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488Y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488Y1
KR200148488Y1 KR2019920026129U KR920026129U KR200148488Y1 KR 200148488 Y1 KR200148488 Y1 KR 200148488Y1 KR 2019920026129 U KR2019920026129 U KR 2019920026129U KR 920026129 U KR920026129 U KR 920026129U KR 200148488 Y1 KR200148488 Y1 KR 200148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late
contact
fixed contact
center terminal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6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049U (ko
Inventor
히로유끼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30016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목적 : 조작력이 작아도 기동시의 도체판에 큰 회전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개량하고, 아크열에 의하여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되어도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소동작형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 조작레버(15)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호판(22)이 도체판(10)중 가동접점(11a)을 고정접점(3a)에 접촉시키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압입하여 그 단부의 하강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제1도는 실시예인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압입조작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4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도체판이 기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5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도체판이 요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6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압입조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7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 중앙단자 3a,3b,7a,7b : 고정접점
10,12 : 도체판 11a,11b,13a,13b : 가동접점
15 : 조작레버 16 : 지지부
17,19 : 압축스프링 18,20 : 구동체
22 : 보호판
본 고안은 전기기기나 전자장치의 전원용 스위치등으로서 사용되는 시소 동작형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중 주로 각종 가정 전화(電化) 제품이나 전자장치의 전윈용 스위치 장치로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57-413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시소 동작형의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소 스위치라 호칭되고 있다.
제7도는 이러한 시소동작형의 스위치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상부에 압압체(32)를 설치한 조작레버(30)는 지지부(31)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X-Y방향으로 소정량 회동 가능하고, 이 조작레버 (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압축스프링(33)이 구동체(34)를 항상 가세하고, 이 구동체(34)가 조작레버(30)의 회동에 따라 지지부(31)를 중심으로 하는 경동(傾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체 (34)의 경동동작은 중앙단자(36)에 지지되어 있는 도체판(35)을 압압 가세하면서 행해지고, 이것에 의하여, 도체판(35)은 중앙단자(36)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는 요동을 행하여, 이 도체판(35)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접점(37a,37b)이 각각 대응하는 고정접점(40a,40b)과 접촉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38,39)는 각각 고정접점(40a,40b)으로부터 도출한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는, 조작자가 압압체(32)의 천정면의 일단부를 압입하면, 조작레버(30)가 지지부(31)를 중심으로 소정량 회전하여, 구동체(34)가 도체판(35)을 압입하먼서 화살료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경동하기 때문에, 가동접점(37a 또는 37b)이 대응하는 고정접점 (40a 또는 40b)에 닿아 서로 이간시켜 설치한 중앙단자(36)와 고정접점 (40a 또는 40b)이 도체판(35)을 거쳐 도통되게 된다.
즉, 도체판(35)을 거쳐 중앙단자(36)와 고정접점(40a)이 도통되고 있는 제7도의 상태에 있어서, 압압체(32)의 천정면의 도시 좌측을 압입하면, 조작레버(30)에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그에 따라 구동체(34)는 화살표 Y방향으로 경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구동체(34)가 중앙단자(36)의 상단부로 올라감에 따라 도체판(35)에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그 결과, 먼저 가동접점(37a)이 고정접점(40a)으로 부터 이간하여 그 고정접점(40a)과 중앙단자(36)와의 도통이 해제되고, 이어서 구동체(34)가 중앙단자(36)의 상단부를 넘어가 클릭 감촉이 생기고, 그 직후에 가동접점(37b)이 고정접점(40b)에 맞닿아 그 고정접점(40b)과 중앙단자(36)가 도통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종류의 스위치 장치에는 비교적 큰 전류가 통전되므로 도체판(35)을 정지상태로 부터 기동시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으로 