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542Y1 -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542Y1
KR200291542Y1 KR2020020022159U KR20020022159U KR200291542Y1 KR 200291542 Y1 KR200291542 Y1 KR 200291542Y1 KR 2020020022159 U KR2020020022159 U KR 2020020022159U KR 20020022159 U KR20020022159 U KR 20020022159U KR 200291542 Y1 KR200291542 Y1 KR 200291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earth wall
screw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근
Original Assignee
문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근 filed Critical 문대근
Priority to KR2020020022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54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건축물 공사에 있어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 옹벽 공사시 지하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인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하 옹벽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과 이격되는 토류벽간을 횡단 관통하여 연결 고정한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ㆍ양생하여 지하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측으로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후단측으로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되는 너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부 후단측으로 다각형상의 공구연결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토류벽 및 거푸집의 설치시공을 먼저 완료한 후 선정된 각각의 위치에 거푸집을 관통시켜 스크류나사부측이 토류벽과 나사결합 체결 고정토록 이루어진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가 회동하면서 토류벽 내부로 틀어박아 체결 고정되도록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가 설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 외측면 전체에 사다리꼴 나사형태의 너트체결부가 균일하게 형성된 타이볼트와, 사다리꼴 나사부분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이볼트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되면서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의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이 일단부 중심에 형성되고, 이와 대항된 반대쪽 타단부 중심에 전동공구의 회동척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 타단이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게 다각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처리된 연결소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횡단하는 타이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토류벽에 별도로 타이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먼저 고정시킨 후 거푸집을 형성하고 거푸집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삭제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구와 같은 부품을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고정 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기의 단축 및 이에 따른 전체적 시공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 출원된 스크류나사부의 드릴의 선단 절삭날의 형상을 갖춘 선단부 및 다각형을 갖춘 공구연결부의 후가공의 제작을 생략하고, 또 연결봉의 미가공 부분 없이 너트체결부와 같이 일괄적으로 나사형태를 사다리꼴나사형으로 형성하여, 제작이 보다 간편하고 현장의 시공조건에 의해 옹벽이 다양한 폭으로 시공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의 확대와 제작이 간소화되어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 및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Construction form tie bolt assembly for underground breast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건축물 공사에 있어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 옹벽 공사시 지하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인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하 옹벽 거푸집 타이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옹벽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고정시키는 타이볼트를 거푸집 외측으로부터 관통하여 굴착부위의 토류를 막아주기 위한 각목 등을 수평 적층한 토류벽에 간편하며 용이하게 고정설치 및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작되어 전체적인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지하 옹벽 구축용 타이볼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물 공사를 실시할 때 먼저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옹벽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H- 빔(H-beam)을 지면에 박은 후 H-빔들 사이에 각목을 수평상으로 적층 삽입하여 끼워 조립되므로서 토류의 붕괴를 막아주기 위한 토류벽을 형성하는 방법과, 지면을 굴착하기 이전에 지면을 일정깊이로 연속, 천공한 후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인 공사현장에서의 토류벽을 형성하는 옹벽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토류벽에 화살과 같은 형상으로 된 고정구를 고정시키며, 토류벽에 대응되는 거푸집은상기 고정구의 연결고리에 묶인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플렛타이(Flat tie)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철사를 이용한 전자의 공법은, 고정구의 화살촉부분에 해당되는 삽입철편은 토류벽을 구성하고 있는 각목 사이를 통해 삽입되어 토류벽 이면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구의 화살대부분에 해당되는 연결봉 후단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묶어준 철사는 거푸집에 고정시킨 다음 토류벽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어 지하 옹벽을 구축하는 것인데, 상기의 공법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거푸집을 철거할 때 거푸집을 고정시킬 때 사용했던 철사가 지하옹벽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이 수반됨과 많은 작업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철사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여 공사기간의 지연 및 이로 인한 공사비가 상당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플렛타이(Flat tie)를 