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614Y1 -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 Google Patents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614Y1
KR200307614Y1 KR20-2002-0038679U KR20020038679U KR200307614Y1 KR 200307614 Y1 KR200307614 Y1 KR 200307614Y1 KR 20020038679 U KR20020038679 U KR 20020038679U KR 200307614 Y1 KR200307614 Y1 KR 200307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crew
retaining wall
formwork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란
Original Assignee
심정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정란 filed Critical 심정란
Priority to KR20-2002-0038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옹벽, 건축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공사에 있어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 옹벽 공사에서의 옹벽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 타설용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버팀목(100)에 박히는 스크류(10)와, 스크류(10)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박힘정지 스톱퍼(11)를 구성하여 견고하고 일률적인 체결력이 발휘되고 일체의 지지봉(20)과 후단부로 볼트봉(30)을 형성하되,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홈(21)을 구성시켜 토류방지벽에서 돌출된 볼트봉을 간단히 제거하는 특징과 단부에는 양면절취면(31) 및 철사끼움공(32)을 구성시켜 전동공구에 의한 이용성 및 철사를 고정하여 깊은 곳에서의 이용가능성을 증대하며 특히 공지의 스크류 못을 봉재에 용접하거나 또는 헷타장치에 의한 스톱퍼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생산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종래의 선등록고안에서의 무스톱퍼에 의한 체결력의 견여를 방지하며 공구이용 다각머리를 구성하기 위한 번잡성을 배제함과 함께 돌출된 볼트봉의 절단이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건축현장에서 보다 간단히 이용되어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타이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Underground revetment molding tie-bolt}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옹벽, 건축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공사에 있어서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 옹벽 공사에서의 옹벽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 타설용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옹벽 등의 구조물공사를 할 때에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때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H빔(H-beam)을 토류벽에 박아 고정한 후 H빔들 사이에 각목인 버팀목을 수평상으로 적층 삽입하여 토류의 붕괴를 막아주는 버팀목과, 이 버팀목에 철근을 배설하고 이에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콘크리트벽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콘크리트 토류방지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은 상기 버팀목(통상목재로 이용됨)에 화살촉의 뾰족한 핀부와 기다란 봉의 간격 유지봉이 형성된 일명 타이볼트를 이용하고 있다.
즉, 화살촉의 핀부를 빔에 적층된 목재사이로 통과시켜 90도를 회전함으로 화살촉부에 의한 걸림과 봉부재에 너트를 용접하여 기다란 봉을 연결하거나 또는 철사 등으로 묶음하여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는 거푸집을 고정시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게 된다.
상기에서 적층된 목재사이에 화살촉을 끼워 넣기 위하여 망치 등으로 박음과 또 이들을 회전하고 기다란 봉이나 철사 등을 묶음하게 됨으로서 작업이 복잡하여 빠른 작업을 이룰 수 없으므로 보다 빠르고 편리한 수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개선된 구성들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의장 및 실용신안출원 등에서 지하 옹벽 구성용 거푸집 타이볼트에 대한 다수의 특허 실용신안을 볼 수 있고 또는 타인의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실1998-017205호는 토류벽의 각목과 각목사이에 고정구를 타격 삽입하여 돌리는 작업을 배제하기 위하여 "ㄷ"자형의 삽입부재를 구성하여 목재에 천공된 구멍에 끼움하고 이에 형성된 너트에 기다란 볼트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바 이는 목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이 신속성이 결여되는 폐단이 있으며 다른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실1999-006010호와 또 다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19718호의 지하 옹벽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에서는 기다란 봉재로 하나의 타이볼트로 구성하되 거푸집과 버팀목을 횡단하여 관통되는 길이의 부재에 선단부측은 목재 박힘되는 스크류나 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으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후단으로 볼트부를 구성시킨 후 사각형상의 공구연결부를 일체로 구성하여 스크류 나사부에 의해 목재에 나사체결 고정되도록 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스크류나사부와 후단부의 나선이 이중 형성되어 제작이 어렵고 또한 많은 제작비가 요구됨과 또한 공구연결부는 사각 내지 육각형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작업공구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으나 사각구성에는 많은 작업공정으로 제작비의 상승과 그 구조상 제작이 매우 어려운 폐단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등록권자의 개량형 실용신안등록제 0291542호에서는 상기 선단부가 회동하면서 버팀목에 틀어박아 체결 고정되도록 스크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가 설정길이로 길게 연장된 외측면 전체에 사다리꼴 나사형태의 너트체결부가 균일하게 형성된 타이볼트와,
사다리꼴 나사부분으로 이루어진 상기 타이볼트의 후단부가 나사 결합되면서 끼워져 결합 내지 분리 가능하도록 나선이 내측면에 형성된 볼트연결홈과 이와 대항된 반대쪽 중심에 전동공구의 회동척에 결합되는 다각형상의 소켓연결봉으로 구성한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등록고안 이전에 알려진 실용신안 공개번호1998-056734호에서는 거푸집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를 갖는 고정구의 일측에 버팀목에 박히는 스크류와 고정구의 타측에는 전동공구에 끼워지는 너트부를 형성시키며 너트부의 내측으로 연결대의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산을 형성시킨바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에는 철사가 끼워지는 고정홀을 형성시켜 철사묵음도 가능하도록 한바 있다.
