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204Y1 - 세면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204Y1
KR200146204Y1 KR2019960051211U KR19960051211U KR200146204Y1 KR 200146204 Y1 KR200146204 Y1 KR 200146204Y1 KR 2019960051211 U KR2019960051211 U KR 2019960051211U KR 19960051211 U KR19960051211 U KR 19960051211U KR 200146204 Y1 KR200146204 Y1 KR 20014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valve
wire
coupl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150U (ko
Inventor
최수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우
대림통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대림통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2019960051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2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측에 테일 피스가 접속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된 드레인 바디와, 상기 드레인 바디내에 승강 가능케 삽입된 배수 밸브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밸브개폐수단으로 와이어를 통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발 설치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배수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배수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버튼의 조작력이 와이어에 의해 전달되어 배수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어떤 형태의 세면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배수 밸브의 분리가 간편하여 소제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면기의 배수장치
본 고안은 세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면기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밸브가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된 세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에는 세면시 수도꼭지로부터 급수되는 온수 및 냉수를 저장하고, 세면 후에는 배수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폐쇄 및 개방되는 배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세면기의 배수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일 피스(1)의 상측에는 킥 박스(2)가 체결되고, 상기 킥 박스(2)의 상측에는 록 너트(3) 및 플랜지 너트(4)가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 너트(4)에는 가스켓(5)을 개재하여 드레인 바디(6)가 체결되고, 상기 킥 박스(2)의 일측방에는 손잡이(7)의 조작에 따라 승강되는 리프트 로드(8)의 하단에는 킥 레버(9)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킥 레버(9)의 선단에는 상기 드레인 바디(6)를 개폐시키는 플러그(1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잡이(7)를 조작하여 리프트 로드(8)를 상승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킥 레버(9)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킥 레버(9)의 선단에 결합된 플러그(10)는 하강하여 드레인 바디(6)를 폐쇄시키게 되어 세면기내에 물을 저류시키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세면기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7)를 조작하여 리프트 로드(8)를 하강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킥 레버(9)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선단에 결합된 플러그(10)가 상승하여 드레인 바디(6)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면기 내의 물은 드레인 바디(6) 및 테일 피스(1)를 통하여 배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세면기의 형태에 따라서 킥 레버와 리프트 로드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킥 레버와 리프트 로드의 결합 상태가 이완될 경우에는 플러그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플러그를 소제할 경우에는 다수의 부품들을 분리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플러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어떤 형태의 세면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수 밸브의 소제가 편리한 세면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의 배수장치는 하측에 테일 피스가 접속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된 드레인 바디와, 상기 드레인 바디 내에 승강 가능케 삽입된 배수 밸브와, 상기 바디 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밸브개폐수단으로 와이어를 통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발 설치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세면기의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의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바디 22 : 드레인 바디
32 : 테일 피스 34 : 버튼
36 : 배수 밸브 38 : 고정축
40 : 가이드 42 : 와이어
50 : 밸브개폐수단 54 : 케이스
54a : 걸림부 54b : 안내홈
56 : 승강축 56a : 스토퍼
58 : 레칫 휠 60 : 가동 레칫
60a : 레칫부 68 : 작동축
72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의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부호 (20)은 바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바디(20)의 상측에는 드레인 바디(22)가 체결되고, 상기 드레인 바디(22)의 외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면기와의 실링을 행하는 가스켓(24)(26) 및 상기 가스켓(24)(26)이 세면기에 밀착되도록 하는 플랜지 너트(28), 그리고, 상기 바디(22)를 고정시키는 고정 너트(30)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20)의 하측에는 테일 피스(3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바디(22)의 상측에는 버튼(34)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수 밸브(36)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 밸브(36)의 저면에는 고정축(38)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38)에는 배수되는 세면수중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함과 동시에 고정축(38)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20)에는 상기 버튼(34)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42)를 통하여 전달되는 조작력으로 상기 배수 밸브(36)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개폐수단(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2)는 코일 형상의 금속 와이어나 일직선상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개폐수단(50)은 바디(20)의 체결된 커버(52)와, 상기 커버(52)의 하측에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부(54a) 및 안내홈(54b)을 형성시킨 케이스(54)와, 상기 커버(52)내에 관통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축(38)의 하단에 고정 너트(30a)로써 체결되고 하단은 케이스(54)내에 위치되는 스토퍼(56a)가 형성된 승강축(56)과, 상기 승강축(56)의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42)의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배수 밸브(36)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레칫 휠(5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4)의 내측에는 상단면에 상기 레칫 휠(58)과 간헐적으로 맞물리는 레칫부(60a)를 가진 가동 레칫(60)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레칫(60)의 저면에는 상기 버튼(34)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되는 와이어(42)가 연결핀(62)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62)은 케이스(54)의 저면에 결합된 중공 부재(64)내에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 부재(64)에는 내부의 와이어(42)가 원활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튜브(6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버튼(34)은 작동축(68)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68)은 세면기에 결합된 하우징(70)내에서 하단이 스프링(72)에 의해 탄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68)의 