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887Y1 -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 Google Patents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887Y1
KR200152887Y1 KR2019970016356U KR19970016356U KR200152887Y1 KR 200152887 Y1 KR200152887 Y1 KR 200152887Y1 KR 2019970016356 U KR2019970016356 U KR 2019970016356U KR 19970016356 U KR19970016356 U KR 19970016356U KR 200152887 Y1 KR200152887 Y1 KR 200152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ift
frame
fixed
lif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770U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8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중인 모터의 고장발생시 고장난 모터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단시간 내에 장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1)를 장착하기 위하여 리프트에 구비되는 장착대(B)에 있어서, 2개의 모터(1)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되, 하측의 모터(1)는 전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차례로 직결될 수 있게 장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양쪽편에 수직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채널(20)과, 양단에 롤러(31)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채널(20)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10)의 양쪽편에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승강축(30)과,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모터(1)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축(3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브라켓(40)과, 상기 승강축(30)의 양단을 상기 채널(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개의 스토퍼(50)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본 고안은 중량물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리프트에서 구동장치로 사용하는 모터가 장착되는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사용중인 모터의 고장발생시 고장난 모터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단시간 내에 장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일반적인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리프트에는 대형모터(1)를 사용한다. 예시한 리프트는 모터(1)의 회전으로 모터(1)의 축과 차례로 직결된 브레이크(2)와 감속기(3)를 통하여 체인(4)을 구동시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리프트는 장치의 특성상 모터(1)가 구조물의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되며, 설치시에는 구조물에 장치한 장착대(A)에 교체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들어 모터(1)는 장착대(A)에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며 브레이크(2)와는 커플링(2a)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에 일반적인 리프트에 있는 장착대(A)는 1개의 모터(1)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용되는 모터(1)가 고장나면, 모터(1)를 수리하는 시간동안 리프트의 가동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모터(1)가 오랜시간 수리를 요하는 고장일 경우에는 모터(1)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리프트는 특성상 구조물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새로운 모터(1)를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예를들어 모터(1)의 설치위치가 높고 대형인 경우에 새로운 모터(1)를 운반하고 교체하는데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그만큼 작업을 지연시키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사용중인 모터의 고장발생시 고장난 모터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사용 모터와 스페어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일반적인 리프트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대가 구비된 리프트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브레이크
3 : 감속기 4 : 체인
10 : 프레임 20 : 가이드채널
30 : 승강축 31 : 롤러
40 : 브라켓 50 : 스토퍼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1)를 장착하기 위하여 리프트에 구비되는 장착대(B)에 있어서, 2개의 모터(1)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되, 하측의 모터(1)는 전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차례로 직결될 수 있게 장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양쪽편에 수직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채널(20)과, 양단에 롤러(31)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채널(20)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10)의 양쪽편에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승강축(30)과,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모터(1)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축(3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브라켓(40)과, 상기 승강축(30)의 양단을 상기 채널(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개의 스토퍼(50)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대가 구비된 리프트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10)은 일정 크기로 된 2개의 모터(1)가 전반부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하측의 모터(1)는 전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차례로 직결될 수 있게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프레임(10)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채널(20)은 단면이 ㄷ자형으로 된 것으로, 프레임(10)의 좌우 양쪽편에 서로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용접등으로 결합한다.
승강축(30)은 봉상으로 된 것이며, 각각의 양단에 롤러(31)가 결합된 상태로 가이드채널(20)에 수평으로 끼워진다.
브라켓(40)은 스페어 모터(1)를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하기 위하여 승강축(30)에 모터(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단은 모터(1)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탈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타측은 승강축(30)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스토퍼(50)는 승강축(30)을 가이드채널(20)에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4개의 핀에 의하여 승강축(30)의 양단이 가이드채널(20)의 상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하측에는 사용 모터(1)가 설치되어 커플링에 의하여 리프트의 브레이크(2)에 연결되고, 프레임(10)의 상측에는 스페어 모터(1)가 설치되어 사용 모터(1)의 고장시 다음과 같이 교체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하측에 있는 모터(1), 즉 사용 모터(1)가 고장나면, 커플링을 분해하여 사용 모터(1)의 축과 브레이크(2)를 분리한 다음, 사용 모터(1)를 프레임(10)로부터 탈거하고 프레임(10)의 바닥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토퍼(50)를 승강축(30)로부터 빼내어 스페어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승강축(30)을 하강시킨 다음, 브라켓(40)을 제거한 후, 커플링으로 브레이크(2)와 연결하여 스페어 모터(1)를 사용 모터(1)로 사용하면 된다.
이후, 고장난 모터(1)를 수리하거나 경우에 따라 새로운 모터(1)를 마련하여 승강축(30)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10)의 상측에 장착하여 두었다가 사용 모터(1)의 고장을 대비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모터(1) 장착대(B)는 사용 모터(1)와 별도의 스페어 모터(1)를 장착하여 두었다가 사용모터(1)의 고장시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형이며 높은 곳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사용 모터(1)를 빠르게 교체하는데 편리하며, 모터(1)의 교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트의 가동중단으로 인한 작업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모터(1)를 장착하기 위하여 리프트에 구비되는 장착대(B)에 있어서, 2개의 모터(1)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되, 하측의 모터(1)는 전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차례로 직결될 수 있게 장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양쪽편에 수직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채널(20)과, 양단에 롤러(31)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채널(20)을 따라 승강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10)의 양쪽편에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승강축(30)과,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모터(1)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축(3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브라켓(40)과, 상기 승강축(30)의 양단을 상기 채널(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복수개의 스토퍼(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KR2019970016356U 1997-06-30 1997-06-30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KR200152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56U KR200152887Y1 (ko) 1997-06-30 1997-06-30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56U KR200152887Y1 (ko) 1997-06-30 1997-06-30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70U KR19990002770U (ko) 1999-01-25
KR200152887Y1 true KR200152887Y1 (ko) 1999-08-02

Family

ID=195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356U KR200152887Y1 (ko) 1997-06-30 1997-06-30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8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70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024B1 (ko) 로봇 탈부착장치
CN109047906A (zh) 一种型材锯断装置
KR200152887Y1 (ko) 리프트의 모터 장착대
CN109366605B (zh) 一种栏杆打孔攻丝设备
JP2007084226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1014509B1 (ko) 차체 조립지그의 클램프장치
JP4176188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設置構造
US3788218A (en) Walk-in rotary printing machine unit
CN210788527U (zh) 一种立式缸筒清洗机
KR200331981Y1 (ko)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CN220839840U (zh) 一种轮胎维修用固定装置
KR100212782B1 (ko) 금형다이 교환장치
KR0132799Y1 (ko) 크로스멤버 고정장치
CN220398886U (zh) 一种刮板输送机用链轮轴组测试装置
CN220863162U (zh) 一种炉窑框架高效焊接定位机构
CN218842470U (zh) 一种整经机接头升降踏板装置
JP7329399B2 (ja) 曲げ角度検出ユニット、曲げ角度検出システム及び曲げ角度検出ユニットの実装方法
CN219967021U (zh) 独立悬架弹簧压装设备
KR102431516B1 (ko)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CN210594155U (zh) 凸轮盖自动式精准分料机构
CN210701797U (zh) 一种电梯t型导轨矫正装置
KR100601198B1 (ko) 동력전달 제어가 가능한 슬라브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절단방법
CN118003239A (zh) 一种新型导轨板安装结构
KR200265096Y1 (ko) 래치가이드장치
KR101954361B1 (ko) 리프트용 조향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