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66B1 -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66B1
KR102236966B1 KR1020200160421A KR20200160421A KR102236966B1 KR 102236966 B1 KR102236966 B1 KR 102236966B1 KR 1020200160421 A KR1020200160421 A KR 1020200160421A KR 20200160421 A KR20200160421 A KR 20200160421A KR 102236966 B1 KR102236966 B1 KR 10223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water
dust
booth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목
Original Assignee
에스이엔티(주)
정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엔티(주), 정현목 filed Critical 에스이엔티(주)
Priority to KR102020016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15Beds i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악취가스가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에서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반습식 스크러버와,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습식 스크러버와, 상기 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카본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분진이 포함된 악취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베인과, 상기 유입구로 오존을 함께 투입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유입되는 악취와 오존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odor}
본 발명은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산분뇨나 퇴비, 각종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포함된 악취가스를 처리하여 분진, 오염물질,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나 농축산분뇨나 퇴비 혹은 액비를 생산하는 발효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과 공정이 수행된다.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은 각각 약품, 오존, 플라즈마, 물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가운데서 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대부분 습식 스크러버를 사용한다.
그러나 습식 스크러버의 경우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단순히 샤워형태로 분사되는 물로 흡수하므로 다량의 분진이 포함된 경우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
그리고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이클론 구조의 집진기를 사용하는데, 이때도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분진은 제거되나 미세한 분진은 제거되지 못하게 된다.
또 습식 스크러버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의 경우 막히는 문제가 많고 분사압, 분사각,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카본을 사용하여 악취를 흡착하는 경우 장시간 사용후 카본을 교체하는 것이 번거롭고, 카본에 흡착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8355(2008.9.5.)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1349(2010.9.3.)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9079(2017.4.17.)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03703(2020.4.17.) "악취제거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클론으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와 오존이 더욱 잘 혼합되도록 와류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원심력이 커지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간단한 조작으로 분사유량, 분사속도, 분사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수에 침전된 침전물이 대류이동에 의해 수면으로 잘 떠오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본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악취에 포함된 각종 유해, 오염물질이 잘 흡착될 수 있는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는, 악취가스가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에서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반습식 스크러버와,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습식 스크러버와, 상기 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카본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분진이 포함된 악취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베인과, 상기 유입구로 오존을 함께 투입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유입되는 악취와 오존의 혼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는, 세정수가 흘러내리는 워터커튼이 형성되는 1차워터부스; 상기 1차워터부스와 연통되고 상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제1노즐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1노즐의 하측에 상승하는 악취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는 제1폴링이 구비되는 2차워터부스; 상기 2차워터부스와 연통되고 상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제2노즐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노즐의 하측에 하강하는 악취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는 제2폴링이 구비되는 3차워터부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노즐과 제2노즐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머리가 상기 토출구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볼트의 머리와 토출구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막힘없이 세정수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워터부스, 2차워터부스 및 3차워터부스의 하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세정수 및 침전물이 펌프에 의해 대류 유동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호형상의 유동가이드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본흡착수단은, 타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하측으로 유도되게 하는 흡착타워; 원통형상의 내부에 카본이 충진되고 상기 흡착타워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으로 적층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카본카트리지; 상기 흡착타워의 내벽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의 흐름을 중앙으로 유도함으로써 흡착효율을 향상시키는 복수개의 버퍼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타워의 측벽에 복수개의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카본필터를 삽입함으로써 장착하거나 교체를 위해 탈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이클론 내부에 가이드베인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스와 오존이 선회하면서 발생하는 와류가 증가되면서 원심력이 커지므로 악취가스와 오존의 혼합율이 크게 향상되고, 분진이 더 잘 집진될 수 있다.
둘째, 노즐의 조절볼트과 토출구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분사량, 분사압, 분사각도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노즐의 막힘현상이 해결된다.
셋째, 유동가이드면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세정수에 가라앉은 침전물이 쉽게 부유하게 되므로 침전물 제거가 매우 용이하다.
넷째, 카본카트리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버퍼플레이트에 의해 악취가스가 내부로 유도되므로 카본카트리지와의 접촉이 확대되어 흡착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DD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축산분뇨나 퇴비 또는 각종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수집하여 분진, 유해물질, 오염물질 등의 악취를 제거한 후 깨끗하게 정화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처리순서에 따라 집진기, 반습식 스크러버, 습식 스크러버, 카본흡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 3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집진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선화살표는 악취가스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집진기(100)는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각종 분진이나 더스트를 중력에 의해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크게 사이클론(110), 가이드베인(120), 오존발생기(13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110)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장비로, 선회하는 기류 속에 포함된 고체입자들이 원심력의 작용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사이클론 내벽에 충돌해서 기류로부터 분리된 후 하측으로 모이게 한다.