부터 이간시킬 때에 양접점 사이에 아크(arc)가 발생하기 쉽고, 그 아크열에 의하여 양 접점이 국부적으로 용착되어 버리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과의 용착이 일어나면, 도체판(35)에 큰 회전 모멘트를 부여하지 않으면 이것을 기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그 도체판 (35)의 요동지점의 근방에 위치하는 구동체(34)에 대하여 강한 회전 구동력이 요구되고, 따라서 조작레버(30)를 압입하기 위캐 필요한 조작력이 현저하게 증대하여 조작성이 극단으로 열화되어 버린다는 불편함이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크열에 의하여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되어도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되는 시소 동작형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절연부재가, 도체판중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압입하여 그 단부의 하강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요동지점상에 지지된 도체판을 기동시키기 위한 작용점이 그 도체판의 단부에 설정되므로 그 작용점과 그 요동지점과의 거리가 커져 조작력이 작더라도 그 도체판에는 기동시에 큰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도는 실시예인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그 스위치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 하우징 (1)의 저부에는 격벽(la)의 한쪽에 중앙단자(2)와, 고정접점(3a,3b)으로부터 각각 도출한 단자(4,5)를 서로 이간시켜 배치 한 제1의 단자군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격벽(1a)의 다른쪽에 중앙단자(6)와, 고정접점(7a,7b)으로부터 각각 도출한 단자(8,9)를 서로 이간시켜 배치한 제2의 단자군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단자(2)의 상단부를 요동지점으로 하는 도체판(10)의 양단부에 고정접점(3a,3b)에 접촉 분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11a,11b)이 설치되어 있어, 이 도체판(10)을 요동시킴으로써 제1의 단자군의 단자사이의 온·오프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단자(6)의 상단부를 요동지점으로 하는 도체판(12)의 양단부에 고정접점(7a,7b)에 접촉 분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13a,13b)이 설치되어 있어, 이 도체판(12)을 요동시킴으로써 제2의 단자군의 단자사이의 온 ·오프 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압압체(14)를 설치한 조작레버(15)는 지지부(16)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소정량 회동 가능하고, 이 조작레버(15)에 설치한 1쌍의 통부(15a) 내에 각각 압축스프링(17)에 의하여 항상 가세되는 구동체(18)와, 압축 스프링(19)에 의하여 항상 가세되는 구동체(20)가 출입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15)를 회동시키면, 구동체(18,20)는 모두 지지부 (16)를 중심으로 하여 경동한다. 그리고 각 구동체(18,20)는 각각 상기 도체판(10,12)의 중앙부를 압압 가세하고, 이 가세력에 의하여 각 도체판 (10,12)이 각각 상기 중앙단자(2,6)에 압접되므로 결국 조작레버(15)를 회동시키면 구동체(18)의 경동에 수반하여 도체판(12)이 중앙단자(6)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부(16)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금속판제의 설치판(21)이 코오킹등의 수법으로 고정되나, 이 설치판(21)과 각 도체판(10,12)과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이 이들 도체판(10,12)의 상방에는 조작레버(15)의 양 통부(15a)를 끼워 통하게 하는 개구(22a)를 설치한 합성수지제의 보호판(22)을 조립하고, 이 보호판(22)이 조작레버(15)의 회동에 수반하여 설치판(21)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레버(15)를 회동시키면, 보호판(22)의 개구(22a)의 주연부가 상기 통부(15a)에 의하여 구성되도록 설계하고 있고, 또,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구동되는 보호판(22)의 내벽(22b)이 최상점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배면에 맞닿아 도체판(10,12)을 압입하여, 각 도체판(10,12)의 그 가동접점측의 단부의 하강동작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체판(10)이나 구동체 (18)를 사용하는 제1의 단자군의 온·오프 전환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나, 이 스위치장치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2연(2連)구조이므로, 도체판 (12)이나 구동체(20)를 사용하는 제2의 단자군의 온·오프 전환도 동시에 또한 동일한 동작원리로 행해진다.
먼저, 가동접점(l1a)을 고정접점(3a)에 접촉시키고 있는 제3도의 상태에서는 그 고정접점(3a)이 도체판(10)을 거쳐 중앙단자(2)와 도통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상기 압압체를 거쳐 조작레버(15)의 도시 좌단부를 하부방향으로 압입하면 이 조작레버(15)는 지지부(16)를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중앙단자(2)의 도시좌측에서 도체판(10)을 압압 가세하고 있는 구동체(18)가 그 중앙단자(2)에 접근해 감과 동시에, 조작레버(15)의 통부(15a)가 보호판(22)을 구동하여 그 보호판 (22)이 도시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가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보호판(22)의 내벽(22b)의 하단부가 최상점에 위치하는 가동접점(11b)의 배면에 맞닿는다. 그 결과, 도체판(10)의 가동접점(11b)측의 단부가 보호판 (22)에 압입되어, 그 단부의 하강동작이 개시되므로 도체판(10)의 타단부에서 고정접점(3a)에 접촉하고 있던 가동접점(11a)이 그 고정접점 (3a)으로 부터 이간되어 그 고정접점(3a)과 중앙단자(2)와의 도통이 해제된다.
