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81Y1 -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81Y1
KR200331981Y1 KR20-2003-0020464U KR20030020464U KR200331981Y1 KR 200331981 Y1 KR200331981 Y1 KR 200331981Y1 KR 20030020464 U KR20030020464 U KR 20030020464U KR 200331981 Y1 KR200331981 Y1 KR 200331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roller
rollers
roller tabl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연
최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20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4Spring-supported sets, e.g. permitting troughing of a load-carrying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후판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에 설치되어 크레인에 의해 후판을 안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충격으로 인한 이송 롤러의 파손 등을 방지해 주는 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후판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이송 롤러 사이에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이동 베이스가 배치되고, 이 이동 베이스에는 상기 이송 롤러와 나란하게 놓인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가 작동바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 사이에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와 이동 베이스 사이에는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이 설치된다.

Description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Apparatus for alleviating impact in transfer table}
본 고안은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후판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에 설치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이송 롤러 상에 후판을 안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충격으로 인해 이송 롤러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이송 롤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 공장에서 사용되는 롤러 테이블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로 구성되고, 마그네트 크레인에 의해 후판이 상기 이송 롤러 상에 연속적으로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이송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안착된 후판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 후판이 안착되는 선입부에 설치된 이송 롤러는 크레인에 의해 상기 후판이 연속적으로 안착될 때 중량물인 후판과 자주 충돌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후판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 시 그 피로가 누적되어 이송 롤러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이송 롤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롤러 테이블 설비의 고장 없이 많은 양의 후판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후판을 이송 롤러에 직접 안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충격 완화 장치에 먼저 안착시킨 후 이송 롤러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이송 롤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크레인에 의한 후판 안착 시에 발생하는 충격이 이송 롤러에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도록 후판이 안착되는 롤러 테이블의 선입부에 별도의 충격 흡수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충격 흡수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에 대한 상부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에 대한 하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롤러 테이블 2: 가이드 베이스
3: 이송 롤러 10: 이동 베이스
11: 실린더 12,12': 충격흡수 롤러
13,13': 작동바 14: 힌지 볼트
15,15':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 16: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
20: 지지 베이스 21: 구동모터
22: 피니언 기어 23: 가이드 플레이트
24: 랙 기어 25: 가이드 롤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 기술구성을 가진다.
즉, 본 고안은 후판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이송 롤러 사이에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이동 베이스가 배치되고, 이 이동 베이스에는 상기 이송 롤러와 나란하게 놓인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가 작동바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 사이에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와 이동 베이스 사이에는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 사이에는 이 충격흡수 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충격흡수 롤러가 더 마련되고, 이 충력흡수 롤러는 작동바에 의해 상기 충력흡수 롤러의 하나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 상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 롤러와 상기 충격흡수 롤러 중 하나와의 사이에는좌우 충격 흡수스프링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는 호형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 각각의 양 끝단에 설치되며, 그 중 같은 쪽 끝단에 설치된 2개의 작동바는 상기 이동 베이스 상의 동일 지점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와 이동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작동바와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는 이 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가 마련되고, 이 지지 베이스에는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후판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놓여진 랙 기어와 치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상부만을, 도3은 하부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상부는 크레인에 의해 안착되는 후판과 직접 접촉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고, 하부는 교체 및 수리를 위해 충격 흡수장치를 롤러 테이블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이다.
먼저, 롤러 테이블(1)은 2개의 가이드 베이스(2) 상에 복수개의 이송 롤러(3)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 이송 롤러(3)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 설치된다. 롤러 테이블(1)은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3)를 회전시켜 이송 롤러(3) 상에 놓여진 후판을 가이드 베이스(2)에 의해 정해지는 라인을 따라 이송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는 후판이 안착되는 롤러 테이블(1)의 선입부에 설치된다. 이송 롤러(3) 사이에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이동 베이스(10)가 배치되고, 이 이동 베이스(10) 상에는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가 상기 이송 롤러(3)와 서로 나란하게 연결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의 양 끝단에 호형의 작동바(13)가 설치되고, 이 작동바(13)는 상기 이동 베이스(10)의 소정 지점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에서는 상기 충격흡수 롤러(12) 각각의 양 끝단에 연결된 2개의 작동바(13)가 상기 이동 베이스(10) 상의 한 지점에서 힌지 볼트(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 다른 지점에서 힌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사이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의 양 끝단에 설치된 작동바(13) 사이에는 후판 안착 시 발생하는 좌우 방향으로의 충격을 흡수하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이 설치된다. 이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은 상기 충격흡수 롤러(12)와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충격 흡수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0)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16)이 설치된다. 이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16)은 상기 이동 베이스(10)의 상면과 수직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충격 흡수률이 높이기 위해서는 작동바(13)의 호형태에 따라 만들어지는 원주의 접선에 수직하게 접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는 기본적으로 상기 이동 베이스(10) 상에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충격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사이에 이 충격흡수 롤러(12)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충격흡수 롤러(12')가 하나 더 마련된다. 이 충격흡수 롤러(12')의 양 끝단에 설치된 작동바(13')는 상기 작동바(13)와 동일하게 호형을 이루며 상기 충격흡수 롤러(12')가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중 하나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10) 상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롤러(12)와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중 하나와의 사이에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이 설치된다.
