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과 같은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각각의 집진장치를 일체화하여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습식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등과 같은 설비에서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배기 가스에는 분진 및 이산화탄소(CO2)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과 같은 유해가스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한 배기가스는 집진장치를 거쳐 배출되게 되는데, 그중 분진은 건식 집진기에 의해 제거되고, 유해가스는 습식 집진기에 의해 제거되어진다.
종래에는 상기한 건식 집진기와 습식 집진기를 각각 설치하여 배기가스 내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건식 집진기와 습식 집진기를 각각 설치 사용함으로써, 집진장치의 설치 면적이 커지고, 설비 운영에도 버거러움이 있었으며, 설비비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로등의 설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 내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집진기를 사용하므로써, 집진장치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고,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설비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습식 겸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으로 배기가스 유입구를 가지고, 상부로 청정가스 배출구를 가지는 함체와; 함체의 내부 중간부위에는 바닥면이 가장자리쪽으로 경사진 수조가 설치되고, 수조의 중앙에는 상승한 가스가 부딪히는 살수유입 방지판을 구비하여서 하단부가 배기가스 유입구보다 하부로 위치하는 가스유입관이 설치되며, 살수유입 방지판의 상부로는 미세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청정가스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이루어진 습식집진부와; 함체의 하부에는 전동밸브를 갖는 분진배출구와 상부에 함체의 하부로 포집된 분진이 인입되고 전동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진 인입구가 연결된 분진저장호퍼로된 건식집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습식 겸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일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건,습식 겸용 집진장치는 주로 함체(10)와, 함체내부로 설치되는 습식집진부(20)와, 함체의 하부로 설치되는 건식집진부(30)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0)는 고로등과 같은 배기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유입구(11)를 가지고, 상부에 여과된 청정가스가 배출되는 청정가스 배출구(12)를 가지며, 측벽으로 함체(1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 맨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습식집진부(20)는 함체(10)의 내부 중간부위로 바닥면이 가장자리쪽으로 경사진 수조(21)가 설치되고, 수조의 중앙에는 배기가스 유입구(11)를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부로 상승되는 가스유출관(22)이 설치되며, 상기 가스유출관(22)의 상부로는 상승한 가스가 부딪히는 살수유입 방지판(23)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수조(21)에는 슬러지를 제거하게 되는 슬러지 펌프(26)와 물을 공급수 밸브(28)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되어 있으며, 수조(21)의 물을 상부로 위치하여 미세분진을 포집하게 되는 분사노즐(25)에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24)의 상부에는 청정가스에 함습된 수분 제거를 위한 필터(25)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건식집진부(30)는 함체(10)의 하부로 포집된 분진이 인입되고 전동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진인입구(32)와 하부로 전동밸브(35)를 구비한 분진배출구(34)와 일측면에 청소용 맨홀(36)을 가지는 분진정장호퍼(3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함체(10)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입구(11)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배기가스는 유체의 방향에 따라 원심력을 얻어 분진분리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배기가스중 분진은 건식집진부(30) 내벽에 부딪혀 원심력이 줄면서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때 배기가스는 소용돌이가 생기면서 가스유출관(22)을 통해 습식집진부(20)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되어지는 분진은 깔대기형상을 한 함체(10)의 하부로 모아지고, 모아진 분진은 분진저장호퍼(31)의 분진인입구(32)를 통해 분진저장호퍼(31)에 포집되어진다. 포집되어진 분진은 분진저장호퍼(31)의 하부로 설치된 분진배출구(34)의 전동밸브(35)를 작동시켜 배출한 후 폐기시킨다. 이때 분진인입구(32)에 설치된 전동밸브(33)는 차단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배기가스는 가스유출관(22)의 상부로 설치된 살수유입 방지판(23)에 부디친후 벽쪽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배기가스에는 분사노즐(24)에 의해 분사수가 분사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분사되어지는 분사수는 배기가스내의 이산화탄소(CO2)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과 같은 유해물질을 용해시키고, 미세분진(D0.05)은 분사수에 의해 수조(21)에 포집되어 진다.