이용한 후자의 공법은 고정구의 화살대 부분에 해당되는 연결봉 후단에 플렛타이를 바르게 용접하여야 하므로, 용접시공에 따른 시간 및 전문인력을 요구하게 되어 시공작업이 어렵고 공기가 상당히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정구의 연결봉에 용접된 플렛타이는 철제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 후 철제거푸집을 철거할 때 철제거푸집에 고정시켰던 부분이 지하옹벽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 등이 소요되어, 지하옹벽 시공의 공기 지연 및 이로 인한 공사비 등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도 11a 및 11b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D)을 고정하기 위해 사전작업으로 지하옹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H 빔(H) 사이에 다수의 각목을 적층하여 토류벽(F)을 형성한 상태에서 화살촉 형상을 갖는 걸림핀(B)이 형성된 고정구(A)를 상기 토류벽(F)에 삽입하여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D)을 형성한 후 거푸집(D) 외측에서 타이볼트(E)를 관통시켜 타이볼트(E) 단부측이 상기 고정구(A) 후단에 고정된 너트(C)측과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거푸집(D)을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지하옹벽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H-빔에 토류벽등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구를 각각의 토류벽에 타격 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무수하게 1차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 한 후, 거푸집을 설치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의 후단측 너트와 타이볼트를 체결하여야 되는데, 집 외측면에서 거푸집을 관통한 상태에서 타이볼트 단부가 정확하게 상기 너트측과 결합시키는 작업 자체가 상당히 어렵고 또한 무수한 고정구에 일일이 타이볼트와 고정구의 너트간 체결작업을 2차에 걸쳐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공기가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또한 거푸집 최하단측 부위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타이볼트간의 체결작업시 그 체결상태 및 고정구의 너트와 타이볼트간 연결 과정을 직접 확인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여 작업자의 감각 또는 오랜 경험 등에 의한 숙련성에 의존되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거푸집의 고정에 따른 부품의 수 즉, 고정구와 타이볼트 등을 각기 따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소모품에해당되는 부품의 증가에 따른 시공가 및 작업공기의 지연 등에 따른 문제 등 경제성에 있어서도 낙후성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고정구를 토류벽의 각목재와 각목재 사이에 타격,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타격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에 상처를 입히거나 고정되는 부위 즉 각목재와 각목재 배면부측에 바위 등이 존재하게 될 경우 고정구가 쉽게 박혀지지 못하거나 또는 작업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게 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는 물론, 수평상으로 고정구를 설치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수평선상을 유지하며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재삽입 고정 또는 보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고 옹벽 거푸집에 고정되는 타이볼트등을 좀더 용이하게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옹벽의 설치가 완료된 후 타이볼트를 보다 쉽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하여, 공기의 단축 및 이로 인한 시공비의 절감 등을 이루기 위해, 상기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 출원되어 다수의 기술내용이 공개되 바 있고, 이들의 특징적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는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 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실1998-017205호 등이 있다. 상기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 중에서 특히 토류벽의 각목과 각목사이에 고정구를 타격 삽입하여 돌리는 작업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고정구(20)를 사용하여 고정구(20) 양측방으로 볼트결합구(21a)가 천공되며 절곡활개된 고정부(21)를 먼저 토류벽에 고정시키고, 고정부(21)와 연설되며 일정길이 돌출되는 연결부(22) 단부측으로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23)로, 거푸집을 관통하는 타이볼트의 단부가 나사 결합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구성의 경우에도 토류벽에 먼저 고정구를 고정시킨 후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거푸집을 관통하는 타이볼트의 단부를 상기 고정구(20)의 결합부(23)내에 삽입 체결하여야 하므로, 선작업에 의해 고정구를 토류벽에 고정하고 거푸집을 형성하는 번잡한 공정이 뒤따르고, 상기 고정구와 타이볼트간의 정확한 연결 및 결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공기등의 지연에 따른 생산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도 13a 및 13b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 출원되어 공개된 다른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실1999-006010으로서, 도면에서 보듯이 일단으로 화살촉 형상의 삽입철편(5)이 형성되고 후단으로 연결봉(2) 및 재차 그 연결봉(2) 후단측으로 조정나사부(3)가 형설되고, 상기 조정나사부(3)와 체결되는 소켓부재(4)로 되는 고정구(1)와, 상기 소켓부재(4)에 나사 체결되기 위한 타이볼트(6) 즉 일단으로 소켓부재(4)와 나사결합되는 연결나사부(7)가 있고 후단으로 원추형상으로 되는 원추형삽입부(8)가 일체 형성되고 후방으로 조임나사부(9) 및 회전가압부(10)가 형성되는 타이볼트(6)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해, 거푸집(13)과 토류벽(11)간을 횡단 고정하는 고정구(1)를 설치하기 위해, 토류벽(11)에 고정구(1)의 삽입철편(5)이 삽입 되도록 때려 박은 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의 폭 두께에 따라 짧거나 긴 소켓부재(4)를 고정구(1) 타단의 고정나사부(3)와 체결시킨 다음 상기 거푸집(13)을 설치 시공하고 상기 타이볼트(6)의 단부를 거푸집(13)을 관통시켜 상기 소켓부재(4)와 나사 체결토록 하여 상기 거푸집(13)내 콘크리트의 타설작업 후 양생이 완료되어 완전한 옹벽을 얻게 되면 상기 거푸집(13)의 탈거 및 상기 타이볼트(6)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서는 타이볼트의 회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 즉 거푸집의 설치 이전에 먼저 각목 등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토류벽에 고정구를 관통시켜 체결시킨 다음 고정구 타단으로 형설되는 소켓부재에 거푸집을 관통하는 타이볼트를 맞추어 체결하여야 하므로, 소켓부재와 타이볼트간의 정확한 결합 및 연결작업에 따른 확인이 어렵고 숙련된 작업자의 오랜 경험 등에 의존하여 작업하게 되므로, 수행 작업의 능률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은 극복될 수 없다.
