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90Y1 -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0490Y1 KR200150490Y1 KR2019970014001U KR19970014001U KR200150490Y1 KR 200150490 Y1 KR200150490 Y1 KR 200150490Y1 KR 2019970014001 U KR2019970014001 U KR 2019970014001U KR 19970014001 U KR19970014001 U KR 19970014001U KR 200150490 Y1 KR200150490 Y1 KR 2001504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ladder
- heavy equipment
- sensor
- sea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중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의 최상칸 및 최하칸에 장착된 제1 및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하고 있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콘트롤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수석으로 승하차하고 있음을 경보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중장비의 상부에 고착된 경보수단과, 상기 마이콤으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야간에도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며 중장비의 상부에 고착된 조명수단으로 이루어진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사다리방향으로 빛이 조사되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토목·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중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운전석 혹은 조정석의 높이가 높아 사다리를 이용하여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을 승하차하는 중장비에 있어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운전석 혹은 조정석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공사에 투입되는 중장비는 운전석 혹은 조정석이 높게 설치되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에 승하차하기 위하여는 중장비에 고착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승하차하게 된다.
또,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경우,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소음등의 작업자에게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야간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에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중장비의 운전석 혹은 조정석을 승하차할 경우,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하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발을 헛디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즉, 운전석 혹은 조정석이 높은 중장비를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야간에 승하차할 경우, 어둠에 의해 사다리가 잘보이지 않아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중장비로부터 낙상되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운전석 혹은 조정석이 높은 중장비를 승하차할 경우 별도의 경보장치 혹은 조명장치가 없으므로 인해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석 혹은 조정석에 승하차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이 울림과 동시에 사다리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의 최상칸 및 최하칸에 장착된 제1 및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하고 있음을 감치할 경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콘트롤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수석으로 승하차하고 있음을 경보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중장비의 상부에 고착된 경보수단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야간에도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며 중장비의 상부에 고착된 조명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의하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사다리방향으로 빛이 조사되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조명수단 및 경보수단이 장착된 중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플로우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장비 11 : 운전석
12 : 조정석 13 : 출입문
21 : 제1센서 22 : 제2센서
30 : 조명수단 40 : 경보수단
50 : 마이콤 51 : 카운터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조명수단 및 경보수단이 장착된 중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0)은 토목·건축공사등에 투입되는 중장비로써, 중장비(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운전을 하는 운전석(11)과,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크레인을 조정하는 조정석(12)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조정석(12)에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13)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10)에는 상기 조정석(12)으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사다리(2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과 최하칸에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승하차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1센서(21)와 제2센서(2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 및 최하칸에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승하차할 경우 운전자등의 작업자의 체온 혹은 무게를 감지하는 제1센서(21)와 제2센서(22)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중장비(10)에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으로 승차 혹은 하차하기 위하여 상기 사다리(20)를 밟을 경우 마이콤(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40)이 고착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상기 경보수단(40)은 상기 조정석(12)의 상부에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운전석(11)의 상부등과 같이 외부에서 누구나가 알 수 있는 상기 중장비(10)의 어느 위치에 고착되더라도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중장비(10)에는,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으로 승차 혹은 하차하기 위하여 상기 사다리(20)의 최하칸 혹은 최상칸을 밟을 경우 마이콤(50)의 제호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30)이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중장비(10)에는, 야간등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30)이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마이콤(50)에는, 상기 사다리(20)에 고착된 상기 제1센서(21)와 상기 제2센서(22)가 작동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명수단(30)과 상기 경보수단(40)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조명수단(30)과 상기 경보수단(40)이 오프되도록 시간을 체크하는 카운터(51)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 및 그림에서 운전석 및 조정석이 분리된 중장비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석 혹은 조정석이 높아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석 혹은 조정석을 승하차하는 모든 중장비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승차하기 위하여 상기 사다리(20)의 최하칸을 밟으면 상기 사다리(20)의 최하칸에 고착된 상기 제2센서(22)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 상기 제2센서(22)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마이콤(50)으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콤(50)에서는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즉,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20)의 최하칸을 밟으면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써 상기 경보수단(40)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고 상기 조명수(30)에서는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게 된다.