상기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0) 사이에는 작동바(13)와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11)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17)가 설치된다.
이동 베이스(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상기 실린더(11)는 이동 베이스(1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베이스(20) 상에 설치된다. 이 지지 베이스(20)의 하단에는 구동모터(21)가 마련되고, 이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일측(도1에서는 지지 베이스(20)의 하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3)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는 후판의 이송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랙 기어(24)가 설치된다. 이 랙 기어(24)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22)가 치합되어 구동모터(21)가 작동될 때 지지 베이스(22)가 가이드 플레이트(23)를 따라 후판의 이송방향과 수직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 베이스(20)에는 가이드 롤러(25)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 롤러(25)는 상기 피니언 기어(22)가 랙 기어(24)와 맞물려 돌아갈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랙 기어(24)와 나란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베이스(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는 롤러 테이블에 안착되는 후판의 길이에 맞추어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판이 롤러 테이블(1)에 안착되기 전에 실린더(11)에 의해 이동 베이스(1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충격흡수 롤러(12)가 이송 롤러(3)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크레인이 후판을 롤러 테이블(1)에 선입부 상으로 이동시켜 이를 떨어뜨리면 상기 충격흡수 롤러(12)에 먼저 적치된다. 이 때 후판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충격흡수 롤러(12)에 상당한 충격이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은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흡수된다. 먼저,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가 작동바(13)를 매개로 이동 베이스(10)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판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흡수 롤러(12)는 힌지 볼트(14)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된다. 이 때, 충격흡수 롤러(12) 사이에 연결 설치된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이 이완되면서 후판에 의한 좌우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한편, 상기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1) 사이에 설치된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16)은 회동되는 작동바(13)에 의해 수축되면서 후판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내려갈 때,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중 하나와 연결 설치된 충격흡수 롤러(12')는 회동되면서 상방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에 의해, 최초에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던 상기 충격흡수 롤러(12')가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후판은 충격흡수 롤러(12') 상에도 안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충격흡수 롤러(12')는 다시 내려가면서 후판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충격흡수 롤러(12)에 안착된 후판을 롤러 테이블(1)의 이송 롤러(3)로 옮겨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베이스(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작동바(13)와 연동하여 실린더(11)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17)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후판이 안착될 때 상기 작동바(13)가 회동되면서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0) 사이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7)에 접촉하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17)는 실린더(11)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후판이 충격흡수 롤러(12) 상에 안착되었음을 알려준다.