즉, 거푸집 내측면으로 돌출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소켓부재 암나사부측과 타이볼트 단부측 숫나사부측을 거푸집 내측과 토류벽측과의 공간측에서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연결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번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고, 고정구를 선작업에 의해 먼저 토류벽에 무수하게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에 재차 타이볼트를 상기 각각의 고정구측 소켓부재와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2중의 작업에 따른 작업공기 등의 지연 및 생산성 저하, 인건비 상승 등의 중요한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자가 선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19718호의 "지하 옹벽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의 목적은 타이볼트와 고정구로 분리되는 것을하나의 타이볼트로 되는 부재로 형성하여 옹벽을 설치 시공하기 위해 토류벽을 형성한 후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어 거푸집을 형성하여, 상기 토류벽과 거푸집간의 간격 유지 및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과정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훼손 내지 타설과정에서의 휨현상, 비틀림 및 볼록하게 양생면이 형성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타이볼트를 거푸집을 관통하여 토류벽에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을 하나의 과정으로 축소 시공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타이볼트의 고정작업을 간단하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시공가능하고, 타이볼트의 시공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 시공가를 절감하도록,
상기 거푸집(150)과 이격되는 토류벽(160)간을 횡단 관통하여 연결 고정한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지하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측으로 스크류나사부(110)가 형성되고 그 후단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봉(120)과, 상기 연결봉(120) 후단측으로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되는 너트체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부(130) 후단측으로 다각형상의 공구연결부(14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토류벽(160) 및 거푸집(150)의 설치시공을 먼저 완료한 후 선정된 각각의 위치에 거푸집(150)을 관통시켜 스크류나사부(110)측이 토류벽(160)과 나사결합 체결 고정토록 하는 것을 구성하여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고안자가 선 출원하였던, 상기 고안은 첫째, 스크류나사부(110)의 선단부가 대략 드릴의 선단 절삭날의 형상을 갖추고 후단부가 나선이 형성되게 제작되고, 또 공구연결부(140)는 사각 내지 육각형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작업공구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제작되므로 다수의 작업공정을 수행하여 소망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생산이 번거러워 생산성이 저하에 의한 제작원가의 상승이 불가한 결점이 있으며, 둘째, 별도의 연결봉(120)의 미가공 부분을 형성하여 사용대상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타이볼트를 제공하였으나, 현장의 시공조건에 의해 옹벽이 다양한 폭으로 시공됨에 따라 타이볼트의 선택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다수의 상품을 공급해야 하므로 생산자의 부담과 대량생산을 저해하여 전체적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이볼트와 고정구로 분리되는 것을 하나의 타이볼트로 되는 부재로 형성하여 옹벽을 설치 시공하기 위해 토류벽을 형성한 후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어 거푸집을 형성하여, 상기 토류벽과 거푸집간의 간격 유지 및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과정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훼손 내지 타설과정에서의 휨현상, 비틀림 및 볼록하게 양생면이 형성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타이볼트를 거푸집을 관통하여 토류벽에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을 하나의 과정으로 축소 시공될 수 있도록 함은 동시에, 타이볼트의 고정작업을 간단하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시공가능하고, 타이볼트의 시공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 시공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상기 스크류나사부(110)의 드릴의 선단 절삭날의 형상을 갖춘 선단부 및 다각형을 갖춘공구연결부(140)의 후가공의 제작을 생략하고, 또 연결봉(120)의 미가공 부분 없이 너트체결부(130)와 같이 일괄적으로 나사형태를 사다리꼴나사형으로 형성하여, 제작이 보다 간편하고 현장의 시공조건에 의해 옹벽이 다양한 폭으로 시공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의 확대와 제작이 간소화되어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 및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용 거푸집 타이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고안 타이볼트 및 연결소켓이 임의 전동공구의 선단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의 각 사시도들,