상기 포집된 미세분진은 수조(21)의 가장자리로 모아지게 되고, 모아진 미세분진은 슬러지 펌프(26)의 구동으로 배출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유해물질과 미세분진이 제거된 청정가스는 청정가스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지며, 배출되는 과정에서 청정가스에 함습된 수분은 필터(25)에 의해 제거된다.
아울러 수조(21)의 분사수가 일정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공급수밸브(28)가 열려 분사수가 공급되어지고, 이때 공급수의 압력은 순환수펌프(27)의 압력보다 커야한다.
상기한 공급수밸브(28)의 전단에는 공급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역지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의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는 고로등의 설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내의 분진 및 유해가스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집진기를 사용하므로써, 집진장치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설비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벽면으로 배기가스 유입구(11)를 가지고, 상부로 청정가스 배출구(12)를 가지는 함체(10)와; 함체(10)의 내부 중간부위에는 바닥면이 가장자리쪽으로 경사진 수조(21)가 설치되고, 수조(21)의 중앙에는 상승한 가스가 부딪히는 상수유입 방지판(23)을 구비하여서 하단부가 배기가스 유입구(11)보다 하부로 위치하는 가스유입관(22)이 설치되며, 상수유입 방지판(23)의 상부로는 미세분진을 포집하기위한 분사노즐(24)과 청정가스에 함습된 수분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25)로 이루어진 습식집진부(20)와; 함체(10)의 하부에는 전동밸브(35)를 갖는 분진배출구(34)와 상부에 함체의 하부로 포집된 분진이 인입되고 전동밸브(33)에 의해 개폐되는 분진인입구(32)가 연결된 분진저장호퍼(31)로된 건식집진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KR2019950033972U 1995-11-16 1995-11-16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KR200153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972U KR200153191Y1 (ko) 1995-11-16 1995-11-16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972U KR200153191Y1 (ko) 1995-11-16 1995-11-16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85U KR970020985U (ko) 1997-06-18
KR200153191Y1 true KR200153191Y1 (ko) 1999-08-02

Family

ID=1942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972U KR200153191Y1 (ko) 1995-11-16 1995-11-16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64B1 (ko) 2008-10-06 2009-07-21 주식회사 근옥 실내공기 청정기
KR20200034384A (ko)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근옥 실내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936B1 (ko) * 1998-07-01 2000-12-15 박창윤 광석분말의집진방법및그장치
KR20020037248A (ko) * 2001-03-16 2002-05-18 서정수 머플러겸 디젤엔진 후처리 장치.
KR101715754B1 (ko) * 2016-11-12 2017-03-14 주식회사 리소스플랜트 건식 비중선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64B1 (ko) 2008-10-06 2009-07-21 주식회사 근옥 실내공기 청정기
KR20200034384A (ko)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근옥 실내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85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JPH09253440A (ja) 多室湿式集塵装置
US20170209824A1 (en) Low Water Usage Wet Scrubber
KR20160139799A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200153191Y1 (ko)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101755229B1 (ko)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CN208742179U (zh) 一种车间用除尘装置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KR100913031B1 (ko) 복합형 집진장치
KR102152388B1 (ko) 중력 및 원심력을 이용한 오염가스 처리장치
CN201551960U (zh) 一种湿式脱硫除尘器
CN210699363U (zh) 一种水膜除尘器
JPH0513522U (ja) 湿式粉塵回収装置
KR200331206Y1 (ko) 더스트 누적이 방지되는 배가스 청정라인의 실탱크 및슬러리탱크
KR200166130Y1 (ko) 폐가스 처리 시스템
JP4855023B2 (ja) ジェットノズル
CN2140257Y (zh) 铅尘净化器
CN2149241Y (zh) 汶氏喷管除尘器
CN115430246B (zh) 一种多方式的粉尘气体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150693Y1 (ko) 세정집진기
CN213202698U (zh) 一种三偏心混合机废水回收装置
KR102285444B1 (ko) 메탈필터를 적용한 지하공간 자동재생형 공기정화장치
CN212942047U (zh) 一种湿式除尘装置及抛丸机
CN114797347B (zh) 一体式水浴湿式旋风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