하단에는 와이어(4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70)의 하측에는 와이어(42)가 관통되고 튜브(66)의 타단이 접속되는 중공 부재(64a)가 체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4)는 배수 밸브(3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나사이고, 부호 (76)은 배수 밸브(36)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의 배수장치는 세면기내에 냉수 또는 온수가 저류된 상태에서 세면이 완료되면, 버튼(34)을 누르는 하번의 조작으로 드레인 바디(22)내에 폐쇄되어 있던 배수 밸브(36)가 상승하여 세면수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버튼(34)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강하는 작동축(68)이 스프링(72)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작동축(68)의 하강 작동에 따라 이와 연결된 와이어(4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그 조작력을 밸브개폐수단(5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2)에 의해 버튼(34)의 조작력이 밸브개폐수단(50)으로 전달되면 연결핀(62) 및 가동 레칫(60)이 상승함으로써 상기 가동 레칫(60)의 레칫부(60a)에 맞물려져 있던 레칫 휠(58)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레칫 휠(58)의 상단에 스토퍼(56a)가 걸려짐으로써 승강축(56)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승강축(56)의 상승에 의해 그 상단에 연결된 고정축(56) 및 배수 밸브(36)가 상승함으로써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밸브(36)는 드레인 바디(22)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 레칫(60)의 작동에 따라 상승된 레칫 휠(58)은 안내홈(54a)을 따라서 상승하여 케이스(54)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54a)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승강축(56)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수 밸브(36)는 상승되어 드레인 바디(22)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면수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버튼(34)의 조작력을 밸브개폐수단(50)으로 전달시킨 와이어는 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축(68)이 상승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 바디(22)내로 배수되는 세면수는 바디(20) 및 테일 피스(32)를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세면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 세면수를 저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상기 버튼(34)을 누르면 배수 밸브(36)가 드레인 바디(22)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버튼(34)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강하는 작동축(68)이 스프링(72)을 압축시키면서 와이어(42)를 통하여 그 조작력을 밸브개폐수단(50)으로 전달하면 가동 레칫(60)이 상승하면서 레칫 휠(58) 및 승강축(56)을 상승시키고, 다시 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해 와이어(42)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자중에 의해 레칫 휠(58)이 케이스(54)의 안내홈(54a)내에 안착됨과 동시에 승강축(56) 및 배수 밸브(36)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배수 밸브(36)는 드레인 바디(22)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내에 형성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을 소제하는 경우에는 버튼(36)을 누른 상태에서 배수 밸브(36)가 드레인 바디(22)의 상측으로 상승되는데, 이때 상기 드레인 바디(22)를 잡고 당기면 가이드(40)가 드레인 바디(22)의 상측으로 분리됨으로써 간편하게 소제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 밸브(36)의 개폐 조작은 버튼(34)을 누르는 것으로 개방 및 폐쇄가 교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은 힘으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면기의 배수장치에서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배수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배수 밸브의 개폐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버튼의 조작력이 와이어에 의해 전달되어 배수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어떤 형태의 세면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배수 밸브의 분리가 간편하여 소제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측에 테일 피스가 접속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된 드레인 바디와, 상기 드레인 바디 내에 승강 가능케 삽입된 배수 밸브와, 상기 바디 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밸브개폐수단으로 와이어를 통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발 설치된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수단은 버튼의 작동에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 레칫과, 상기 배수 밸브와 연결된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 레칫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레칫 휠과, 상기 바디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칫 휠이 위치되는 걸림부 및 안내홈을 형성시킨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 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칫은 레칫 휠과 맞물리는 레칫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 배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밸브는 저면에 상기 승강축과 연결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에는 세면수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가이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 배수장치.
KR2019960051211U 1996-12-19 1996-12-19 세면기의 배수장치 KR20014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11U KR200146204Y1 (ko) 1996-12-19 1996-12-19 세면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11U KR200146204Y1 (ko) 1996-12-19 1996-12-19 세면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50U KR19980038150U (ko) 1998-09-15
KR200146204Y1 true KR200146204Y1 (ko) 1999-10-15

Family

ID=1948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211U KR200146204Y1 (ko) 1996-12-19 1996-12-19 세면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2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5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8464C (en) Solenoid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US1770639A (en) Waste-control device for washbasins, sinks, or tubs
US20070044231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US2063399A (en) Waste and overflow for bathtubs and basins
KR200146204Y1 (ko) 세면기의 배수장치
EP2845957A1 (en) Outlet device for a sink
JP3840625B2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DE20312629U1 (de) Sanitäre Wasch- oder Spültischgarnitur
CN103924647B (zh) 一种排水阀启动开关以及座便器冲水装置和冲水方法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JPH10183712A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CN110886348A (zh) 一种用于水槽出水和排水控制的集成控制开关
JP3351977B2 (ja) 排水栓
JP7475606B2 (ja) 配管構造
JP7448899B2 (ja) 排水栓装置
CN211037173U (zh) 一种水槽下水器排水口的开合控制机构
KR200321177Y1 (ko) 세면기 배수 장치
JPS6121656Y2 (ko)
KR200193972Y1 (ko) 세면기용 자동폽업장치
KR200229612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171734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243696Y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US2335129A (en) Self-closing plug and drain assembly for washbasins, sinks, and the like
KR101845836B1 (ko)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