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535Y1 -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535Y1
KR0118535Y1 KR2019940039267U KR19940039267U KR0118535Y1 KR 0118535 Y1 KR0118535 Y1 KR 0118535Y1 KR 2019940039267 U KR2019940039267 U KR 2019940039267U KR 19940039267 U KR19940039267 U KR 19940039267U KR 0118535 Y1 KR0118535 Y1 KR 0118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vice
door
door opening
actua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031U (ko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9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535Y1/ko
Publication of KR960021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손잡이의 일측에 잠금장치의 로드와 선택적으로 접동되는 누름식 오프닝 장치를 설치하여 한번의 단순 누름조작과 동시에 계속해서 도어를 밀면서 열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힌지핀10':핀
11:작동체12:스프링
13:누름체14:구름체
15;연결부16;누름부
17:연결편18:구름체 안착요홈부
20:로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실내 개폐 손잡이의 일측에 별도의 누름식 오프닝 장치를 설치하여 기존의 실내 손잡이를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해소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내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 잠금장치에 로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실내 손잡이를 안쪽으로 당기고 이와 동시에 도어 자체를 바깥쪽으로 밀어야만 하였다.
그러나, 실내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과 도어를 미는 동작이 역동작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예컨대, 힘을 가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도어를 열기가 매우 불편했으며, 특히 운전자가 조수석 쪽의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편함이 가중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 손잡이의 일측에 잠금장치의 로드와 선택적으로 접동되는 누름식 오프닝 장치를 설치하여 한번의 단순 누름조작과 동시에 계속해서 도어를 밀면서 열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힌지핀(1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운동이 가능한 작동체(11)와, 스프링(12)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직선운동이 가능한 누름체(13)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체(13)의 선단부는 상기 작동체(11)의 일측 끝단부에 핀(10') 결합되어 서로 연동되고, 상기 작동체(11)의 다른 일측 끝단부에는 구름체(14)가 내설되어 도어 잠금장치의 로드(20)와 선택적으로 맞물림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도어 오프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여기서 도면 부호 11로 부여된 작동체는 ㄱ자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 중심에 힌지핀(10)이 관통 결합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U자형의 연결부(15a),(15b)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기에 후술하는 누름체(13)와 로드(20)가 각각 삽입되면서 체결 및 결착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체(11)는 도어 내측패널 안쪽에 위치되면서 수평설치되며, 상기한 U자형 연결부(15)중에서 하나는 예컨대, (15b)는 반드시 도어 잠금장치와 실내 손잡이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는 로드(20)의 설치경로상에 중첩 위치되게 된다.
특히, 상기 일측 연결부(15b)의 밑부재 윗면에는 비대칭 곡면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갖는 구름체 안착요홈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로드(20) 작동방향으로의 구름방향을 갖는 구름체(14) 예컨대, 핀형의 로울러가 안착되어 있다.
이때의 구름체(14)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름체 안착요홈부(18)내에서 작동체(11)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동되면서 그 윗쪽을 통과하는 로드(20)의 밑면에 선택적으로 맞접촉되므로서, 작동체(11)로부터 로드(20)로의 전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 부호 13으로 부여된 누름체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직접 맞닿는 부위인 누름부(16)와, 이 누름부(16)의 후면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연결편(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17)의 선단부가 상기 작동체(11)의 U자형 연결부(15)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나의 핀(10')으로 수직 관통 체결되므로서, 상호 일체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누름부(16)의 후면부에는 연결편(17)의 주위를 감싸면서 도어 내측패널 상에 일단 지지되는 스프링(12)의 다른 일단이 밀착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체(13)는 스프링(12)의 탄성반력을 받아 항상 실내측으로 밀려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오프닝 장치를 통한 도어의 열림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제1도에서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있는 누름체(13)의 누름부(16) 전면을 안쪽으로 가볍게 누르게 되면, 이에 연동되는 작동체(11)는 힌지핀(10)을 중심으로 C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일측 연결부(15b)는 구름체(14)를 이용하여 로드(20)와 일체 결착됨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로드(20)를 D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즉,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렇게 누름체(13)의 누름조작과 동시에 도어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면 도어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열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누름체(13)는 스프링(1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작동체(11)도 E방향으로 회전복귀됨에 따라 로드(20)와 결착되어 있던 연결부(15b)도 구름체(14)의 복귀와 동시에 로드(20)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된 상태 즉, 누름체(13)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 실내 손잡이나 실외 손잡이를 조작해도 아무런 작동상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의 실내측에 누름식 도어 오프닝 장치를 설치하여 누름조작과 동시에 도어를 밀면서 열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편리하게 도어를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힌지핀(1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운동이 가능한 작동체(11)와, 스프링(12)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직선운동이 가능한 누름체(13)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체(13)의 선단부는 상기 작동체(11)의 일측 끝단부에 핀(10') 결합되어 서로 연동되고, 상기 작동체(11)의 다른 일측 끝단부에는 구름체(14)가 내설되어 도어 잠금장치의 로드(20)와 선택적으로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11)는 ㄱ자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각 끝단부에 형성되는 U자형 연결부(15a),(1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14)는 핀형의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b)의 아래쪽 일면부에는 비대칭 곡면부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갖는 구름체 안착요홈부(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KR2019940039267U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KR0118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67U KR011853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67U KR011853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31U KR960021031U (ko) 1996-07-18
KR0118535Y1 true KR0118535Y1 (ko) 1998-06-15

Family

ID=1940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267U KR0118535Y1 (ko) 1994-12-31 1994-12-31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5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031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379A (en)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s
KR100814516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록킹장치
US4818003A (en)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n automotive vehicle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US6601897B2 (en) Vehicle interior panel having compartment and swing door
US20080100103A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witch cover for an automotive armrest
KR0118535Y1 (ko) 자동차의 도어 오프닝 장치
KR100274508B1 (ko) 자동차용 콘솔의 암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55094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US20050253399A1 (en) Lock device for glove compartment
KR200161530Y1 (ko) 컵 홀더
KR100466800B1 (ko) 자동차용 트레이
KR870001334Y1 (ko) 캐브오우버형 자동차의 시이트구조
JP3641943B2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助手席テーブル取付構造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JP3297905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スライドドアの落下防止機構
KR970000210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시트(seat)
KR0118162Y1 (ko) 자동 변속기 레버의 꺽음장치
KR100398426B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자동차 후드
KR0132239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JPH0423694Y2 (ko)
KR100211313B1 (ko)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록킹장치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JPH1095229A (ja) 車両ドアの開閉検出構造
JPH10317767A (ja)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