이상과 같이 타이볼트는 버팀목에 박히는 스크류와 기단한 고정구 및 고정구 단부로 체결용 볼트또는 너트부를 구성시켜 거푸집을 고정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지고 있으나,
전자는 버팀목에 박히는 스크류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되지 못하고 버팀목에 적은 양이 박히고 또는 관통될 때에 그 체결력이 매우 약하므로 쉽게 이탈될 우려와 함께 사용 후 토류방지벽에서 돌출된 볼트봉을 절단하여야 되나, 이때에 이를 절단하기 위하여 전동공구 즉, 전기톱 등을 이용함으로서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폐단이 있고 또한 볼트봉 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상의 전동공구 끼움돌기를 사각 등으로 구성할 경우 그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공정을 요구함으로서 실시가 어렵고 이를 개선한 볼트단부를 이용하도록 한 개선고안에서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는 고정구와 별도의 체결볼트봉을 2차로 체결하여야 되는 단점과 그 체결에서도 멀리 떨어진 너트부에 기다란 볼트봉을 일치시켜 체결하기가 매우어려운 폐단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전술한 전후의 선고안에서 장점부분과 개선부분을 개선시켜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히, 선단부에 버팀목에 박히는 스크류와, 스크류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스크류 끝단의 박힘정지 스톱퍼와 함께 일체의 지지봉, 이 지지봉 후단부로 볼트를 형성하되, 지지봉과 함께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홈을 형성시켜 봉을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하며 볼트봉 단부에는 전동공구에 체결되는 양면절취면 및 철사 끼움공을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스크류 11;스톱퍼 20;지지봉
21;절단홈 30;볼트봉 31; 양면절취면
32;철사끼움공 100;버팀목 101;토류방지벽
102;H빔 103;거푸집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H빔에 적층된 버팀목에 박히는 스크류와, 이 스크류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스톱퍼를 구성하고 이와 함께 일체의 지지봉을 구성시켜 후단부로 너트가 체결되는 볼트를 형성하며 상기 볼트 단부에는 전동공구에 체결되는 양면절취면 및 철사 끼움공을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대량생산성을 발휘하고 제작비를 절감하는 특징 및 작업자가 현장에서의 작업이 편리하여 정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에 토류방지벽(101)을 구성하기 위하여 H빔(102)에 버팀목(100)을 적층하고 이 버팀목(100)에 스크류와 일체의 볼트봉으로 구성되는 타이볼트를 체결시켜 거푸집(103)을 고정하도록 하는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에 버팀목(100)에 박히는 스크류(10)와, 스크류(10)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스크류(10) 끝단의 박힘정지 스톱퍼(11)를 구성하고 이와 일체의 지지봉(20)과 후단부로 볼트봉(30)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봉(20)과 볼트봉(30)에는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홈(21)을 구성하며 단부에는 미도시된 전동공구에 체결되는 양면절취면(31) 및 철사 끼움공(32)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크류(10)와 스톱퍼(11)는 공지의 다각머리를 형성한 스크류 못을 봉재에 용접 구성하거나, 기다란 봉재를 길이방향에서 압축시켜 돌출되는 스톱퍼(11)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봉(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양면절취면(31) 또는 철사 끼움공(32)은 필요에 따라 실시하고 이를 생략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당연히 본 고안의 단순 실시예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 40은 체결너트, 41는 절단된 볼트봉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그 작용효과를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옹벽 등의 구조물공사를 할 때에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때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H빔을 토류벽에 박아 고정한 후, H빔(102)들 사이에 각목인 버팀목(100)을 수평상으로 적층 삽입하고 철근을 배선한 다음 거푸집(103)을 설치하여 상기 버팀목(100)과 거푸집(103)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 및 양생하게 된다.
