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463Y1 -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463Y1
KR200146463Y1 KR2019960034306U KR19960034306U KR200146463Y1 KR 200146463 Y1 KR200146463 Y1 KR 200146463Y1 KR 2019960034306 U KR2019960034306 U KR 2019960034306U KR 19960034306 U KR19960034306 U KR 19960034306U KR 200146463 Y1 KR200146463 Y1 KR 200146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master cylinder
piston
cylind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033U (ko
Inventor
우제양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34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4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being distinctly separate from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025/081Hydraulic devices that initiate movement of pistons in slave cylinders for actuating clutches, i.e.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Clutch)의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의 단속작용을 하는 클러치 본체(15)와 운전석에서 클러치(40)를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1)과 상기 클러치 페달(1)과 연결 형성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120)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클러치 포크(13)를 전후진 시키는 릴리스 실린더(9)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20)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탄성스프링(129)에 지지하는 피스톤(131)과 상기 피스톤(131)의 외주면에 경사면(170)을 구비한 돌출턱(137)과 상기 돌출턱(137)과 일정의 간격을 갖는 지지턱(139)과 상기 돌출턱(137)과 지지턱(139)의 사이에 산과 골을 형성한 밀착면(150)과 상기 밀착면(150)에 삽입하는 씰(160)을 형성하여 상기 씰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씰이 피스톤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성을 향상시켜 실린더의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의 누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Clutch)의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Clutch)의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돌출턱에 경사면을 주어 씰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하고, 또한 씰이 결합한 피스톤의 외주면에 산과 골을 형성하여 상기 씰이 피스톤에 밀착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실린더의 장기간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의 누유를 사전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클러치의마스터 실린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는 원동기로 사용되고 있는 내연기관(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에 부하를 건 상태에서는 시동할 수가 없고, 또한 변속기의 기어 변환도 무부하로 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발진시에는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구동바퀴에 전달해야 하는 등의 이유 때문에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에 대하여 임의로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의 역할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는 제2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력의 단속작용을 하는 클러치 본체(15)와 운전석에서 클러치(4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구(1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조작기구(1)는 스프링(3)에 지지되어 전후 회전하는 클러치 페달(1)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페달(1)의 상부 일측에는 피스톤 로드(21)와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20)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20)의 일면에는 플렉시블 호스(11)와 파이프(7)로 연결된 릴리스 실린더(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 실린더(9)는 클러치 포크(13)와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포크(13)는 클러치 본체(15)와 연결 형성된다.
상기에서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의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액을 보급하기 위한 리저버(23)가 형성되고 실린더(20)의 내부 일측에는 푸시로드(Push rod)(25)가 가이드(27)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7)는 탄성스프링(29)에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29)의 끝단에는 피스톤(31)의돌출판(35)이 밀착하고 상기의 피스톤(31)은 내측으로 구멍(30)이 형성되어 푸시로드(25)의 가이드 봉(30)이 삽입되며, 상기의 가이드 봉(30)은 캡(41)에 의해 피스톤(31)의 구멍(33)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31)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돌출턱(37)과 지지턱(39)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37)과 지지턱(39)사이에 씰(6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는 클러치 페달(3)을 밟음으로서, 피스톤 로드(21)가 전진하여 마스터 실린더(20)에 유압을 발생하면 그 유압을 플렉시블 호스(11)와 파이프(7)를 통하여 릴리스 실린더(9)로 안내하고 클러치포크(13)를 작동시켜 클러치 본체(15)에 전달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1)을 놓아주면 피스톤(31)은 탄성 스프링(29)의 힘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클러치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턱과 돌출턱의 틈새에 형성된 밀착면에 씰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근로의욕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스톤의 돌출턱에 경사면을 주어 씰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밀착면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씰이 피스톤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성을 향상시켜 실린더의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의 누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의마스터 실린더 구조는 동력의 단속작용을 하는 클러치 본체와 운전석에서 클러치를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과 상기 클러치 페달과 연결 형성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연결되어 클러치 포크를 전후진 시키는 릴리스 실린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스프링에 지지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구비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과 일정의 간격을 갖는 지지턱과 상기 돌출턱과 지지턱의 사이에 산과 골을 형성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에 삽입하는 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3도는 종래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마스터 실린더 125 : 푸시로드