도 3a 및 3b는 본 고안 타이볼트와 연결소켓이 선 체결 후 임의 전동공구의 선단에 결합되어 정회동되는 상태 및 타이볼트가 토류벽에 틀어박아 고정된 이후 정동공구의 역회동에 의해 타이볼드 후단과 연결소켓이 분리 이탈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들,
도 4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H빔을 형성하고 각각의 H 빔 사이에 각목을 수평선 상태로 적층하여 토류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의해 형성된 토류벽과 이격되는 상태로 거푸집을 형성한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관통하여 토류벽에 본 고안의 거푸집 타이볼트 단부에 형성된 스크류부가 타단의 공구연결부와 연결되는 공구 등에 의해 고정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의 타이볼트 나사부에 나비너트 등을 체결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탈거한 상태에서 옹벽 외표면으로 돌출된 너트체결부를 절단 제거하는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거푸집에 파이프를 고정시키고 본 고안을 이용, 거푸집을 고정시킨 후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고정구를 사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의 사시도,
도 11a, 11b 및 도 12, 도 13a, 도 13b는 종래의 기술들을 도시한 사시도 내지 사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0 : 타이볼트, 210 : 스크류나사부
230 : 너트체결부, 231 : 윙너트
240 : 공구연결부, 250 : 거푸집
260 : 토류벽, 270 : H-빔
290 : 파이프고정구, 291 : 만곡요홈부
300 : 연결소켓, 310 : 볼트연결홈
320 : 다각홈, 400 : 전동공구
410 : 회동척, 420 : 소켓연결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푸집과 이격되는 토류벽간을 횡단 관통하여 연결 고정한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ㆍ양생하여 지하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측으로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후단측으로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되는 너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부 후단측으로 다각형상의 공구연결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토류벽 및 거푸집의 설치시공을 먼저 완료한 후 선정된 각각의 위치에 거푸집을 관통시켜 스크류나사부측이 토류벽과 나사결합 체결 고정토록 이루어진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가 회동하면서 토류벽 내부로 틀어박아 체결 고정되도록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가 설정길이로 길게 연장된 외측면 전체에 사다리꼴 나사형태의 너트체결부가 균일하게 형성된 타이볼트와, 사다리꼴 나사부분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이볼트의 후단부가 나사결합되면서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의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이 일단부 중심에 형성되고, 이와 대항된 반대쪽 타단부 중심에 전동공구의 회동척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 타단이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게 다각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처리된 연결소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옹벽용 거푸집 타이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고안 타이볼트 및 연결소켓이 임의 전동공구의 선단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의 각 사시도들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 타이볼트와 연결소켓이 선 체결 후 임의 전동공구의 선단에 결합되어 정회동되는 상태 및 타이볼트가 토류벽에 틀어박아 고정된 이후 정동공구의 역회동에 의해 타이볼드 후단과 연결소켓이 분리 이탈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들이고, 도 4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H빔을 형성하고 각각의 H 빔 사이에 각목을 수평선 상태로 적층하여 토류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의해 형성된 토류벽과 이격되는 상태로 거푸집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관통하여 토류벽에 본 고안의 거푸집 타이볼트 단부에 형성된 스크류부가 타단의 공구연결부와 연결되는 공구 등에 의해 고정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의 타이볼트 나사부에 나비너트 등을 체결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탈거한 상태에서 옹벽 외표면으로 돌출된 너트체결부를 절단 제거하는 것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거푸집에 파이프를 고정시키고 본 고안을 이용, 거푸집을 고정시킨 후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고정구를 사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가리킨다.
