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516B1 -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516B1
KR102431516B1 KR1020200157680A KR20200157680A KR102431516B1 KR 102431516 B1 KR102431516 B1 KR 102431516B1 KR 1020200157680 A KR1020200157680 A KR 1020200157680A KR 20200157680 A KR20200157680 A KR 20200157680A KR 102431516 B1 KR102431516 B1 KR 10243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upled
vehicle
pai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771A (ko
Inventor
김대환
김성권
김공명
배세진
고도녕
심효경
김시형
구정현
김재홍
윤선호
강정륜
윤재곤
신상훈
신상범
박준영
신호영
Original Assignee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상부에서 여러 부품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자동차의 하부로부터 모터를 쉽게 탈거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의 고정이 보다 확실해지며 다양한 크기의 모터에 적용 가능한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고정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바디부; 모터의 측부에 밀착되는 밀착수단과 상기 밀착수단을 회동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측부를 파지하는 측면 파지부; 모터의 회전자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을 파지하는 후면 파지부; 및 모터의 회전자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을 직선 이동시켜 모터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모터본체로 결합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of mo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상부에서 여러 부품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자동차의 하부로부터 모터를 쉽게 탈거하여 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모터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의 경우 차량 구동을 위한 모터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모터는 사고나 고장에 따른 수리시 탈거 및 분해가 매우 어려워 모터를 수리하기 보다는 새로 교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에 따라 소비자도 매우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차량용 모터의 수리 작업을 위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아래의 특허문헌 1에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선반(110); 상기 선반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구동 모터용의 고정자를 지지하는 고정자 브라켓(120); 상기 선반의 상면에 일단이 상기 고정자 브라켓을 향하도록 형성된 볼 스크류(130); 상기 볼 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드 휠(140); 상기 선반의 상면에 상기 볼 스크류와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LM 가이드(150); 상기 볼 스크류 및 LM 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LM 가이드를 따라 상기 선반의 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자 이송 플레이트(160); 및 상기 회전자 이송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용의 회전자를 지지하는 회전자 브라켓(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구동 모터를 차량으로부터 탈거한 후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구동 모터가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직접 탈거하여 운반하기는 곤란하고 설치 구조상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상부에서 여러 부품들을 제거한 후 구동 모터를 들어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상 다양한 크기의 구동 모터에 적용하기는 어렵고, 구동 모터가 선반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구조상 모터의 무게를 고려할 때 장치의 전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2249호(2009. 06. 17.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상부에서 여러 부품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자동차의 하부로부터 모터를 쉽게 탈거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의 고정이 보다 확실해지며 다양한 크기의 모터에 적용 가능한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고정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바디부; 모터의 측부에 밀착되는 밀착수단과 상기 밀착수단을 회동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측부를 파지하는 측면 파지부; 모터의 회전자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을 파지하는 후면 파지부; 및 모터의 회전자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을 직선 이동시켜 모터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모터본체로 결합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수평면에는 복수의 제1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에는 복수의 제2고정홀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몸체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 양측으로 각각 수용구가 구비되고, 몸체의 길이 방향 양 단부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 고정가이드가 삽입되며, 상기 개구된 부분의 상측에 고정편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수용구가 구비된 몸체 측면에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밀착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바 및 복수의 지지바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밀착롤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회전수단은 고정바에 나사 결합되도록 소정 구간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구체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구비된 파지핸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후면 파지부는 이동가이드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의 