또, 상기 경보수단(40)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고 상기 조명수단(30)에서는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므로써 사익 조정석(12)을 승차하는 운전자등의 작업자는 안전하게 상기 조정석(12)에 승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다리(20)를 밟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카운터(51)의 시간체크에 의해 상기 마이콤(50)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은 자동으로 오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정석(12)에 탑승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조정석(12)을 하차하기 위하여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을 밟으면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에 고착된 상기 제1센서(21)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마이콤(50)으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콤(50)에서는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즉,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을 밟으면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써 상기 경보수단(40)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고 상기 조명수단(30)에서는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게 된다.
또, 상기 경보수단(40)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고 상기 조명수단(30)에서는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므로써 상기 조정석(12)을 하차하는 운전자등의 작업자는 안전하게 상기 조정석(12)에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다리(20)를 밟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카운터(51)의 시간체크에 의해 상기 마이콤(50)이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경보수단(40)과 상기 조명수단(30)은 자동으로 오프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의하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사다리방향으로 빛이 조사되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운전석 혹은 조정석으로 승하차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 사다리(20)을 이용하여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11) 혹은 조정석(12)으로 승하차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20)를 이용하여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20)의 최상칸 및 최하칸에 장착된 제1 및 제2센서(21,22)와, 상기 제1센서(21) 및 상기 제 2센서(22)에서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승하차하고 있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1센서(21) 및 상기 제2센서(22)로부터 신호를 받아 콘트롤하는 마이콤(50)과,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운전석 혹은 조수석으로 승하차하고 있음을 경보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중장비(10)의 상부에 고착된 경보수단(40)과,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자등의 작업자가 야간에도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20)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중장비(10)의 상부에 고착된 조명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50)에는, 상기 사다리(20)에 고착된 상기 제1센서(21)와 상기 제2센서(22)가 작동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명수단(30)과 상기 경보수단(40)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조명수단 (30)과 상기 경보수단 (40)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시간을 첵크하는 카운터(5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4001U KR200150490Y1 (ko) | 1997-06-12 | 1997-06-12 |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4001U KR200150490Y1 (ko) | 1997-06-12 | 1997-06-12 |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0663U KR19990000663U (ko) | 1999-01-15 |
KR200150490Y1 true KR200150490Y1 (ko) | 1999-07-01 |
Family
ID=195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4001U KR200150490Y1 (ko) | 1997-06-12 | 1997-06-12 |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0490Y1 (ko) |
-
1997
- 1997-06-12 KR KR2019970014001U patent/KR20015049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0663U (ko) | 199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0916B1 (ko) |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 및 경보 장치 | |
US8622165B2 (en) | Building machine comprising a presence detection system | |
GB2553137A (en) |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 |
WO2007040538A1 (en) | Elevator system control responsive to hoistway access detection | |
KR200150490Y1 (ko) | 중장비의 조명 및 경보장치 | |
JP2006160408A (ja) | 作業車両の報知装置 | |
CA2351138A1 (en) | Automobile proximity warning system | |
KR0158513B1 (ko) | 트럭의 구조물 충돌 방지장치 | |
KR200273277Y1 (ko) | 차량 내부의 잔여인원 감지시스템 | |
KR100337815B1 (ko) |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 |
KR20190000493U (ko) |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 |
KR20090058661A (ko) |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 |
JPH0515511Y2 (ko) | ||
JPH08119551A (ja) | エレベータ用カゴ位置警報装置 | |
KR100250048B1 (ko) | 졸음 운전 방지용 비상 운전 장치 | |
JPH0670420A (ja) | 危険区域への接近を警告するための警報装置 | |
KR200234021Y1 (ko) |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 |
JPH11162662A (ja) |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灯装置 | |
KR19980016336U (ko) | 차량 조수석에 어린이 탑승시 경고장치 | |
KR20230119876A (ko) | 버스 자동문 안전 장치 | |
JPH0745507Y2 (ja) |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 |
KR20220119550A (ko) | 운행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9980039450U (ko) | 자동차 도어의 충돌방지 장치 | |
KR19990026680U (ko) | 도어 개방시 측후방 접근 물체에 대한 경보장치 | |
KR970039505A (ko) | 후속차량의 과속경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