상단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분리된 분진이 모이는 집진구(112)가 형성되며, 중앙에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집진이 완료된 악취가스가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3)와 사이클론(110)의 내벽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베인(1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베인(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또는 나선형을 가지는 날개로 구비되어 유입되어 선회하는 악취가스의 기류의 흐름이 더 강화되도록 한다. 즉, 와류를 증폭시킨다.
상기 가이드베인(120)으로 인해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원심력이 더 강해져 분진이 잘 분리되고, 함께 투입되는 오존이 악취가스와 더 원활하게 믹싱될 수 있다. 즉, 오존과 악취가스의 혼합율이 증폭된다.
상기 오존발생기(130)는 상기 사이클론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생된 오존이 상기 유입구(111)로 함께 투입되도록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BB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200)는 상기 집진기에서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스에 포함된 수용성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세정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크게 1차워터부스(210), 2차워터부스(220) 및 3차워터부스(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워터부스(210)는 밀폐된 수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집진기(100)의 배출구(113)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상기 집진기(100)에서 배출된 악취가스가 상기 1차워터부스(210)의 상부로 유입된다.
상기 1차워터부스(210)는 제1구획벽(211)에 의해 상기 2차워터부스(220)와 인접한다.
상기 제1구획벽(211)의 하단에는 제1통로(212)가 형성되어 상기 2차워터부스(220)와 연통되므로 세정수가 상호 왕래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1차워터부스(210)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상기 2차워터부스(22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획벽(211)의 상단에는 펌핑된 물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1차워터부스(210)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워터커튼(213)을 통과하면서 상기 집진기(100)에서 분리되지 못한 미세한 분진이 세정수와 함께 낙하하고, 더불어 수용성 물질도 일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세정된 악취가스는 상기 제1통로(212)를 통해 상기 2차워터부스(220)로 이동한다. 낙하한 세정수는 분진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1차워터부스(210)의 바닥에 수용되고 별도의 펌프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2차워터부스(220)도 밀폐된 수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통로(212)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가 상승할 때 세정수를 분사하여 2차로 세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2차워터부스(220)의 상부에는 하측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노즐(221)이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제1노즐(221)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될 수 있고, 상승하는 악취가스를 커버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로 퍼지도록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노즐(2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21a), 브라켓(221b), 조절볼트(221c) 및 조절너트(221d)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1a)는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23)에 일정 간격으로 분기되어 세정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1a)의 전방에 인접하게 브라켓(221b)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221b)은 대략 'ㄱ'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공급관(22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토출구(221a)의 출구 측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1b)에는 조절볼트(221c)가 관통하면서 머리가 상기 토출구(221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221c)는 상기 브라켓(221b)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거나 브라켓(221b)에 탭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관통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절볼트(221c)에는 조절너트(221d)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221c)의 머리와 토출구(221a) 사이의 간극을 가깝게 하거나 멀게 함으로써 상기 토출구(221a)에서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 분사각,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간극을 좁히는 경우 분사유량은 줄어드나 수압은 세지고, 분사각은 커진다. 반대로 간극을 넓히는 경우 분사유량은 늘어나지만 수압은 약해지고 분사각은 작아진다.
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상기 조절볼트(221c)로부터 조절너트(221d)를 풀고 상기 조절볼트(221c)를 상기 토출구(221a)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킨 후 상기 조절너트(221d)를 다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221d)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볼트(221c)를 체결하되 하나는 상기 브라켓(221b)의 일측에서, 다른 하나는 타측에서 체결하여 상기 조절볼트(221c)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221)의 하측에는 제1폴링(222)이 구비된다.
상기 제1폴링(222)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물체로서 다수개를 적층, 충진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것은 하측으로부터 상승하는 악취가스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통로(212)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폴링(222)에서 체류하는 동안 상기 제1노즐(22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악취가스에 포함된 각종 수용성 유해물질, 오염물질을 세정한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NH3), 아민류(Amines)와 같은 물질이다.
다음으로 상기 2차워터부스(220)는 제2구획벽(224)에 의해 상기 3차워터부스(230)와 인접한다.
상기 제2구획벽(224)의 상단에는 제2통로(225)가 형성되어 상기 3차워터부스(230)와 연통되므로 상기 2차워터부스(220)에서 2차 세정이 수행된 악취가스가 상기 3차워터부스(23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3차워터부스(230)도 밀폐된 수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통로(225)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가 하강할 때 세정수를 분사하여 3차로 세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3차워터부스(230)의 상부에는 하측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노즐(231)이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노즐(231)의 하측에 제2폴링(232)이 설치된다.
