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690Y1 -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690Y1
KR200149690Y1 KR2019960008289U KR19960008289U KR200149690Y1 KR 200149690 Y1 KR200149690 Y1 KR 200149690Y1 KR 2019960008289 U KR2019960008289 U KR 2019960008289U KR 19960008289 U KR19960008289 U KR 19960008289U KR 200149690 Y1 KR200149690 Y1 KR 200149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low plug
termin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915U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08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690Y1/ko
Publication of KR970059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글로 플러그 전선 연결구조는 전기저항이 극히 작기 때문에 글로 플러그를 직렬로 연결하게 되는데 가운데 해당하는 글로 플러그는 다음에 위치하는 글로 플러그와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부재와 함께 연결해야 하므로 라인에서 배선 연결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3도와 같이, 다수의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2)의 접속단자(14)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4)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선연결부(16)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단자연결부(17)로 이루어지면, 상기 전선연결부(16)에 심선고정부 (18) 및 피복고정부(20)가 형성되어 전선(12)의 심선(22) 및 피복(24)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연결부(17)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에 끼워지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글로 플러그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류의 누전 등을 방지하여 글로 플러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Glow-Plug) 접속단자
본 고안은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Glow-Plug)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로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조립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전선의 일단에서 분지 되어 글로 플러그의 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신설함과 아울러 단자연결부를 압박하여 끼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에서는 흡입한 공기를 압축열로 연료가 착화연소되므로 가솔린 디젤엔진의 점화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필요없지만, 한냉시에 디젤엔진의 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흡입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예열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예열장치에는 글로 플러그 방식과 흡기 히터 방식이 있는데 글로 플러그 방식은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를 전원으로 하여 발열하는 글로 플러그(10)가 각 실린더(2)에 1개씩 장치되어 있으며, 저항체에 의해 전압을 규제하는 글로 플러그 레지스터(3)가 배터리(1)와 연결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글로 플러그(10)는 발열부인 히트 코일과, 각 실린더(2)의 연소실에 장치하기 위한 나사부(4)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단자부(26)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전선의 심선을 삽입한 후 너트(5)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글로 플러그 전선 연결구조는 전기저항이 극히 작기 때문에 글로 플러그(10)를 직렬로 연결하게 되는데 가운데 해당하는 글로 플러그(10)는 다음에 위치하는 글로 플러그(10)와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12)과 함께 연결해야 하므로 라인에서 연결작업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젤엔진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26)에 연결되는 전선(12)의 심선(22)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수분 등이 접촉되어 누전의 위험이 있어 글로 플러그(10)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글로 플러그의 단자부와 접속되면서 동시에 다음 글로 플러그에 접속되는 전선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전선과 전선 사이에 설치하여 글로 플러그의 단자부에 연결하므로써 라인조립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연결구조를 보인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수단 및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실린더
3 : 글로 플러그 레지스터 4 : 나사부
5 : 너트 10 : 글로 플러그
12 : 전선 14 : 접속단자
16 : 전선연결부 17 : 단자연결부
18 : 심선고정부 20 : 피복고정부
22 : 심선 24 : 피복
26 : 단자부 28 : 보호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수의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2)의 접속단자(14)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4)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선연결부(16)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단자연결부(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연결부(16)에 심선고정부(18) 및 피복고정부(20)가 형성되어 전선(12)의 심선(22) 및 피복(24)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연결부(17)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에 끼워지도록 된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 및 접속단자(14)를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선(12) 및 접속수단(14) 그리고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를 에워싸는 보호수단(28)을 구비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수단 및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린더에 설치되는 글로 플러그(10)에 배터리의 전원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12)이 배선되는 바, 글로 플러그(10)로 분지되는 전선(12)의 각 연결부에 본 고안의 접속단자(14)가 연결된다.
상기 접속단자(14)는 양방향으로 전선연결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연결부(16)의 양측에는 전선(12)의 피복(24)과 심선(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심선고정부(18)와 피복고정부(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4)는 전선연결부(16)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단자연결부(17)가 형성되어 단자연결부(17)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에 압박하면 단자연결부(17)의 개방된 부분이 확장되면서 단자부(26)에 끼원진 상태를 유지해 안정적으로 배터리의 전원이 글로 플러그(10)에 인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엔진 외부로 노출된 전선(12) 및 단자연결부(17) 그리고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를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를 에워싸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수단(28)이 덮여져 장착된다.
본 고안은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 및 접속단자(14)를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선(12) 및 접속수단(14) 그리고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를 에워사는 보호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한편,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는 종래의 너트체결구조에서 단지 원형 돌기형상의 구조로 변경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끝단에 위치한 글로 플러그(10)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4)의 전선연결부(16)는 일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즉, 이와 같이 전선(12)에 전선연결부(16)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조립라인에서는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에 압박하여 끼워 넣어 조립하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보호수단(28)을 장착하여 전류의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에 따르면 글로 플러그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류의 누전 등을 방지하여 글로 플러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2)의 접속단자(14)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4)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전선연결부(16)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단자연결부(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연결부(16)에 심선고정부(18) 및 피복고정부(20)가 형성되어 전선(12)의 심선(22) 및 피복(24)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연결부(17)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에 끼워지도록 된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 플러그(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 및 접속단자(14)를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선(12) 및 접속수단(14) 그리고 글로 플러그(10)의 단자부(26)를 에워싸는 보호수단(2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KR2019960008289U 1996-04-17 1996-04-17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KR200149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289U KR200149690Y1 (ko) 1996-04-17 1996-04-17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289U KR200149690Y1 (ko) 1996-04-17 1996-04-17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15U KR970059915U (ko) 1997-11-10
KR200149690Y1 true KR200149690Y1 (ko) 1999-06-15

Family

ID=1945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289U KR200149690Y1 (ko) 1996-04-17 1996-04-17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6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15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74158B2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KR970001126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6062185A (en) Glow sensor and engine component combination
KR200149690Y1 (ko) 디젤엔진의 글로 플러그 접속단자
KR20000049223A (ko) 부하 조정 장치
US6907872B2 (en) Ignition coi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05751B2 (e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in varnished wires of the secondary winding of an ignition coil
JPH08232825A (ja) 燃焼圧センサ一体型点火装置
JPH072974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MXPA96004101A (en) Device that regulates the current and eliminates the interference of radiofrecuen
JPS622722Y2 (ko)
JPH09126111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2242059B1 (ko) 링 터미널
KR10033163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JPH09126110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960032803A (ko) 내연기관의 전기적으로 여자가능한 다수의 집합체에 대한 공통의 전기 접촉을 위한 장치
KR19990015838U (ko) 예열플러그 및 체결방법
JP2864750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200404084Y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구조
CA1266084A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JP2592364Y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WO2016084266A1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200174551Y1 (ko) 자동차 점화플러그용 고압케이블
JPH06317243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KR20060015872A (ko) 디젤 엔진용 글로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