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506Y1 -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506Y1
KR200151506Y1 KR2019960037380U KR19960037380U KR200151506Y1 KR 200151506 Y1 KR200151506 Y1 KR 200151506Y1 KR 2019960037380 U KR2019960037380 U KR 2019960037380U KR 19960037380 U KR19960037380 U KR 19960037380U KR 200151506 Y1 KR200151506 Y1 KR 200151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lining
vehicle
pressure gaug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92U (ko
Inventor
서동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5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16D66/02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that a lining is worn to minimum allowable thickness
    • F16D66/025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indicating that a lining is worn to minimum allowable thickness sensing the position of parts of the brake system other than the braking members, e.g. limit switches mounted on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2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apart from the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등의 대형 차량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 상태를 감지하여 경고등을 점등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의 내부에 푸시로드의 과도한 스토로크를 검지하는 압력 게이지(3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30)에 흐르는 전압을 검지하는 비교기(32)와 기준 전압기(34)를 연결하여, 상기 기준 전압기(34)의 신호에 따라 구동기(36)가 작동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경고등(38)이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본 고안은 버스 등의 대형 차량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 상태를 감지하여 경고등을 점등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본체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오는 유압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하는 유압식과 에어탱크의 공기를 압축하여 이 압력에 의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공기식이 있으며, 구조상으로 드럼식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브레이크로 분류한다. 차량이 점점 대형화 및 고속화함에 따라 종래의 유압 브레이크는 제동력이 작아 차량의 안전운행을 보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동력이 크고 고장이 적으며 취급이 간편한 에어 브레이크 장치가 개발되어 버스 등의 대형차량에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에어 브레이크 장치는 공기를 압축하는 에어 컴프레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와,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압축된 공기가 첨부된 도면 도 1(A)(B)에서 도시되는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파워 챔버(10)의 에어 포트(12)를 통하여 들어오고, 상기 브레이크 파워 챔버(10)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14)을 밀어 연결되는 푸시로드(16)를 전진시켜, 상기 푸시로드(16)와 연결되는 에스캠(18)의 회전 작동으로 브레이크 드럼(17)에 제동을 걸도록 하는 브레이크 슈(19)와, 상기 브레이크 슈(19)에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17)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한 마찰재의 역할을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체결수단으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정도에 따라 브레이크 파워 챔버(10)에서 움직이는 푸시로드(16)를 동작함과 동시에 에스캠(18)이 작동되어 브레이크 슈(19)는 회전하는 드럼(17)에 눌리면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 또는 간극이 과도하게 벌어지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시에 발생하는 마찰음이나 직감을 통해 브레이크 장치의 정비를 하므로써 적절한 정비시기를 놓치게 되어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의 과도한 마모 또는 브레이크 드럼과의 간극이 규정치 이상 벌어지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경고장치를 설치하여 브레이크 제동력이 저하되므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 파워 챔버에 푸시로드의 과도한 스토로크를 검지하는 압력 게이지를 설치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고등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은 종래의 브레이크 파워 챔버 구조를 도시한 구조 단면도 및 B 는 브레이크 드럼의 구조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 압력 게이지가 설치되는 브레이크 파워 챔버의 구조 단면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B는 A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파워 챔버 16: 푸시로드
30: 압력 게이지 32: 비교기
34: 기준 전압기 36: 구동기
38: 경고등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A는 본 고안 브레이크 파워 챔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B는 A실시 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에 경고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의 내부에 푸시로드(16)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16a)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검지하는 압력 게이지(3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30)에는 코일 스프링(16a)이 과도하게 압축되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는 가압버튼(30a)이 구성된다.