상기 제2노즐(231)과 제2폴링(232)의 구조는 상기 제1노즐(221) 및 제2폴링(232)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2통로(225)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2폴링(232)에서 체류하는 동안 상기 제2노즐(231)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악취가스에 포함된 각종 수용성 유해물질, 오염물질을 다시 한번 더 세정한다.
참고로 상기 제2구획벽(224)의 하단에는 제3통로(227)가 더 형성되어 상기 2차워터부스(220)와 3차워터부스(230)에 수용된 세정수가 서로 연통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워터부스(210), 2차워터부스(220) 및 3차워터부스(230)의 바닥에는 낙하한 세정수가 수용된 상태인데, 세정수 속에 각종 물질이나 입자들이 가라앉은 상태이다.
이러한 침전물을 수면에서 스키마(미도시)로 걷어내기 위해 침전물을 부유시킬 필요가 있는데, 보통 펌프로 물을 순환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 1차워터부스(210), 2차워터부스(220)의 하부 일측에 단면이 원호형상을 이루는 유동가이드면(214, 226)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순환하는 세정수가 대류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바닥에 가라앉은 침전물이 대류이동에 의해 상승하여 수면으로 올라올 때 침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는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200)에 세정이 이루어진 악취가스가 하부로 유입되고 다시 세정이 이루어진 악취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320)과, 각 스프레이 노즐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가스와 충돌되면서 분진 등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배플(baffle)이나 폴링(pall ring) 등의 충진재(3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최상부에는 디미스터(demister)가 설치되어 증기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나 분진 또는 수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카본흡착수단(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DD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카본흡착수단(400)은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200)와 습식 스크러버(300)를 통과하면서 악취가스에 포함된 각종 분진, 수용성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거의 제거된 가스가 유입되어 제거되지 못한 비수용성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흡착방식으로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카본흡착수단(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형상의 흡착타워(410)와, 상기 흡착타워(410) 내부에 적층되는 카본카트리지(420) 및 버퍼플레이트(43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타워(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부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악취가스는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흡착타워(410)의 하부로 유도된 악취가스는 상승하면서 흡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흡착타워(410)의 내부에는 상기 카본카트리지(420)가 적층된다.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는 긴 원통형상의 프레임을 망으로 감싸고 망 내부에 숯과 같은 탄소물질이 충진된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를 상기 흡착타워(410)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다수개를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적층한다.
즉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를 적층할 때 인접하는 층과 나란하게 적층하는 것이 아니라 엇갈리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어느 층에 수평으로 배열된 카본카트리지(420) 사이 사이에 인접층의 카본카트리지(420)가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승하는 악취가스의 유동경로가 강제로 지그재그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악취가스와 카본이 접촉하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하여 흡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타워(410)의 마주하는 측벽에는 각각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를 교체할 경우 상기 장착홀로부터 기존 카본카트리지를 탈거하고 새 카본카트리지를 다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교체가 가능한다.
한편, 상기 흡착타워(410)의 내벽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퍼플레이트(4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플레이트(430)는 상기 흡착타워(410)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타워(410)의 중앙으로 상승하는 악취가스는 상기 카본카트리지(420)와 충돌하더라도 중앙으로 상승하게 되나, 가장자리로 상승하는 악취가스는 흡착타워(410)의 내벽을 따라 직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흡착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가장자리로 상승하는 악취가스가 상기 버퍼플레이트(430)와 충돌하면 상기 흡착타워(41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므로 악취가스가 상기 카본카트리지(420)와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카본카트리지(42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흡착타워(41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집진기
110 : 사이클론 111 : 유입구
112 : 집진구 113 : 배출구
120 : 가이드베인 130 : 오존발생기
200 : 반습식 스크러버
210 : 1차워터부스 211 : 제1구획벽
212 : 제1통로 213 : 워터커튼
214 : 유동가이드면 220 : 2차워터부스
221 : 제1노즐 221a : 토출구
221b : 브라켓 221c : 조절볼트
221d : 조절너트 222 : 제1폴링
223 : 공급관 224 : 제2구획벽
225 : 제2통로 226 : 유동가이드면
227 : 제3통로 230 : 3차워터부스
231 : 제2노즐 232 : 제2폴링
300 : 습식 스크러버
310 : 하우징 320 : 스프레이 노즐
330 : 충진재 340 : 데미스터(demister)
400 : 카본흡착수단 410 : 흡착타워
420 : 카본카트리지 430 : 버퍼플레이트

Claims (5)

  1. 분진이 포함된 악취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베인과 상기 유입구로 오존을 함께 투입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유입되는 악취와 오존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면서 악취가스가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 상기 집진기에서 분진이 제거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반습식 스크러버;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습식 스크러버를 통과한 악취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카본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습식 스크러버는,
    세정수가 흘러내리는 워터커튼이 형성되는 1차워터부스와,
    상기 1차워터부스와 연통되고 상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제1노즐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1노즐의 하측에 상승하는 악취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는 제1폴링이 구비되는 2차워터부스 및