129 : 탄성스프링 131 : 피스톤
137 : 돌출턱 139 : 지지턱
150 : 밀착면 160 : 씰
170 : 경사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클러치마스터 실린더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부에는 액을 보급하기 위한 리저버(23)가 형성하고 실린더(20)의 내부 일측에는 푸시로드(Push rod)(125)가 가이드(27)의 내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27)는 탄성스프링(129)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129)의 일측 끝단에는 피스톤(131)의 지지턱(139)이 밀착하고 상기의 피스톤(131)은 내측으로 구멍(133)이 형성하여 푸시로드(125)의 가이드 봉(130)을 삽입하며, 상기의 가이드 봉(130)은 캡(141)에 의해 피스톤(131)의 구멍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피스톤(131)의 외주면에는 푸시로드(125)의 가이드 봉(13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170)을 구비한 돌출턱(137)이 형성하고 상기 돌출턱(137)과 일정의 간격을 갖고 지지턱(139)이 형성하며 상기 돌출턱(137)과 지지턱(139)의 사이에 산과 골을 형성한 밀착면(150)이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러치 페달(1)을 밟으면 피스톤 로드(21)가 전진하여 마스터 실린더(120)에 유압을 발생하고 그 유압을 플렉시블 호스(11)와 파이프(7)를 통하여 릴리스 실린더(9)로 안내하여 클러치포크(13)를 작동시켜 클러치 본체(15)에 형성된 클러치 디스크(미도시)의 동력단속을 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1)을 놓아주면 피스톤(131)은 탄성스프링(129)의 힘으로 즉시 되돌아가기 시작하지만, 파이프(7) 안의 액은 점성이나 관성이 있기 때문에 피스톤(131)이 되돌아가는 속도에 따르지 못해 피스톤(131) 내부의 유압이 저하하므로 탱크내의 액이 실린더(120) 내로 흡입되어 피스톤(131)의 보구기작용을 빠르게 한다.
또한 피스톤(131)이 완전히 되돌아가려면 리저버(23)를 통하여 릴리스 실린더(9)로 보내진 액은 다시 리저버(23)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구조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한 돌출턱에 경사면을 주어 씰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도한 밀착면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씰이 피스톤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성을 향상시켜 실린더의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의 누유방지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피스톤의 돌출턱에 경사면을 주어 씰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밀착면에 골과 산을 형성하여 씰이 피스톤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성을 향상시켜 실린더의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의 누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동력의 단속작용을 하는 클러치 본체(15)와 운전석에서 클러치(40)를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1)과 상기 클러치 페달(1)과 연결 형성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120)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클러치 포크(13)를 전후진 시키는 릴리스 실린더(9)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20)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탄성스프링(129)에 지지하는 피스톤(131)과 상기 피스톤(131)의 외주면에 경사면(170)을 구비한 돌출턱(137)과 상기 돌출턱(137)과 일정의 간격을 갖는 지지턱(139)과 상기 돌출턱(137)과 지지턱(139)의 사이에 산과 골을 형성한 밀착면(150)과 상기 밀착면(150)에 삽입하는 씰(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구조.
KR2019960034306U 1996-10-18 1996-10-18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KR200146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06U KR200146463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306U KR200146463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33U KR19980021033U (ko) 1998-07-15
KR200146463Y1 true KR200146463Y1 (ko) 1999-06-15

Family

ID=194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306U KR200146463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4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33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6463Y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구조
KR100223476B1 (ko) 클러치 유압계의 맥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KR20080055151A (ko) 자동차의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및 클러치 조작 시스템
KR100229448B1 (ko) 유압식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
KR970003892Y1 (ko) 자동차 유압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KR100235715B1 (ko) 단접점 조정식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제어기구
KR200146465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구조
KR100254359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부스터
KR970003889Y1 (ko) 자동차 유압 클러치의 마스터 실린더
KR100362410B1 (ko) 자동차의브레이크와클러치작동구조
KR19980054520U (ko) 클러치 어셈블리의 마스터 실린더
KR100283236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의 진동 흡수 장치
KR200146464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구조
KR19980052327U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요크
JP2557889Y2 (ja) クラッチマスターシリンダ
KR100524051B1 (ko) 자동변속기의 브레이크 리테이너 설치구조
KR100783429B1 (ko) 클러치 페달의 답력 저감을 위한 릴리즈 실린더
KR100199742B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마스터실린더
KR19980040213A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KR20010002053U (ko)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누유 방지장치
KR19980052328U (ko)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KR19980017069A (ko) 자동차의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힌지 결합 구조
KR19980061139A (ko) 클러치 페달 장착구조
KR19980050691U (ko) 클러치 릴리즈 실린더의 컵 구조
KR19980052325U (ko) 클러치 압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