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98Y1 -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98Y1
KR200146798Y1 KR2019940033231U KR19940033231U KR200146798Y1 KR 200146798 Y1 KR200146798 Y1 KR 200146798Y1 KR 2019940033231 U KR2019940033231 U KR 2019940033231U KR 19940033231 U KR19940033231 U KR 19940033231U KR 200146798 Y1 KR200146798 Y1 KR 200146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hift lever
engine speed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866U (ko
Inventor
윤종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3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98Y1/ko
Publication of KR960021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에 변화되는 엔진회전수 조향각 및 변속레버위치등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사고 발생시에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회전수(RPM)게이지에는 엔진회전수감지부를 설치하여 가변하는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고, 조향축에는 조향각감지센서부를 설치하여 가변하는 조향각을 감지하며, 또한 변속레버에는 변속레버위치감지센서부를 설치한 후 변속레버위치를 감지하여 각각의 감지센서부로 부터 감지된 변화량을 마그네틱테이프에 기록하므로서, 주행중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상황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PM게이지 20,20a20b,20c : 접촉점
30 : 주행상태기록부 34 : 조향각감지센서부
50 : 마그네틱테이프 56 : 변속레버
60 : 배터리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에 변화되는 엔진회전수 조향각 및 변속레버위치등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사고 발생시에 정확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급속한 기술발달 및 생활여건의 개선등에 의해 차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는 심한 교통체증 및 과속으로 인한 추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사고발생시에 신속힌 사고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양측의 의견대립으로 인한 사고해결의 지연으로 더욱 심한 교통난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고발생시에 증거 및 목격자 확보가 되어 있지 않으면 피해자가 오히려 사고발생자로 둔갑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상태를 마그네틱테이프에 기록하므로서 교통체증 및 과속으로 인한 차량의 추돌사고시 정확한 사고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회전수(RPM)게이지에 장착되어 엔진회전수(RPM)의 변화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감지부와, 차량의 조향축에 장착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감지부와, 차량의 수동식 변속레버에 장착되어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위치감지부와, 상기 엔진회전수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1자장발생부와, 상기 조향각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2자장발생부와, 상기 변속레버위치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3자장발생부와, 상기 제1,2,3 자장발생부에 접속되지며 각각의 주행변환 상태를 마그네틱테이프에 기록하는 주행상태 기록부와, 상기 주행상태 기록부와 접촉하여 주행상태가 기록되어지는 마그네틱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엔진회전수(RPM)를 표시하는 RPM게이지(10)에서 엔진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회전하여 엔진회전수를 지시하는 지시로드(12)의 하단면에는 지시로드(12)와 일체로 접촉로드(14)를 장착하고, 상기 지시로드축(16)을 중심으로 지시로드(12)와 접촉로드(14)사이에 위치하는 게이지패널(18)의 원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저항값을 다르게한 접촉점(20)을 구비시켜 접촉로드(14)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 엔진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지시로드(12)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지시로드(12)와 일체로 장착된 접촉로드(14)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접촉로드(14)가 회전하게 되면 게이지패널(18)의 원주면에 구비된 접촉점(20)과 상호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접촉점(20)에 접촉된 제1자장발생부(22)에는 각 위치변화에 따른 다른 전류값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1자장발생부(22)에서는 인가되는 전류값에 해당되는 자장을 발생시켜 주행상태기록부(30)에 인가시키므로서 마그네틱테이프(50)에 현재의 엔진회전수(RPM)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조향축(32)에는 조향축(32)의 회전을 감지하는 조향각 감지센서부(34)를 체인(chair)(36)으로 상호 연결시켜 조향축(32)의 회전시에 체인(36)에 의해 조향각감지센서부(34)의 지시단자(38)가 회전하게 된다.즉, 상기 조향감지센서부(34)는 체인(36)에 의해 조향축(32)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지시단자(38)와 상기 지시단자(38)를 중심으로 하는 원판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플레이트(40)의 원주면에는 지시단자(38)와 접촉하는 접촉점(20a)을 일정간격으로 좌,우에 구비시키고, 상기 접촉점(20a)은 상호 저항값이 다르게 하여 조향축(32)의 좌,우 회전을 감지하게 하였다.