그리고, 가동접점(11a)이 고정접점(3a)으로부터 이간된 직후에, 구동체 (18)가 중앙단자(2)의 상단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이 올라감동작에 수반하여 도체판(10)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5도의 상태를 거쳐 가동접점 (11b)을 고정접점(3b)에 접촉시켜 그 고정접점(3b)과 중앙단자(2)를 도통시킨 제6도의 상태에 이른다. 또한 구동체(18)가 중앙단자(2)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갈 때에 클릭 감촉이 생기므로 조작자는 이러한 온·오프의 전환을 확실하고 분명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최상점에 위치하는 가동접점의 배면에 보호판(22)을 맞닿게 하여 도체판(10,12)을 압입함으로써 각 도체판(10,12)의 그 가동접점측의 단부의 하강동작을 개시시킨다는 것이므로, 각 도체판 (10,12)을 기동시키기 위한 작용점이 요동지점(중앙단자 2,6)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고, 그 때문에 조작레버(15)에 부여되는 조작력이 작더라도 도체판(10,12)에는 기동시에 큰 회전모멘트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있던 가동접점이 그 고정접점으로 부터 이간할 때에, 아크열로 이들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국부적으로 용착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도체판(10,12)을 기동시키기 위하이 조작레버 (15)를 강하게 압입할 필요가 없어, 항상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보호판(22)을 이용하여 도체판(10,12)을 기동시키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증가시키거나 조립성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고, 따라서 코스트업을 수반하지 않고 조작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호판이외의 절연부재로 도체판의 단부를 압입하여 그 도체판을 기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와 같은 2연구조의 시소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2개의 고정접점을 선택적으로 중앙단자와 온·오프시키는 전환스위치가 아니더라도, 즉, 1개의 고정접점과 중앙단자 사이의 온· 오프만을 이용하는 시소스위치이더라도 본 고안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절연부재로 도체판의 단부를 압입하여 그 단부의 하강동작을 개시시킨다고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력이 작아도 도체판에는 기동시에 큰 회전모멘트가 부여되기 때문에 아크열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용착되어도 그 도체판을 기동시키기 위하여 과대한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항상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되는 시소동작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서로 이간시켜 배치한 중앙단자 및 고정접점과, 그 고정접점에 접촉, 분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을 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중앙단자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가능한 도체판과, 그 도체판을 압압 가세하여 이것을 상기 중앙단자에 압접시키는 구동체와, 그 구동체를 유지하면서 소정량 회동 가능한 조작레버와, 그 조작 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절연부재를 구비하고, 그 조작레버를 거쳐 상기 구동체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체판을 요동시키는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구동체와의 배치를 도체판의 기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절연부재가 상기 도체판중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이며, 또한 요동지점으로부터 이간한 단부를 밀어 넣어 그 단부의 하강동작을 개시시키고, 그후, 조작레버를 다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체가 중앙단자를 타고 넘어가 도체판의 타단측의 요동지점 근방위치로 경사이동하여 도체판의 요동이 완료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2019920026129U 1991-12-25 1992-12-23 스위치 장치 KR2001484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07008 1991-12-25
JP107008U JPH0553087U (ja) 1991-12-25 1991-12-25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49U KR930016049U (ko) 1993-07-28
KR200148488Y1 true KR200148488Y1 (ko) 1999-06-15

Family

ID=1444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6129U KR200148488Y1 (ko) 1991-12-25 1992-12-23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53087U (ko)
KR (1) KR2001484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51B1 (ko) * 2009-06-03 2011-07-04 세홍산업 주식회사 격등 제어용 리셉터클을 이용한 배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9459B2 (en) * 2005-09-05 2008-10-21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51B1 (ko) * 2009-06-03 2011-07-04 세홍산업 주식회사 격등 제어용 리셉터클을 이용한 배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49U (ko) 1993-07-28
JPH0553087U (ja) 199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2557A (en) Electric switch with pivoting and wiping movable contractor
KR0157678B1 (ko) 시소스위치
JP2005032556A (ja) スイッチ装置
US3294932A (en) Wiping contact switch
KR200148488Y1 (ko) 스위치 장치
JPH07272594A (ja) レバースイッチの組付構造
JP2002208331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4544811A (en) Electric switch
US4471181A (en) Electric switch with cleaning action
JPH11162285A (ja) スイッチ
US4149049A (en) Switch using resilient annular contactor
US4297551A (en) Electrical transfer switch
JPH0229642Y2 (ko)
JPH0617066U (ja) スイッチ装置
KR950034334A (ko) 전지장치용 제어 디바이스
TNSN97150A1 (fr) Dispositif electrique pour vaporiser des substances
JPH0617067U (ja) スイッチ装置
JPH0548167U (ja) スイッチ装置
US3296389A (en) Positive action switch with improved resiliently biased stationary contact and associated bridging contact structure
JP3113496B2 (ja) 速動式スイッチ装置
JP2837851B2 (ja) スイッチ装置
JPH0455395Y2 (ko)
KR830001427Y1 (ko) 레바 스위치 장치
JP2565819Y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970003347B1 (ko) 록커형 파워스위치의 도체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