또한 경고등(38)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 안됨)에 압력 게이지(30)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비교기(32)와, 상기 비교기(32)에는 기준 전압기(34)가 부설되어 압력 게이지(30)를 통해 전달되는 전압이 규정치 이상일 때는 연결되는 구동기(36)가 작동되어 경고등(38)이 점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중에 브레이크를 밟을 시에는 페달을 통해 답력이 전달되는 데, 이때 에어 탱크속에 들어 있는 압축된 공기가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의 에어포트(12)를 통해 들어오고, 상기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14)을 밀어 연결되는 푸시로드(16)를 전진시키고, 상기 푸시로드(16)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16a)이 압축되면서 푸시로드(16)에 연결되는 에스캠(18)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드럼(17)에 제동을 걸도록 하는 브레이크 슈(19)와, 상기 브레이크 슈(19)에 바퀴와 함게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17)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한 마찰재의 역할을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20)이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정도에 따라 브레이크 챔버(10A)에서 움직이는 푸시로드(16)를 동작함과 동시에 에스캠(18)이 작동되어 브레이크 슈(19)는 회전하는 드럼(20)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장치는 라이닝(20)의 마모가 과다하거나 푸시로드(16) 스토로크의 조정이 잘못되어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의 다이어프램(14)에 연결되는 푸시로드(16)는 과도하게 전진하는 데, 상기 푸시로드(16)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16a)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파워챔버(10A)에 설치되는 압력 게이지(30)의 가압버튼(30a)을 누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 게이지(3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이 흐르게 되어 연결되는 비교기(32)에 전압이 전달되며, 상기 비교기(32)와 연결되는 기준 전압기(34)가 이를 검지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전압보다 높을 시에는 구동기(36)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기(36)와 연결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는 경고등(38)의 전등이 점등되어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과도하게 전진해 있던 푸시로드(16)가 후퇴하게 되면 압력 게이지(30)에 맞닿아 있는 코일 스프링(16a)이 떨어져 압력 게이지(30)내에 전압은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고 점등되는 경고등(38)은 꺼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상태와 과도한 간극을 경고하여 적절한 시점에서 브레이크 라이닝을 교환 정비하도록 하므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의 과도한 간극상태를 검지 경고등을 점등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하므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적절한 정비시기를 알려주는 브레이크 라이닝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리어 엑슬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파워 챔버(10A)에 푸시로드(16)의 과도한 전진을 알리는 압력 게이지(3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 게이지(30)에 연결되는 비교기(32)와, 상기 비교기(32)에 전달되는 전압을 검지하는 기준 전압기(34)와, 상기 기준 전압기(34)의 신호에 따라 구동기(36)가 작동되며, 상기 구동기(36)의 동작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경고등(38)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경고장치.
KR2019960037380U 1996-10-31 1996-10-31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KR200151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380U KR200151506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380U KR200151506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92U KR19980023992U (ko) 1998-07-25
KR200151506Y1 true KR200151506Y1 (ko) 1999-07-15

Family

ID=1947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380U KR200151506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5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92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1506Y1 (ko)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KR200162420Y1 (ko)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KR20090020336A (ko) 브레이크 패드 마모감지장치
KR0119086Y1 (ko) 차량용 디스크 플레이트 마모 경보장치
KR200159220Y1 (ko) 산업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안전장치
KR200151492Y1 (ko)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KR0140424B1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감지장치
KR0120578Y1 (ko) 차량의 브레이크라이닝 마모감지장치
KR10019125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마모감지장치
KR100284950B1 (ko) 브레이크 오일의 유속을 이용한 비상등 점등장치
KR19980023753U (ko) 차량의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경고장치
KR19990019129U (ko) 보조브레이크장치
KR19990059247A (ko)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경보장치
KR200143568Y1 (ko) 차량용 브레이크 스위치의 장착구조
KR19980038998A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패드 교환시기 경고장치
KR19980031698U (ko) 차량용 브레이크 스위치의 장착구조
KR10027128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32788U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의 제동력향상구조
KR19990059699A (ko) 차량의 보조 브레이크장치
KR20010095411A (ko) 자동차 브레이크의 마찰재 과열 경보장치
KR10023246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47318A (ko) 브레이크 패드 교환시기 알림장치
KR19980013332U (ko) 차량용 부우스터 압력 경보장치
KR19980077567A (ko) 브레이크 패드의 교체 시기 표시 시스템
KR19980020033U (ko) 브레이크 라이닝 교환시기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