상기 신호에 따라 실린더(11)는 이동 베이스(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충격흡수 롤러(12)가 이송 롤러(3)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이에 의해 후판은 상기 이송 롤러(3) 상에 안착되고 이송 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예정된 장소로 이송된다. 크레인에 의한 후판의 안착 작업이 예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7)를 설치할 필요 없이 실린더(11)가 이동 베이스(1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승강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안착 작업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된 후판이 이송된 후, 실린더(11)는 이동 베이스(11)를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는 상기한 기본적인 충격 흡수 작용 외에도 오랜 기간 사용에 의해 수리나 교체를 할 필요가 있을 때 이를 롤러 테이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충격 흡수장치를 롤러 테이블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실린더(11)가 설치된 지지 베이스(20)의 하단에 마련된 구동모터(21)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22)가 회전되고, 이 피니언 기어(22)는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놓여진 랙 기어(24)와 맞물려 돌아가면서 상기 지지 베이스(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랙 기어(24)는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후판의 이송 방향과 수직되게 놓여져 있으므로 충격 흡수장치는 롤러 테이블(1)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가이드 롤러(25)는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을 랙 기어(24)와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지지 베이스(20)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해준다. 충격 흡수장치의 수리나 교체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 테이블(1)에 다시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면, 후판의 안착 시에 이송 롤러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피로로 인해 이송 롤러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이송 롤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고장에 따른 작업 생산성 하락과 수리에 따른 비용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후판을 운반하는 롤러 테이블(1)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이송 롤러(3) 사이에는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이동 베이스(10)가 배치되고, 이 이동 베이스(10)에는 상기 이송 롤러(3)와 나란하게 놓인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가 작동바(13)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사이에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0) 사이에는 상하 충격 흡수스프링(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충격흡수 롤러(12) 사이에는 이 충격흡수 롤러(12)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충격흡수 롤러(12')가 더 마련되고, 이 충력흡수 롤러(12')는 작동바(13')에 의해 상기 충력흡수 롤러(12)의 하나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10) 상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 롤러(12')와 상기 충격흡수 롤러(12) 중 하나와의 사이에는 좌우 충격 흡수스프링(1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13,13')는 호형을 이루고, 상기 충격흡수 롤러(12,12')의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며, 그 중 같은 쪽 끝단에 설치된 2개의 작동바(13,13')는 상기 이동 베이스(10) 상의 동일 지점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13)와 이동 베이스(10) 사이에는 상기 작동바(13)와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11)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1)의 하부에는 이 실린더(11)를 지지하는 지지 베이스(20)가 마련되고, 이 지지 베이스(20)에는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22)를 구비한 구동모터(21)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2)는 상기 구동모터(21)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후판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놓여진 랙 기어(24)와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KR20-2003-0020464U 2003-06-27 2003-06-27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KR200331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64U KR200331981Y1 (ko) 2003-06-27 2003-06-27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64U KR200331981Y1 (ko) 2003-06-27 2003-06-27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81Y1 true KR200331981Y1 (ko) 2003-11-03

Family

ID=493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64U KR200331981Y1 (ko) 2003-06-27 2003-06-27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8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861B1 (ko) * 2012-04-26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3145B1 (ko) 2014-02-27 2015-09-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제거장치
KR20210012682A (ko) * 2019-07-26 2021-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KR102408793B1 (ko) * 2021-12-31 2022-06-16 (주)성원에이치티 피가공물 자동 이송 시스템
KR102449781B1 (ko) * 2022-03-31 2022-09-30 티테크코리아 주식회사 철판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철판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테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861B1 (ko) * 2012-04-26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3145B1 (ko) 2014-02-27 2015-09-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제거장치
KR20210012682A (ko) * 2019-07-26 2021-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KR102213968B1 (ko) * 2019-07-26 2021-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KR102408793B1 (ko) * 2021-12-31 2022-06-16 (주)성원에이치티 피가공물 자동 이송 시스템
KR102449781B1 (ko) * 2022-03-31 2022-09-30 티테크코리아 주식회사 철판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철판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테이블
WO2023191171A1 (ko) * 2022-03-31 2023-10-05 티테크코리아 주식회사 철판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철판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43086B (zh) 一种墙地瓷砖生产装置
CN207329459U (zh) 一种物品移载分拣装置
CN109333284B (zh) 差速器十字轴轴颈自动磨床
KR200331981Y1 (ko) 롤러 테이블의 충격 흡수장치
US4428090A (en) Pallet scraper
CN103273403A (zh) 一种玻璃划痕修复机
KR20030042197A (ko) 백업플레이트 승강장치
CN116810602A (zh) 一种钢结构住宅的原料加工装置
CN217101786U (zh) 一种机械制造抗冲击流水线用输送装置
CN106882538A (zh) 一种物品移载分拣装置
CN216835992U (zh) 一种板材存料装置
KR101120233B1 (ko)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CN214656048U (zh) 双侧支撑移动液压换轨机
CN205413703U (zh) 城市街道配电线路养护装置
CN115321800A (zh) 一种玻璃绝缘子生产用的钢化收集一体式钢化机
CN113800403A (zh) 一种轨道交通用移动式地铁门安装辅助器
CN217972419U (zh) 一种机电设备安装调节装置
CN213892595U (zh) 一种lcd和oled屏体托盘清洗机搬运模组
KR950000538Y1 (ko) 공작기기의 공구포트 90˚ 회전장치
CN213681118U (zh) 一种织缝翻一体袜机
CN114538068B (zh) 一种玻璃制品生产摆放装置
CN216830232U (zh) 金属uv印刷用抛光装置
CN212735977U (zh) 一种变压器套管摆放装置
CN210966278U (zh) 一种调节式清洗机
CN215095899U (zh) 一种镍氢电池用开式可倾压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