    상기 2차워터부스와 연통되고 상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제2노즐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노즐의 하측에 하강하는 악취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는 제2폴링이 구비되는 3차워터부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과 제2노즐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게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머리가 상기 토출구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볼트의 머리와 토출구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막힘없이 세정수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워터부스, 2차워터부스 및 3차워터부스의 하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세정수 및 침전물이 펌프에 의해 대류 유동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호형상의 유동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흡착수단은,
    타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하측으로 유도되게 하는 흡착타워;
    원통형상의 내부에 카본이 충진되고 상기 흡착타워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으로 적층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카본카트리지;
    상기 흡착타워의 내벽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의 흐름을 중앙으로 유도함으로써 흡착효율을 향상시키는 복수개의 버퍼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타워의 측벽에 복수개의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카본카트리지를 삽입함으로써 장착하거나 교체를 위해 탈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KR1020200160421A 2020-11-25 2020-11-25 악취제거장치 KR10223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21A KR102236966B1 (ko) 2020-11-25 2020-11-25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421A KR102236966B1 (ko) 2020-11-25 2020-11-25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66B1 true KR102236966B1 (ko) 2021-04-08

Family

ID=7548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421A KR102236966B1 (ko) 2020-11-25 2020-11-25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9344A (zh) * 2023-12-04 2024-01-05 山东德利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层吸附器的吸附塔
KR102646807B1 (ko) * 2023-11-01 2024-03-12 엔텍스 주식회사 무여재 정화 스크러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419A (ja) * 1997-07-25 1999-02-16 Chiyoda Eng Kk 排ガス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04721A (ko) * 2001-07-06 2003-01-15 주식회사 시원기업 선회류를 이용한 반건식 세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35585B1 (ko) * 2001-08-22 2004-06-10 주식회사 두레엔지니어링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858355B1 (ko) 2007-02-09 2008-09-17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KR100981349B1 (ko) 2008-07-03 2010-09-10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KR101729079B1 (ko) 2016-06-20 2017-04-21 노창식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923502B1 (ko) * 2018-01-25 2019-02-27 한관우 배기가스 정화방법 및 그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2103703B1 (ko) 2018-05-16 2020-04-23 정상택 악취제거장치
KR20200103213A (ko) * 2019-02-22 2020-09-02 주식회사 유진테크 탈취기능이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탈취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419A (ja) * 1997-07-25 1999-02-16 Chiyoda Eng Kk 排ガス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04721A (ko) * 2001-07-06 2003-01-15 주식회사 시원기업 선회류를 이용한 반건식 세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35585B1 (ko) * 2001-08-22 2004-06-10 주식회사 두레엔지니어링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858355B1 (ko) 2007-02-09 2008-09-17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KR100981349B1 (ko) 2008-07-03 2010-09-10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KR101729079B1 (ko) 2016-06-20 2017-04-21 노창식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923502B1 (ko) * 2018-01-25 2019-02-27 한관우 배기가스 정화방법 및 그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2103703B1 (ko) 2018-05-16 2020-04-23 정상택 악취제거장치
KR20200103213A (ko) * 2019-02-22 2020-09-02 주식회사 유진테크 탈취기능이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탈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807B1 (ko) * 2023-11-01 2024-03-12 엔텍스 주식회사 무여재 정화 스크러버
CN117339344A (zh) * 2023-12-04 2024-01-05 山东德利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层吸附器的吸附塔
CN117339344B (zh) * 2023-12-04 2024-03-12 山东德利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层吸附器的吸附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US5201919A (en) Integral in-line gas scrubber
US6241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crubbing contaminants from a gas flow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959628B1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JP2008520333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2290028B1 (ko) 향상된 효율의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1595218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025152B1 (ko) 와류형 세정집진장치
KR100962711B1 (ko) 음향 공진형 탈취장치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CN114269453A (zh) 湿式集尘单元及使用其的湿式集尘装置
KR101066985B1 (ko) 탈취장치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JP2007296457A (ja) 集塵装置
JP2012090671A (ja) 空気浄化装置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102204943B1 (ko) 공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