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657Y1 - 철근 고정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철근 고정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657Y1
KR200149657Y1 KR2019970007385U KR19970007385U KR200149657Y1 KR 200149657 Y1 KR200149657 Y1 KR 200149657Y1 KR 2019970007385 U KR2019970007385 U KR 2019970007385U KR 19970007385 U KR19970007385 U KR 19970007385U KR 200149657 Y1 KR200149657 Y1 KR 20014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huck
present
stopper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966U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식 filed Critical 박정식
Priority to KR2019970007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6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각종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철근의 결합 및 고정수단인 철근고정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양분(兩分)된 구조체와 물림쇠 및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철근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테이퍼(TAPER)진 원형의 구조체를 양분(兩分)하여 일측에는 걸림턱(6)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다수의 요홈(5)을 가지는 물림쇠(3)와 상기 물림쇠(3)를 고정하는 고정링(7)으로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굵기를 가지는 철근의 고정 및 연결이 용이하며, 분리가 쉽고 다른 종류의 파이프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철근 고정용 스토퍼
본 고안은 각종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철근의 고정 및 연결수단을 개선한 철근고정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공사시 주위의 암반이나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앙카(EARTH ANCHER)공법 및 소일네일링(Soil Nailing)공법등의 여러 가지 공업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어스앙카공법(EARTH ANCHER)은 지면에 H형강을 고정하여 H형강과 H형강 상간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목판재를 적층함으로서 주위의 흙이나 암반이 공사면적내로 혹은 공사장 외부로 비산내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공사방법은 공사비가 비싸며 공사기간이 길어져 공기단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어스앙카(EARTH ANCHER)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근자에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일네일링(SOIL NAILING)공법은 암반이나 흙(지면)을 굴착한 후 철근(앵커봉; 9)을 삽입하고, 상기 굴착면과 앵커봉(9)상간의 공간에는 콘크리트(14)를 채우며, 외부로 돌출된 앵커봉(9)과 흙 및 암반(15)의 외측면과의 접점부위에는 강도보강과 앵커봉(9)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강판(12)을 밀착시켜 고정시킴으로서 흙이나 암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는 각종 터널 굴착공사시(NATM)에 주위의 암반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철근을 이용하여 터널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공사시에 사용되는 철근의 고정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철근을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아니면 다른 종류의 가는 철사는 이용하여 매듭을 지어 고정하기도 하며, 철근(9)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때문에 독특한 형태의 철근 고정용 너트가 생산되어 사용되어지기도 하며, 다른예로서는 철근에 직접 나사부를 가공하여 너트(10')로서 고정하는 등의 철근에 직접적인 가공을 통하여 철근을 강판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고안의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데 예를 들자면, 용접기를 이용할 경우 열을 받게되는 금속은 본래 재질의 특성이 변하게 되며, 철근의 주위에 나사가공을 할 경우 작업 공정이 많아지게 됨은 물론 작업기일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철근구조물에 있어서 상기의 고안을 사용할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보울트(11)와 너트(10)를 구비해야만 체결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은 분리가 가능한 원추형상의 구조체로 내측에는 일정형상의 요홈을 형성한 물림쇠와 고정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굵기의 철근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 고정용 스토퍼 3 : 물림쇠
5 : 요홈 7 : 고정링
9 : 철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철근의 연결 및 물림쇠(3)와 고정링(7)으로 형성된 철근 고정용 스토퍼(1)로서, 물림쇠(3)는 테이퍼(TAPER)진 원형의 구조체로서 물림쇠(3)의 일측부에는 걸림턱(6)을 형성하였으며, 내측면에는 요홈(5)을 형성한다.
상기 물림쇠(3)는 양분(兩分)되도록 구성되며, 철근(9)과의 결합시 외측면(4)에 원형의 고정링(7)을 이용 물림쇠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근 고정용 스토퍼(1)는, 각종 건축공사시에 철근(9)의 고정 및 연결을 하게되는데 양분이 가능한 물림쇠(3)를 철근(9)의 고정부위에 위치시킨후 고정링(7)을 외측면(4) 끼움으로 인해 물림쇠(3)가 철근의 고정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물림쇠(3)는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상 외 다양한 형상으로서 고안이 가능한 고안으로서 각종 건축공사시에 다양한 각도로 연결되는 각종 철근을 보다 효율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물림쇠(3)는 양분(兩分)되어 구성되는 테이퍼형진 원형의 구조체의 특성상 철근의 굵기에는 관계없이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물림쇠(3)의 내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요홈(5)의 형성을 통해 각종 파이트의 고정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테이퍼진 원형의 중공관체로서 제작공정이 간소하며, 다양한 굵기의 철근에 적용하여 고정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진 것이다.
또한 사용이 간편하여 작업공정이 간소하며, 요홈의 형상변경으로 파이프 및 각종 관체의 다양한 모양의 연결에도 사용이 가능한 철근 고정용 스토퍼(1)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외부에 나사가공을 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통상의 철근고정용 너트에 있어서; 외부 형상이 테이퍼(TAPER)진 원형의 구조체로서 양분(兩分)이 가능한 일측부에는 걸림턱(6)이 형성되어진 물림쇠(3); 상기 물림쇠의 내측면(2)에는 일정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며, 물림쇠(3)의 외측면(4)에는 상기 물림쇠(3)를 고정하는 고정링(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정용 스토퍼(1)
KR2019970007385U 1997-04-08 1997-04-08 철근 고정용 스토퍼 KR20014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85U KR200149657Y1 (ko) 1997-04-08 1997-04-08 철근 고정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85U KR200149657Y1 (ko) 1997-04-08 1997-04-08 철근 고정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966U KR19980062966U (ko) 1998-11-16
KR200149657Y1 true KR200149657Y1 (ko) 1999-06-15

Family

ID=1949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385U KR200149657Y1 (ko) 1997-04-08 1997-04-08 철근 고정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6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966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371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JP2006226102A (ja) 鋼管の接合継手
CN212428042U (zh) 一种脚手架与建筑楼体连接固定结构
JP20070923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JP4048552B2 (ja) 鋼管杭の杭頭アンカー筋の施工方法
KR200149657Y1 (ko) 철근 고정용 스토퍼
KR102088161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KR100696309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20090006472U (ko) 조립식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장치
JP2004124495A (ja) 既製杭の杭頭構造
JP2000038803A (ja) 鋼板とコンクリートとの合成構造体における両部材のずれ止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381028Y1 (ko) 편체식 철근 이음메
KR100421198B1 (ko) 소켓식 강관파일의 이음시공방법
JPS62153418A (ja) 鉄筋接続具付のくい
KR102199131B1 (ko) 영구형 앵커
JP6911270B2 (ja) 接合構造
JP3826348B2 (ja) 山留め芯材と地下外壁との合成壁の施工方法
JP2004238869A (ja) 鉄筋継手金具と鉄筋の接続方法
JP6470699B2 (ja) 杭の接続構造
KR100538760B1 (ko) 방수 시트와 철근 고정용 앵커 볼트
JPH0234246Y2 (ko)
KR200225668Y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KR200291542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KR200238555Y1 (ko) 건축용 세퍼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