장공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상기 이송부는 후면 파지부의 제1브래킷에 고정되는 이동가이드와, 바디부(10)의 몸체 내부에 삽입 결합되되 일측으로 이동가이드가 삽입되는 고정가이드와, 고정가이드의 타측으로 삽입되되 이동가이드에 결합되는 이송축과, 이송축의 단부에 결합된 이송핸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측면 파지부의 파지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되, 한 쌍의 인양플레이트와 인양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인양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상부에서 여러 부품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자동차의 하부로부터 모터를 쉽게 탈거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탈거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측면 파지부의 구성으로부터 모터의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고, 모터본체를 장치의 중심부에 파지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어 전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터의 크기나 형상에 상관없이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장치의 효용성이 크게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를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에 구동 모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를 이용한 모터의 탈거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를 이용한 모터의 분해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를 이용한 모터의 운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는 바디부(10), 측면 파지부(20), 후면 파지부(30) 및 이송부(40)로 이루어지고, 차량 하부로부터 모터를 탈거하고 탈거된 모터에서 회전자를 분리해내며 분해된 모터의 수리를 마친 후 다시 역순으로 조립하여 차량에 장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바디부(10)는 작업 현장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트랜스미션잭(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모터의 탈거, 분해 및 조립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반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0)는 수평면(11)과 수직면(12)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3)와, 베이스 플레이트(13) 상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 고정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대략 직육면체의 몸체(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수평면(11)에는 트랜스미션잭과의 결합을 위한 제1고정홀(11a)이 복수 개 구비되고 수직면(12)에는 후술하는 파지플레이트(2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제2고정홀(12a)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2고정홀(12a)로 인하여 차량용 모터의 크기에 따라 측면 파지부(20)의 장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4)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 양측으로 각각 수용구(15)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구(15)는 회전축(26)의 일단부에 구비된 구체(27)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14)의 길이 방향 양 단부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 이를 통해 후술하는 고정가이드(43)가 삽입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의 상측에 고정편(16)이 구비되어 핀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가이드(43)를 몸체(14)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구(15)가 구비된 몸체(14) 측면에는 복수의 장공(17a)이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터의 탈거 작업시 모터를 몸체(14) 상부에 적당히 안착시키고 나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17)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착 플레이트(17)가 모터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모터를 본 장치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 파지부(20)는 모터의 탈거,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의 측부를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되 각각은, 모터의 측부에 밀착되는 밀착수단(21)과 상기 밀착수단(21)을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는 회전수단(25)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수단(21)은 일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제2고정홀(12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바(23a) 및 복수의 지지바(23b)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밀착롤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수단(25)은 고정바(23a)에 나사 결합되도록 소정 구간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6)과, 상기 회전축(26)의 일단부에 구비된 구체(27)와, 상기 회전축(26)의 타단부에 구비된 파지핸들(28)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고정바(23a)와 회전축(26)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인하여 파지핸들(28)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26)의 회전으로 고정바(23a)가 회전축(26) 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밀착수단(21)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모터를 탈거하여 본 장치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된 자동차의 모터 하부에 본 발명의 장치를 위치시키고 트랜스미션잭을 상승시켜 모터 저면이 바디부(10)의 몸체(14) 상부에 접촉되도록 한 후 자동차의 프레임과 모터의 결합을 해제하여 모터를 바디부(10)의 몸체(14) 상부에 안착시키고, 안착플레이트(17)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착플레이트(17)를 모터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그 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파지부(20)의 파지핸들을 조작하여 밀착수단(21)의 밀착롤러(24)가 모터의 측부를 밀착시키도록 하여 모터의 측부를 확실히 고정한다.
