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975Y1 - 패널 방향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방향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975Y1
KR200147975Y1 KR2019940025934U KR19940025934U KR200147975Y1 KR 200147975 Y1 KR200147975 Y1 KR 200147975Y1 KR 2019940025934 U KR2019940025934 U KR 2019940025934U KR 19940025934 U KR19940025934 U KR 19940025934U KR 200147975 Y1 KR200147975 Y1 KR 200147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veyor
actuator
present
exposure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464U (ko
Inventor
권혁창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40025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975Y1/ko
Publication of KR960012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46Handling of tube components during manufacture
    • H01J2209/463Identifying or selecting compon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phot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의 신규한 패널 방향 설정장치를 개시한다.
3핀 지지방식의 경우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패널의 방향을 명확히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별도의 작업자가 마스크 프레임 결합직전에 투입된 패널을 일일이 검사 교정하였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송중인 패널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결과 패널의 방향이 반대인 경우 이를 흡착하여 회전시킨 뒤 컨베이어상에 안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패널의 방향을 자동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패널 방향 설정장치
제1도는 마스크 프레임 지지방식의 일례를 보이는 저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 설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위치를 보이는 개념도.
제4a도 내지 c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발췌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액츄에이터(actuator) 3 : (액츄에이터의) 진공패드(vaccum pad)
5 : 구동모터(drive motor) 10 : 감지센서(感知 sensor)
P : 패널(panel) S : (패널의) 스터드 핀(stud pin)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color 陰極線管)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패널(panel)의 투입 방향을 설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R, G, B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R, G, B 형광체로 된 형광면의 해당 형광체에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통해 선택적으로 랜딩(landing)시킴으로써 칼라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는 무수한 색선별 구멍이 형성된 박판이므로 프레임(frame)에 접합되어 마스크 프레임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는 전자빔의 색선별 수단 뿐 아니라 패널 내면에 형광면을 형성하는 공전에서 노광마스크로도 사용되므로 패널에 빈번히 결합 및 분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 프레임(MF)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홀더 스프링(holder spring : H)을 구비하여 패널(P)의 스터드핀(stud pin; s)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형광면은 패널(P) 내면에 형광면 소재를 도포 건조한 뒤이에 마스크 프레임(MF)을 결합하여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 바,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패널(P)은 그 전후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즉 마스크 프레임(MF)이 4핀 지지방식으로 패널(P)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별 문제 없으나, 도시한 바와같이 3핀 지지방식으로 지지될 경우 패널(P)의 전후가 뒤바뀌면 마스크 프레임(MF)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그 방향을 정확히 설정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같이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패널(P)의 방향을 설정해 주는 별다른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못해, 마스크 프레임(MF)을 결합하기 직전 작업자가 일일이 투입된 패널(P)의 방향을 검사하여 교정하고 있다. 이에따라 별도의 작업인원을 검사포지션에 고정적으로 배치하여야 할 뿐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잡하여 노광공정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력으로 방향을 설정해 주게 되므로 자칫 패널(P)의 방향이 뒤바뀐 채로 마스크 프레임(MF)이 결합될 우려 또한 매우 많았으며, 이에따라 형광면 제조불량이 야기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패널의 방향을 자동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해 줄수 있는 패널 방향 설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패널 방향 설정장치는 컨베이어를 타고 노광공정으로 이송되는 패널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패널을 컨베이어에서 분리시켜 지지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를 소정각도 만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여 액츄에이터에 소정의 부암(負壓)이 공급되어 패널을 흡착하는 진공패드(vacuum pad)가 구비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패널의 방향을 자동으로 정확히 설정해 줄수 있게되므로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면 제조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패널 방향 설정장치는 마스크 프레임(제1도의 MF)이 3핀 지지방식으로 지지되는 패널(P)의 전후 방향을 설정해 주게된다. 컨베이어(conveyer; C)의 하부에 이를 타고 노광공정으로 이송되는 패널(P)의 전후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感知 sensor; 10)가 설치되는데, 이는 패널(P)의 장변측 스터드 핀(S)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이 감지센서(10)는 자기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10)는 도시하지 않은 컨베이어(C)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감지결과에 따라 컨베이어(C)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킨다.
