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99Y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899Y1
KR200149899Y1 KR2019950045980U KR19950045980U KR200149899Y1 KR 200149899 Y1 KR200149899 Y1 KR 200149899Y1 KR 2019950045980 U KR2019950045980 U KR 2019950045980U KR 19950045980 U KR19950045980 U KR 19950045980U KR 200149899 Y1 KR200149899 Y1 KR 200149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up
spring
cup hold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252U (ko
Inventor
한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99Y1/ko
Publication of KR970032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훼시어판넬(F)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는 컵보드(10), 상기 컵보드(10)에 스프링(6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연결보드(50), 스프링(90)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보드(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보드(80), 상기 연결보드(50)와 컵보드(10)사이에 회전축(65)으로 고정되는 치차(70), 및 상기 컵보드(10)의 손잡이(15)에 스프링(40)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치차(70)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20)로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접철되어 컴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를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입체적인 자동차용 컵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a도 및 b도는 각기 본 고안에 따른 컵보드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제4도는 훼시어판넬과 컵보드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치차의 톱니와 레버의 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치차부의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보드 20 : 레버
21 : 스토퍼 40, 60, 90 : 스프링
50 : 연결보드 70 : 치차
80 : 받침보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훼시어판넬에 장착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훼시어 판넬에는 단순히 컵을 삽입할 구멍만이 형성된 컵홀더가 프론트컨솔의 바로위에 장착되어 있어서 컨솔의 바닥과 함께 컵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컵홀더는 장착위치가 낮아 사용이 불편하며 더우기 운전자로서는 시선을 아래로 돌려야 하므로 사고의 위험까지도 있다. 그러나, 컴팩트한 훼시어판넬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컵홀더가 박판의 형태로 제조되어야하므로 별다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위해, 본 고안은 오디오어셈블리 상부 등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박판의 형태로 접철하여 훼시어판넬의 좁은 틈에 장착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입체적으로 펼쳐지며, 좁은 틈에 삽입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접철가능한 다수의 판넬들로 이루어지는 컵홀더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나누어 컵보드(10), 레버(20), 연결보드(50), 치차(70), 및 받침보드(80)로 구성되어 있다.
컵보드(10)는 컵이 놓이는 부분이며, 훼시어판넬내부로 슬라이드 되는 부분으로 중앙에 컵 설치용 원형구멍(11)을 가지며 삽입종단에는 훼시어판넬내외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가이드(13)가 양측에 대향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보드(10)의 슬라이드가이드(13)는 훼시어판넬(F)의 컵홀더 장입공내의 가이드레일(F1)을 따라 훼시어 판넬(F)내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컵보드(10)의 타측종단에는 손잡이(15)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5)의 측면과 배면이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에는 컵보드(10)의 저면의 전방으로 한 쌍의 연결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으로 스프링(40)의 이격된 종단(42)이 고정될 스프링고정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컵구멍(11)과 손잡이(15)사이에 연결판(50), 스프링(60) 및 치차(70)가 설치될 개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12)의 양측에는 이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연결바아(65)가 삽입될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20)는, 이후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컵보드(10)의 개구(12)에 장착되는 치차(70)와 맞물려, 연결판(5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활을 한다. 레버(20)는 상술한 컵보드(10)의 손잡이(15)에 형성된 연결부(16)에 스프링(40)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레버(20)는 스프링(40)의 ㄷ자형의 하부연장부(43)의 개구내로 삽입하되 하부연장부(43)가 레버(20)의 배면(손잡이측)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스프링공(41)과 레버(20)의 관통공(23)을 맞추어 스프링(40)의 양 자유단(42)을 스프링고정부(17)에 삽입고정하여 연결부(16)에 삽입하고, 연결부(16)로부터 회전축(30)을 삽입하여 레버(20)를 회전축(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레버(20)의 관통공(23)은 회전축(30)에 비해 다소 큰 직경을 가진다.