한편, 상기 밀착롤러(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24a)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분할된 형태의 다수의 단위롤러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파지부(20)는 각각 별개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모터의 측부가 비대칭인 경우에도 쉽게 모터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모터의 측부가 대칭 형상인지 여부와 모터의 표면 요철 형상에 상관없이 상기 밀착수단(21)을 모터의 측부에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모터에 적용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측면 파지부(20)의 설치 위치상 모터본체를 장치의 중심부에 파지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어 전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후면 파지부(30)는 모터의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의 회전자(5)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7)을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파지부(30)는 후술하는 이동가이드(4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31)과, 상기 제1브래킷(31)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브래킷(33)과, 상기 제2브래킷(33)의 장공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브래킷(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브래킷(31), 제2브래킷(33) 및 제3브래킷(35)은 초기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바, 모터가 바디부(10) 상부에 안착되어 탈거된 후 상기 제3브래킷(35)을 리어브래킷(7)에 고정하고 제2브래킷(33)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3브래킷(35)에 고정하며 마지막으로 제1브래킷(31) 사이에 제2브래킷(33)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리어브래킷(7)을 확실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후면 파지부(30)는 제1브래킷(31), 제2브래킷(33) 및 제3브래킷(35)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모터 브래킷에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기 이송부(40)는 모터의 분해 및 조립 작업시 모터의 회전자(5)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7)을 직선 이동시켜 모터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모터본체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40)는 후면 파지부(30)의 제1브래킷(31)에 고정되는 이동가이드(41)와, 바디부(10)의 몸체(14) 내부에 삽입 결합되되 일측으로 이동가이드(41)가 삽입되는 고정가이드(43)와, 고정가이드(43)의 타측으로 삽입되되 이동가이드(41)에 결합되는 이송축(45)과, 이송축(45)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핸들(4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가이드(43)는 상면에 결합편(44)이 구비되어 있어 앞서 살핀 고정편(16)과 결합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가이드(43)가 몸체(14)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이동가이드(41)와 이송축(45)의 결합은 이송축(45)의 회전 운동을 이동가이드(41)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고, 이로 인해 이송핸들(47)의 회전으로 이송축(45)이 회전하면 이동가이드(41)가 후진하거나 전진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모터의 분해 작업을 설명하면, (a)는 모터의 분해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이고, (b)와 같이 이송핸들(47)을 조작하여 이동가이드(41)를 후진시키면 이동가이드(41)의 일단부에 고정된 후면 파지부(30)가 후진하게 되고, 후면 파지부(30)가 후진하면 후면 파지부(30)에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7)이 후진함으로써 리어브래킷(7)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자(5)가 모터본체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한편, 현장에서 복수의 차량용 모터를 수리하게 되는 경우 작업의 편의를 위해 탈거된 모터를 별도의 장소로 옮긴 후 나중에 분해 및 조립 작업을 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양구(50)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양구(50)는 한 쌍의 인양플레이트(51)와 인양플레이트(51)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봉(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작업 과정은 먼저, 모터의 탈거 작업을 마친 후 측면 파지부(20)를 이용해 모터의 측부를 확실히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후면 파지부(30)와 이송부(40)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인양구(50)를 측면 파지부(20)의 파지플레이트(22)에 각각 결합한 후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탈거된 모터를 별도의 장소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바디부
11: 수평면 12: 수직면 13: 베이스 플레이트 14: 몸체
15: 수용구 16: 고정편 17: 안착 플레이트
20: 측면 파지부
21: 밀착수단 22: 파지플레이트 23a: 고정바
23b: 지지바 24: 밀착롤러 25: 회전수단
26: 회전축 27: 구체 28: 파지핸들
30: 후면 파지부
31: 제1브래킷 33: 제2브래킷 35: 제3브래킷
40: 이송부
41: 이동가이드 43: 고정가이드 45: 이송축 47: 이송핸들
50: 인양구
51: 인양플레이트 53: 지지봉

Claims (9)

  1. 수평면(11)과 수직면(12)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상부에 고정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14)를 포함하는 바디부(10);
    모터의 측부에 밀착되는 밀착수단(21)과 상기 밀착수단(21)을 회동시키는 회전수단(25)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측부를 파지하는 측면 파지부(20);
    모터의 회전자(5)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7)을 파지하는 후면 파지부(30); 및