첨부된 각 도면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는 건축물 등의 축조시 지하 지반 공사 등을 수행할 때 시공되는 옹벽시공 공사에서 옹벽의 원활한 시공 및 거푸집(250)과 토류벽(260)간을 관통 체결하여 상기 거푸집(250)을 토류벽(260)으로부터 적정 간격 이격시키며 견고하게 고정, 유지하기 위한 타이볼트(200)를 제공함에 있어, 토류벽(260)측에 위치되어 삽입 나사 결합되는 선단부측으로는 스크류형상의 스크류나사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이볼트(200)의 선단부가 회동하면서 토류벽(260) 내부로 틀어박아 체결 고정되도록 스크류나사부(210)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가 설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 외측면 전체에 사다리꼴 나사형태의 너트체결부(230)가 균일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타이볼트(200)의 너트체결부(230)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되면서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의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310)이 일단부 중심에 형성되고, 이와 대항된 반대쪽 타단부 중심에 전동공구(400)의회동척(410)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420) 타단이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게 다각홈(32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처리된 연결소켓(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나사부(210)는 대략 원뿔형을 이루고, 그 외주면에 피치가 거친 삼각형 단면의 나사산이 설정간격을 두고 스크류 형태로 갖고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한 전동공구(400)에 의해 강제 정회동시켜 목재의 토류벽(260) 내부에 틀어박아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바, 일반적 스크류나사의 선단부와 극히 유사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너트체결부(230)는 거푸집(250)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거푸집(250)과 토류벽(260)간을 고정 연결한 후, 윙너트(231) 등으로 체결한 다음 거푸집(250)과 토류벽(2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250)을 탈거하기 전에 거푸집(250) 외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절단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절단과정에서 그 절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너트체결부(230)의 나사형태를 사다리꼴 나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소켓(300)은 타이볼트(200)를 토류벽(260)에 틀어박는 작업시 반복하여 영구적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이볼트(200)의 너트체결부(230)의 후단부와 임시적 나사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의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310)이 일단부 중심에 형성되고, 이와 대항된 반대쪽 타단부 중심에 전동공구(400)의 회동척(410)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420)타단이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게 다각홈(32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처리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다각홈(320)은 상기 전동공구(400)의 회동척(410)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면으로 이루어진 소켓연결봉(420)에 상응되는 형상, 즉 사각ㆍ육각ㆍ팔각 등의 다각면체로 형성함으로써 다각면을 갖춘 소켓연결봉(420)과 체결 가능한 모든 공구(미도시)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가해지는 힘 또는 전동공구에 의해 회동력이 전달되어 정ㆍ역회전에 의해 상기 타이볼트(200)가 전체적으로 정회동되어져, 타이볼트(200) 최선단의 스크류나사부(210)가 우선 거푸집(250)을 관통한 후 토류벽(260) 내부에 틀어박아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어 삽입 고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푸집(250)과 토류벽(260)을 설정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유지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고정시킨 후, 옹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상건축물등을 축조하기 위해서 지하를 굴착한 후 그 굴착면(W)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설치 시공하게 되는데,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H-빔(27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후 H-빔(270)들 사이에 사각형의 목재를 수평방향으로 다수 적층하여 토류벽(260)을 형성하여 굴착면(W)의 붕괴 내지 토사의 유입을 차단함과 옹벽 시공의 공간을 확보한 다음 지하층 바닥면 및 옹벽에 해당하는 철근골조(미도시)를 세운 다음 우선 바닥면만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토류벽(260)으로부터 설치하고자 하는 옹벽의 두께를 감안하여 그 두께만큼 이격되는 거푸집(250)을 설치 시공한다. 이때 토류벽(260) 및 거푸집(250) 사이에 옹벽용 철근골조가 위치되도록 시공한 후 상기 거푸집(250)을 관통하며 토류벽(260)내에 틀어박아 견고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타이볼트(200)를 나사 체결하게 되는데, 거푸집(250)을 우선 관통 체결하는 타이볼트(200)를 고정하기 위해 해당 설정위치의 거푸집(250)에 구멍을 먼저 천공하고 타이볼트(200)를 삽입한 후 그 선단부인 스크류나사부(210)를 상기 토류벽(260)에 위치시킨 후 체결위치를 선정한다.
그런 다음, 별도의 전동공구 내지 수동공구 등을 사용하여 타이볼트(200)의 후단부가 연결소켓(300) 일단의 볼트연결홈(310)에 임시 체결한 후 타단의 다각홈(320)에 상기 전동공구(400)의 회동척(410)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면으로 이루어진 소켓연결봉(420)의 성단부가 끼워져 체결하여 정회동시키면, 상기 타이볼트(200)의 스크류나사부(110)가 목재의 토류벽(160) 내부로 틀어박혀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후, 상기 전동공구(400)를 역회동시키면 타이볼트(200)의 후단과 임시 체결된 연결소켓(300)의 볼트연결홈이 역회전되면서 타이볼트(200)의 후단부와 상호 이탈 분리된다.