연결판(50)은 치차(70)를 고정설치할 치차설치부(51)와 받침보드(80)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할 받침보드설치부(52)를 가지며, 상술한 컵보드(10)의 개구(12)에 역시 스프링(60)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즉, 스프링공(61)이 치차(70)와 치차연결부(51)의 ㄷ자형 개구사이에 오도록 배치하여, 스프링(60)의 연장부(62)가 컵보드(10)의 상단에 놓이고, 자유단(63)은 연결보드(50)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어, 양 스프링공(61) 사이에 치차(70)를 배치한 후, 고정바아(65)를 컵보드(10)의 개구(12)의 관통공(12a)에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고정한다. 따라서, 고정바아(65)는 치차(70) 및 치차설치부(51)와 견고히 체결되며, 고정바아(65)가 개구(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바아(65)는 컵보드(10)의 측명에 별도의 와셔 등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장착된 연결보드(50)는 스프링(60)에 의해 컵보드(10)의 저면에 접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
받침보드(80)는 상단에 연결보드(50)와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81)를 가지며 스프링(90)의 스프링공(91)을 개재하여 연결보드(50)의 받침보드연결구(52)와 고정바아(100)로 고정된다. 고정바아(100)는 결합부(81)에 고정되며, 연결보드(50)의 연결구(52)는 고정바아(100)와 유격을 갖도록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고정바아(100)에 고정된 받침보드(8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90)은 그 연장부(93)가 받침보드(80)의 내부로 감합되게 하거나 혹은 받침보드(80)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하고 자유단(92)도 연결보드(5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연결보드(50)의 정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스프링(90)이 연결보드(50)와 받침보드(80)를 경사진(90°~140°) 상태로 벌리도록 하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자유단(92)과 연장부(93)사이에 90°~14°정도의 각을 갖도록 성형한다. 제3도에는 대략 120°정도로 벌어지도록 설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컵홀더의 작동을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5)를 당기면 컵보드(10)가 훼시어판넬(F)의 장입공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때, 스프링(90)의 작동으로 받침보드(80)가 가의 접철상태에서 나의 상태로 펼쳐진다. 이어 사용자가 연결보드(50)를 잡아 밑으로 내리거나 혹은 컵을 재치하여 밑으로 누르면 연결부재(50)가 회전하며 실선으로 도시한 다의 전개상태로 된다. 이 때 연결부재(50)는 스프링(60, 제1도 참조)에 의해 컵보드(10)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연결보드(50)에 연결된 치차(70)의 톱니(71)가 레버(20)의 스토퍼(21)에 걸리어 회전이 억제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치차(70)의 톱니(71)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갈고리 형태로 굽혀진 형상으로 형성하며, 레버(20)의 스토퍼(21)는 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계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시계방향으로는 스토퍼(21)에 걸리어 회전이 금지된다.
컵보드(10)를 사용한 후, 훼시어판넬(F)내부로 복귀시킬 때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0)를 뒤로 당긴다. 그러면, 레버(20)의 스토퍼(2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치차(70)의 톱니(71)를 해방시키므로(제5도의 점선참조) 치차(71)가 해방되어 연결보드(50)가 스프링(60)의 복귀력에 의해 컵보드(10)쪽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 손잡이(15)를 밀어 컵보드(10)를 훼시어판넬(F) 내부로 삽입하면 받침보드(80)가 훼시어판넬(F)에 밀려 가의 상태로 접혀지면서 훼시어판넬(F) 내로 장입되게 된다. 페시어판넬(F)의 입구에는 컵홀더가 인출될 때, 받침판(80)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부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컵홀더는 컵보드 하방에 연결보드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보드를 가지므로 훼시어판넬의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접철식이므로 좁은 틈에 장착할 수 있어서 컴팩트한 훼시어판넬의 구성에도 장해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훼시어 판넬 내부로 수평 삽입/취출 가능하게 슬라이드 가이드로 지지됨과 아울러 컵이 삽입 지지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선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컵 보드와, 상기한 컵 보드 선단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레버와, 상기한 레버에 의해 회전 동작이 제한되도록 치차가 고정 설치되고 컵 보드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인가되도록 스프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 보드와, 상기한 연결 보드 하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스프링으로 설치되어 컵 보드로부터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인가되는 받침 보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2019950045980U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컵홀더 KR200149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80U KR200149899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980U KR200149899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252U KR970032252U (ko) 1997-07-26
KR200149899Y1 true KR200149899Y1 (ko) 1999-06-15

Family

ID=1943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980U KR200149899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252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4010A (en)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2000507800A (ja) 組立板を有する配電盤
KR200149899Y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10223079A (ja) スイッチ装置
KR100194214B1 (ko) 자동차용 lcd 장착구조
JP3588702B2 (ja) 情報処理用端末機における仰角可変部材の取付装置
CN212529526U (zh) 具有锁紧功能的车载支架底座
CN210828640U (zh) 一种把手面板组件
JP4357683B2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229442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접힘 장치
JP3161171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駆動装置
CN216949926U (zh) 汽车杂物箱及汽车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CN209938493U (zh) 车用开关面板
JP2508242B2 (ja) ワゴンの引出し施錠装置
KR200144452Y1 (ko)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JP4137230B2 (ja) ウォッシャスイッチの可動接点取付構造
JPH0333094Y2 (ko)
KR0118535Y1 (ko)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JP3821447B2 (ja) 索式ミラー制御装置
CN113882764A (zh) 一种扶手箱解锁机构、扶手箱及车辆
KR100224387B1 (ko) 자동차 보조매트 고정장치
JP3190258B2 (ja) 蝶 番
JPH0722815Y2 (ja) 車両用スイッチのスイッチカバーの取付構造
JP3369849B2 (ja) 抽斗のラッチ装置におけるラッチ爪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