따라서 조향축(32)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36)에 의해 지시단자(38)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시단자(38)가 회전하면 원판플레이트(40)의 접촉점(20a)과 지시단자(38)가 접촉하게 되어 제2자장발생부(42)에 가변되는 전류값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2자장발생부(42)에서는 인가되는 전류값에 해당되는 자장을 발생시켜 주행상태기록부(30)에 자장을 인가시켜 마그네틱테이프(50)에 현재의 조향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변속레버(도시안됨)이 변속레버축(52)에는 접촉점(20b)을 구비시켜 배터리(60)에 접속시키고, 상기 변속레버가 이동하는 변속레버가이드부(56)의 각 단계에 해당되는 각각의 홈(58)에는 제3자장발생부(62)에 접속된 접촉점(20c)이 착설되어 변속레버축(52)의 접촉점(20b)과 상호접촉하게 된다.
상기 변속레버가이드부(56)에 착설된 각 접점은 각 단계별로 저항값을 달리하여 제3자장발생부(62)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다르게 되어 제3자장 발생부(62)에서 발생되는 자장의 세기가 다르게 된다.
상기 제3자장발생부(62)에서 발생된 자장은 주행상태기록부(30)에 인가되어 마그네틱테이프(50)에 해당되는 변속위치를 기록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회전수(RPM)게이지에는 엔진회전수감지부를 설치하여 가변하는 엔진회전수를 감지하고, 조향축에는 조향각감지센서부를 설치하여 가변하는 조향각을 감지하며, 또한 변속레버에는 변속레버위치감지센서부를 설치한 후 변속레버위치를 감지하여 각각의 감지센서부로 부터 감지된 변화량을 마그네틱테이프에 기록하므로서, 주행중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상황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엔진회전수(RPM)게이지에 장착되어 엔진회전수(RPM)의 변화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감지부와, 차량의 조향축에 장착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감지부와, 차량이 수동식 변속레버에 장착되어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위치감지부와, 상기 엔진회전수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1자장발생부와, 상기 조향각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2자장발생부와, 상기 변속레버위치감지부에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자장을 발생시키는 제3자장발생부와, 상기 제1,2,3 자장발생부에 접속되어 각각의 주행변환 상태를 마그네틱테이프에 기록하는 주행상태 기록부와, 상기 주행상태 기록부와 접촉하여 주행상태가 기록되어지는 마그네틱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KR2019940033231U 1994-12-08 1994-12-08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KR200146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231U KR200146798Y1 (ko) 1994-12-08 1994-12-08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231U KR200146798Y1 (ko) 1994-12-08 1994-12-08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866U KR960021866U (ko) 1996-07-20
KR200146798Y1 true KR200146798Y1 (ko) 1999-06-15

Family

ID=1940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231U KR200146798Y1 (ko) 1994-12-08 1994-12-08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866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663B (zh) 内置内轮型电动机的带有传感器的车轴组件
US5320076A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accelerator pedal and/or a power-determining elemen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KR101491391B1 (ko) 자동차의 주행 경로 이탈 감지 방법
US4409832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indicating an insufficient level of automatic fluid
US6082171A (en) Steering angle sensor device for motor vehicles
KR200146798Y1 (ko)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CN112319612B (zh) 一种基于视觉传感器的汽车转向自由行程测量方法
KR0154271B1 (ko) 차량의 거동 감지장치
JP4557432B2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への燃料の追加を検出する装置
JPH02128961A (ja) 自動車用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方法
JP2556644B2 (ja) 方向に依存するセンサと車両の走行方向との対応関係を自動的に検出する方法
JPH0748407Y2 (ja) タイヤ圧警報装置
JP2727612B2 (ja) 車速信号異常検出方法
KR100358486B1 (ko) 차륜의 에어갭 진단방법
CN211918867U (zh) 一种锁系统和车辆
KR19980045119A (ko) 차량의 휠 스피드 감지장치
KR100300725B1 (ko) 상용차용 휠 모션 센서 장착 지그
KR0149337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1822B1 (ko) 차량회전용 턴테이블 제어방법
KR0180588B1 (ko) 차량의 클러치 마모 경고장치와 방법
JPH07117365B2 (ja) 操舵角検出器
TH6854B (th) อุปกรณ์ขาหยั่งอัตโนมัติสำหรับยานพาหนะสองล้อ
KR0124039Y1 (ko) 자동차의 조향 감지장치
KR20000003070A (ko) 차륜속도센서의 이상상태 판단방법
JPH04221737A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