상기와 바와 같이, 고정된 타이볼트(200)의 타측 너트체결부(230)에 파이프고정구(290) 및 윙너트(231)를 순차적으로 체결하게 되면, 거푸집(250)과 토류벽(260)이 설정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토류벽(260)과 거푸집(250)간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적정량의 콘크리트를 주입타설하여 양생, 경화시켜 옹벽(P)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이 완료되면, 거푸집(250)을 탈거한 후 옹벽으로부터 돌출된 타이볼트(200)의 너트체결부(230) 후단부를 절단하여 완성된 옹벽(P)을 쉽고 편리하게 작업하여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체결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 및 나사골의 형상을 사다리꼴로 갖는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시공작업에 따라 거푸집(250) 외표면으로 파이프(280)등을 맞대어 거푸집(250)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양방향으로 만곡요홈부(291)를 이루며 형성되는 파이프고정구(290)의 중앙으로 타이볼트(200)의 너트체결부(230)가 삽입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양방의 만곡요홈부(291) 내측으로 파이프(280)가 내합되도록 한 후, 상기 파이프고정구(290) 중앙으로 돌출된 너트체결부(230)에 윙너트(231)를 체결 고정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거푸집(250)을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횡단하는 타이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토류벽에 별도로 타이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먼저 고정시킨 후 거푸집을 형성하고 거푸집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삭제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구와 같은 부품을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거푸집과 토류벽간을 고정 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기의 단축 및 이에 따른 전체적 시공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 출원된 스크류나사부(110)의 드릴의 선단 절삭날의 형상을 갖춘 선단부 및 다각형을 갖춘 공구연결부(140)의 후가공의 제작을 생략하고, 또 연결봉(120)의 미가공 부분 없이 너트체결부(130)와 같이 일괄적으로 나사형태를 사다리꼴나사형으로 형성하여, 제작이 보다 간편하고 현장의 시공조건에 의해 옹벽이 다양한 폭으로 시공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의 확대와 제작이 간소화되어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 및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거푸집과 이격되는 토류벽간을 횡단 관통하여 연결 고정한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ㆍ양생하여 지하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측으로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후단측으로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되는 너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체결부 후단측으로 다각형상의 공구연결부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토류벽 및 거푸집의 설치시공을 먼저 완료한 후 선정된 각각의 위치에 거푸집을 관통시켜 스크류나사부측이 토류벽과 나사결합 체결 고정토록 이루어진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가 회동하면서 토류벽 내부로 틀어박아 체결 고정되도록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가 설정길이로 길게 연장된 외측면 전체에 사다리꼴 나사형태의 너트체결부가 균일하게 형성된 타이볼트와,
    사다리꼴 나사부분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이볼트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되면서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의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이 일단부 중심에 형성되고, 이와 대항된 반대쪽 타단부 중심에 전동공구의 회동척에 일단이 결합된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 타단이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게 다각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널링처리된 연결소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KR2020020022159U 2002-07-24 2002-07-24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KR200291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59U KR200291542Y1 (ko) 2002-07-24 2002-07-24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59U KR200291542Y1 (ko) 2002-07-24 2002-07-24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542Y1 true KR200291542Y1 (ko) 2002-10-12

Family

ID=7308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159U KR200291542Y1 (ko) 2002-07-24 2002-07-24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35B1 (ko) * 2002-09-25 2005-01-14 (주)태경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35B1 (ko) * 2002-09-25 2005-01-14 (주)태경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US6367764B1 (en) Versatile threaded construction stake usable to anchor and/or support construction forms, including concrete slab foundation forming devices
KR20110118399A (ko) 패스트 기둥 웨일러
US3007221A (en) Nail free wall form assembly device
KR200291542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200289055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CN111236647A (zh) 一种构造柱斜向对拉螺栓及其固定模板的施工方法
KR100994398B1 (ko) 지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강관말뚝과 두부보강재의제조방법
KR100505330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
KR200307614Y1 (ko)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KR100730914B1 (ko)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0465935B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JP3805342B2 (ja) 山留壁構造
KR200368875Y1 (ko) 네일 제거형 쏘일네일
KR100522746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JP4443992B2 (ja) 自動販売機などの据付基礎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方法
JP3205169U (ja) ポール立設構造
JPH0610500A (ja) 構築用パネル体
GB2101651A (en) A post socket
KR200149657Y1 (ko) 철근 고정용 스토퍼
KR100619170B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JP3838548B2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部端板への補強鉄筋の立設方法
KR200355535Y1 (ko) 전동공구용 너트 체결공구
KR200347358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