이때에 콘크리트 몰탈이 충진되는 거푸집(103)은 견고하고 일정한 벽면이 구성되도록 하며 이때에 본 고안이 이용된다.
즉, 상기 버팀목(100)에 본 고안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크류(10)를 체결하고 이에 의해 견고히 체결된 본 고안에 거푸집(103)을 고정함으로서 견고한 거푸집(103)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거푸집(103)을 설치한 후 체결하는 방법과, 거푸집(103)을 형성하기 이전에 본 고안을 미리 체결시킨 후 거푸집(103)을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버팀목(100)에 본 고안의 스크류(10)를 박아 고정함에 있어 미도시된 전동공구를 볼트봉(30) 단부에 끼워 체결방향으로 작동함으로 전공공구에 의해 볼트봉(30)이 회전되고 이와 일체의 스크류(10)가 회전되면서 목재인 버팀목(100)에체결된다.
이때에 전동공구는 볼트봉(30)단부의 양면절취면(31)에 의해 미끄럼이 없이 볼트봉(30)을 회전하게 되며 먼거리에서 회전시켜 작업자가 그 체결깊이를 알 수 없으나 스크류(10)의 끝단에 형성된 스톱퍼(11)가 더 이상의 깊이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류(10)전체가 그 길이 깊이로 일정하게 체결됨으로 일정한 깊이의 체결을 이루어 견고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봉(30)을 거푸집(10)에 형성된 통공으로 관통시켜 거푸집(103)외부에서 너트(40) 또는 스톱와셔 등으로 고정하게 됨으로 본 고안은 전동공구에 의한 용이한 체결성과 작업이 매우 간단한 것이다.
상기에 의해 고정된 거푸집(103)내에는 철근이 배설되고 이에 공지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과 양생의 과정을 거침으로서 토류방지벽(101)을 구성하게 되며 양생 후 상기 거푸집(103)을 해체 및 제거할 때에는 공지와 같이 너트(40)를 풀어내고 볼트봉(30)에 끼워진 거푸집(103)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양생된 토류방지벽(101)에서 거푸집(103), 너트체결두께 및 너트 이후크기로 돌출된 볼트봉(30)은 다음 공정 등에 의해 절단시키게 된다.
일정한 거리마다 절단홈(21)이 형성된 본 고안은 상기에서 토류방지벽에서 돌출된 볼트봉(30)의 단부를 망치 등의 도구로 강하게 타격하면 토류방지벽(101)과 근접된 위치의 절단홈(21)이 절단되어 지는바, 이에 의하여 토류방지벽(101)에서 돌출되는 볼트봉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함께 특정한 위치에서 본 고안의 타이볼트봉 보다 큰 깊이에서 사용될 때에는 상기 볼트봉(30)단부의 양면절취면(31)에 천공된 철사끼움공(32)으로 철사를 끼워 길이를 연장시킨 후 거푸집(103)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로 상기 양면절취면(31)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공지와 같이 별도의 도구에 의해 전동공구와 결합시켜 체결할 수 있고 또한 볼트봉(30)의 단부에 철사끼움공(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함께 본 고안은 스톱퍼(11)를 다각형상으로 구성시켜 볼트봉(30)에 의한 전동공구의 체결과 함께 버팀목(100)과 근접된 위치에서 스톱퍼(11)에 몽키스 패너 등을 이용한 회전체결이 가능함으로써 넓은 거리에서 또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하여 선택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함께 발휘된다.