    모터의 회전자(5)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브래킷(7)을 직선 이동시켜 모터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모터본체로 결합하는 이송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11)에는 복수의 제1고정홀(11a)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면(12)에는 복수의 제2고정홀(1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4)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 양측으로 각각 수용구(15)가 구비되고, 몸체(14)의 길이 방향 양 단부면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 고정가이드(43)가 삽입되며, 상기 개구된 부분의 상측에 고정편(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15)가 구비된 몸체(14) 측면에는 복수의 장공(17a)이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1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21)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제2고정홀(12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바(23a) 및 복수의 지지바(23b)와, 한 쌍의 파지플레이트(2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밀착롤러(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5)은 고정바(23a)에 나사 결합되도록 소정 구간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6)과, 상기 회전축(26)의 일단부에 구비된 구체(27)와, 상기 회전축(26)의 타단부에 구비된 파지핸들(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파지부(30)는 이동가이드(4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31)과, 상기 제1브래킷(31)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브래킷(33)과, 상기 제2브래킷(33)의 장공 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3브래킷(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는 후면 파지부(30)의 제1브래킷(31)에 고정되는 이동가이드(41)와, 바디부(10)의 몸체(14) 내부에 삽입 결합되되 일측으로 이동가이드(41)가 삽입되는 고정가이드(43)와, 고정가이드(43)의 타측으로 삽입되되 이동가이드(41)에 결합되는 이송축(45)과, 이송축(45)의 단부에 결합된 이송핸들(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측면 파지부(20)의 파지플레이트(22)에 각각 결합되되, 한 쌍의 인양플레이트(51)와 인양플레이트(51)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봉(53)을 포함하는 인양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KR1020200157680A 2020-11-23 2020-11-23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KR10243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80A KR102431516B1 (ko) 2020-11-23 2020-11-23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80A KR102431516B1 (ko) 2020-11-23 2020-11-23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71A KR20220070771A (ko) 2022-05-31
KR102431516B1 true KR102431516B1 (ko) 2022-08-11

Family

ID=8177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680A KR102431516B1 (ko) 2020-11-23 2020-11-23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5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269B1 (ko) 2013-08-16 2013-12-19 (주)제이에스더블유 자동차용 작업지그 장치
KR101927300B1 (ko) 2017-11-30 2019-03-05 박금산 플랜트 건설을 위한 저장탱크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249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모터 조립 및 분해 장치
KR101064592B1 (ko) * 2009-06-23 2011-09-15 송명식 트랜스미션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269B1 (ko) 2013-08-16 2013-12-19 (주)제이에스더블유 자동차용 작업지그 장치
KR101927300B1 (ko) 2017-11-30 2019-03-05 박금산 플랜트 건설을 위한 저장탱크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71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034B2 (ja) 航空機エンジンモジュールの搬送用台車
CN210756142U (zh) 一种桥壳机器人焊接夹具
CN114749703B (zh) 一种锚卸扣销孔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KR102431516B1 (ko) 차량용 모터 탈거, 분해 및 조립 장치
CN108284341B (zh) 一种装刀设备
JPH0840547A (ja) タイヤ移載装置
JP4771859B2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
JP4438657B2 (ja) ワーク作業装置
CN107297704B (zh) 一种用于前挡风玻璃定位的夹具及其使用方法
CN216252428U (zh) 一种机电安装工程施工安全防护装置
KR20130000755U (ko)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WO1998018590A2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un poste a pince de soudage a commande manuelle dans une chaine d'assemblage
CN113291095B (zh) 一种汽车轮胎快速更换装置
EP2307263B1 (fr) Dispositif de production d'au moins deux types distincts d'une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JP5349075B2 (ja) 位置決めシステム
CN109834228B (zh) 一种砂芯翻转转运装置
CN114261241A (zh) 一种轮胎拆装设备
CN217798765U (zh) 一种金属加工锻压用辅助装置
CN112645049A (zh) 一种具有搬运功能的机器人
JP2010150014A (ja) フォーク固定装置
CN117102681B (zh) 连续激光打标设备
CN213795166U (zh) 一种agv舵轮辅助装配装置
CN220347564U (zh) 一种电动车前叉焊接装置
KR200422961Y1 (ko) 로딩 및 언로딩이 용이한 클램프 장치
CN115503402A (zh) 一种可适应多pcd的轮胎装夹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