패널(P)의 진행 방향으로 감지센서(10)를 지나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컨베이어(C)에는 지지브라켓(support bracket; 1)이 설치된다. 지지브라켓(1)의 하부에는 컨베이어(C)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액츄에이터(actuator; 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의 작동로드(rod; 2a)는 소정의 부압이 공급되어 컨베이어(C)상의 패널(P)을 흡착하는 진공패드(3)가 구비된다. 한편 지지브라켓(1)의 일측에는 액츄에이터(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drive motor; 5)가 설치되어 이와 전동결합된다.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5)의 회전축(5a)에 원동풀리(6)를 설치하고 액츄에이터(2)에 구비된 종동기어(4)와 이맞물림되는 원동기어(7)에 종동풀리(8)를 동축으로 설치하여, 이들을 벨트(belt; 9)로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동을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3도에서, 본 고안 방향 설정장치는 컨베이어(C)의 A지점에서 감지센서(제2도의 10)가 패널(P)의 방향을 감지하여, 그 방향이 반대이면 B지점에서 컨베이어(C)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패널(P)의 방향을 반전시킨 뒤 노광공정으로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을 기초로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살펴본다. 내면에 형광면 소재가 도포 건조된 패널(P)이 컨베이어(C)를 타고 노광공정으로 이송되면, 감지센서(10)가 패널(P)의 장변측 스터드핀(S)의 유무를 감지한다. 감지결과, 예를들어 스터드 핀(S)이 감지되지 않으면 그대로 통과시키고, 스터드 핀(S)이 감지되면 제3도의 B지점에서 컨베이어(C)의 작동이 정지된다.
다음 제4a도와 같이 액츄에이터(2)의 작동로드(2a)가 하강하여 진공패드(3)가 패널(P)의 페이스(face)에 접촉하고, 이에 부압이 공급되어 패널(P)을 흡착한 뒤, b도와 같이 그 작동로드(2a)가 상승하여 패널(P)을 컨베이어(C)에서 분리시킨다. 이어서 구동모터(5)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원동풀리(6)→벨트(9)→종동풀리(8)→원동기어(7)→종동기어(4)를 통해 액츄에이터(2)를 소정각도, 예컨대 180°회전시킨다.
이상태에서 c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액츄에이터(2)의 작동로드(2a)가 하강하여 패널(P)을 컨베이어(C)상에 안착시킨 뒤, 진공패드(3)의 부압을 해제시키고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그 작동로드(2a)가 상승하여 진공패드(3)를 패널(P)에서 분리한다. 그러면 감지센서(10)에 스터드 핀(S)이 감지되지 않게되므로 컨베이어(C)가 작동을 개시하여 패널(P)을 이송시킨다. 이와동시에 구동모터(5)가 초기상태로 되돌아가 다음 동작시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노광공정으로 투입되는 3핀 지지방식 패널의 전후 방향을 자동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인원 절감 및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면 제조불량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컨베이어(C)를 타고 노광공정으로 이송되는 패널(P)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와, 상기 패널(P)을 상기 컨베이어(C)에서 분리시켜 지지하는 액츄에이터(2)와, 상기 액츄에이터(2)를 소정각도 만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방향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에 소정의 부압이 공급되어 상기 패널(P)을 흡착하는 진공패드(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방향 설정 장치.
  3. 상기 감지센서(10)가 상기 패널(P)의 장변측 스터드 핀(S)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방향 설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이 3핀 지지방식으로 마스크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방향 설정장치.
KR2019940025934U 1994-09-30 1994-09-30 패널 방향 설정장치 KR200147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34U KR200147975Y1 (ko) 1994-09-30 1994-09-30 패널 방향 설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34U KR200147975Y1 (ko) 1994-09-30 1994-09-30 패널 방향 설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464U KR960012464U (ko) 1996-04-17
KR200147975Y1 true KR200147975Y1 (ko) 1999-07-01

Family

ID=1939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934U KR200147975Y1 (ko) 1994-09-30 1994-09-30 패널 방향 설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9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36B1 (ko) * 2007-06-12 2009-02-13 엔디플로어 주식회사 판재 위치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464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921B2 (en) Circuit-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circuit-component mounting system
JP2503082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733499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3398109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S63503168A (ja) 自動印刷配線板結像装置
KR200147975Y1 (ko) 패널 방향 설정장치
KR850001196B1 (ko) 패널과 샤도우마스크의 반송장치
US1080423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conductive ball
JP2011124607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US10804240B2 (en) Method of mounting conductive ball
JP2007036162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2120932A (ja) 物品供給装置の方向矯正機構
JP3737922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757558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S6037798Y2 (ja) パネルとシヤドウマスクの組立状態検出装置
WO1998029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shadow mask
CN109592407A (zh) Pcb板自动清洁与检测设备
KR930007976Y1 (ko)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검사장치
JPH10167240A (ja) ラベル貼付け装置
KR0122364Y1 (ko) 판넬 연마기의 자동 정렬장치
JPH07212087A (ja) 部品保持装置及び部品保持方法
JPS63140546A (ja) 露光装置
JP2507364B2 (ja) シヤドウマスク構体の分離装置
JP2003179400A (ja) 電子部品検出装置
JPH02222200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