또한 토류방지벽(101)에서 돌출된 볼트봉(30)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홈(21)은 상하 절단홈과 봉 전체를 회전한 원형홈으로 구성시켜 절단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의 스톱퍼(11)는 스크류와 머리부를 이루는 공지의 스크류 못을 볼트봉에 용접시켜 제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또한 저렴한 생산비용에 의한 제작이 가능한 특징과 함께 공지의 헷타기계장치(머리성형기)에 의해 전후 봉을 압축시켜 봉보다 큰 스톱퍼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작업 여건에 따라 선택 이용되며 상기 스톱퍼는 다각형상과 함께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버팀목(100)에 박히는 스크류(10)와, 스크류(10)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박힘정지 스톱퍼(11)를 구성하여 견고하고 일률적인 체결력이 발휘되고 일체의 지지봉(20)과 후단부로 볼트봉(30)을 형성하되,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홈(21)을 구성시켜 토류방지벽에서 돌출된 볼트봉을 간단히 제거하는 특징과 단부에는 양면절취면(31) 및 철사 끼움공(32)을 구성시켜 전동공구에 의한 이용성 및 철사를 고정하여 깊은 곳에서의 이용가능성을 증대하며 특히 공지의 스크류못을 봉재에 용접하거나 또는 헷타장치에 의한 스톱퍼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생산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종래의 선등록고안에서의 무스톱퍼에 의한 체결력의 견여를 방지하며 공구이용 다각머리를 구성하기 위한 번잡성을 배재함과 함께 돌출된 볼트봉의 절단이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건축현장에서 보다 간단히 이용되어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옹벽에 토류방지벽(101)을 구성하기 위한 H빔(102)에 버팀목(100)을 적층하고 이 버팀목(100)에 스크류와 일체의 볼트봉으로 구성되는 타이볼트를 체결시켜 거푸집(103)을 고정하도록 하는 타이볼트에 있어서,
    선단부에 버팀목(100)에 박히는 스크류(10)와, 스크류(10)의 박힘이 일정하도록 한 박힘정지 스톱퍼(11)를 구성함과 함께 일체의 지지봉(20)과 후단부로 볼트봉(30)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봉(20)과 볼트봉(30)에는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홈(21)을 구성하며 단부에는 양면절취면(31)과 철사끼움공(32)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에 구성되는 스크류(10)와 머리부는 공지의 스크류못을 용접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11)를 공지의 머리성형기에 의해 좌우봉을 압축성형시켜 스톱퍼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KR20-2002-0038679U 2002-12-27 2002-12-27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KR200307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79U KR200307614Y1 (ko) 2002-12-27 2002-12-27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79U KR200307614Y1 (ko) 2002-12-27 2002-12-27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614Y1 true KR200307614Y1 (ko) 2003-03-19

Family

ID=4933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79U KR200307614Y1 (ko) 2002-12-27 2002-12-27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6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942Y1 (ko) * 2007-03-26 2008-01-08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CN111502239A (zh) * 2020-04-29 2020-08-07 梅国强 建筑领域易组装的多用途模板系统和构建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942Y1 (ko) * 2007-03-26 2008-01-08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체결구
CN111502239A (zh) * 2020-04-29 2020-08-07 梅国强 建筑领域易组装的多用途模板系统和构建方法
CN111502239B (zh) * 2020-04-29 2021-12-14 成都建筑材料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建筑领域易组装的多用途模板系统和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397B2 (en) Anchor system for securing a concrete wall panel to a supporting concrete foundation
US6367764B1 (en) Versatile threaded construction stake usable to anchor and/or support construction forms, including concrete slab foundation forming devices
US3982363A (en) Frangible insert
US10272593B2 (en) Stabilizing a concrete form
US3007221A (en) Nail free wall form assembly device
KR200307614Y1 (ko)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JP2006016952A (ja) アンカーとその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仮固定構造
US10889953B1 (en) Drill stake and accessories for concrete form construction
CN209923917U (zh) 一种螺旋基桩
JP4279826B2 (ja) 木質部材の結合構造
US5547163A (en) Wedged tiewire assembled plyform panel to I-beam stakes
KR200289055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KR200291542Y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구조
KR200349643Y1 (ko) 철근연결구조
JP3671170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布基礎との締結工法
KR200355535Y1 (ko) 전동공구용 너트 체결공구
JP3205169U (ja) ポール立設構造
KR200342716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KR20070051247A (ko) 구조물 설치용 인서트
US20220228384A1 (en) Stem Wall Bracket System and Method
KR200221910Y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JPH0566103U (ja) ケミカルアンカーロッド
JPS6347246Y2 (ko)
KR200350178Y1 (ko) 건축용 간격유지봉 체결부재의 체결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