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36B1 -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 Google Patents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836B1
KR101845836B1 KR1020160155055A KR20160155055A KR101845836B1 KR 101845836 B1 KR101845836 B1 KR 101845836B1 KR 1020160155055 A KR1020160155055 A KR 1020160155055A KR 20160155055 A KR20160155055 A KR 20160155055A KR 101845836 B1 KR101845836 B1 KR 10184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drain pipe
water
washstan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수용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과 상기 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저수부; 및 팝업식으로 배수를 조절하는 팝업 개폐장치가 수용되는 팝업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 및 상기 수용공간은 배수구멍으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Washstand having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본 발명은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팝업 개폐장치가 세면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수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장치는 레버식 개폐장치와 팝업식 개폐장치로 나누어진다.
레버식 개폐장치는 세면대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레버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레버에 링크 연결된 배수구 덮개가 승강하면서 세면대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장기간 사용시 레버와 덮개를 연결하는 링크가 헐거워져 배수구의 개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팝업식 개폐장치는 세면대의 배수구와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배수구 덮개를 한번 가압하면 배수구가 개방되고 다시 한 번 가압하면 배수구가 밀폐되는 방식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최근 들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팝업식 개폐장치는 물을 쓰고 난 뒤 손을 넣어 누르는 방식이어서, 오염된 물에 손을 넣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세면대 사용자가 다시 손을 씻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을 씻는 과정 및 기존의 팝업식 개폐장치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톱이 개폐장치 마개 부분에 걸려서 부러지는 위험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5652호 (2015.10.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5052호 (2012.08.2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팝업식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염된 물에 손을 다시 넣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면대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저수부; 및 팝업식으로 배수를 조절하는 팝업 개폐장치가 수용되는 팝업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 및 상기 수용공간은 배수구멍으로 서로 연통된다.
상기 팝업 개폐장치는, 상부에 오버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인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상부배수관; 및 상기 상부배수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배수관과의 연결 부위가 팝업식으로 개폐되는 하부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수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은 상기 상부배수관의 내부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저수부의 저면과 측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배수관의 상단부에는 상기 팝업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에 의하면, 오염된 물에 손을 넣지 않고 손쉽게 팝업 개폐장치의 작동시킬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세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팝업 개폐장치 및 물이 고여서 지저분해 질 수 있는 부분을 세면대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세면대의 심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세면기 볼 내부의 물이 넘침을 막아주는 오버홀이 팝업 개폐장치에 포함되어 있어 손을 씻으며 발생할 수 있는 손톱 걸림으로 인한 불안감 해소와 위생적인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에 의해 저수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3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저수부(10) 및 팝업 수용공간(20)을 포함한다.
저수부(10)는 세면대의 중앙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수부(10)는 저면(11)과 측면(12)을 포함한다. 측면(12)은 저면(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팝업 개폐장치(30)는 팝업식으로 세면대의 배수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팝업 개폐장치(30)는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을 포함한다. 하부배수관(32)의 상부는 상부배수관(31)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배수관(32)과 상부배수관(31)의 연결 부위(A)는 팝업식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팝업식이라, 상부배수관(31)을 하부배수관(32)측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누르면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방되고, 다시 상부배수관(31)을 하부배수(32)측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누르면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폐쇄되어서, 상부배수관(31)을 누르는 것만으로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상부배수관(31)의 하부에는 상부배수관(31)의 둘레를 따라 마개(33)가 형성된다. 마개(33)는 하부배수관(32)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4)에 접하여,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방된 상태에서 마개(33)는 걸림턱(34)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마개(33)가 걸림턱(34)에 접함으로써,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폐된다.
상부배수관(31)의 상부에는 오버홀(31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배수관(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인 내부공간(31a)이 형성된다.
하부배수관(32)의 내부에는 하부배수관(3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32a)이 형성된다.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b)이 서로 연통된다.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은 연결 부위(A)를 통해서 팝업 수용공간(20)과 연통된다. 즉,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은 상시 연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폐됨에 따라,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이 동시에 팝업 수용공간(20)과 연통된다.
팝업 수용공간(20)은 팝업 개폐장치(3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세면대의 내부에 형성된다. 팝업 수용공간(20)이 세면대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팝업 개폐장치(30)에서 물이 고여서 지저분해질 수 있는 부분이 세면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기존의 세면대가 가지는 지저분한 부분을 세면대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세면대 보다 심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팝업 개폐장치(30)는 팝업 수용공간(20)으로부터 탈착식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팝업 수용공간(20)에서 팝업 개폐장치(30)를 분리한 후에 팝업 수용공간(2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팝업 수용공간(20)은 저수부(10)와 마찬가지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수부(10)의 일측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팝업 수용공간(20)과 저수부(10)는 배수구멍(13)으로 서로 연통된다.
배수구멍(13)은 팝업 수용공간(20)과 저수부(10)를 연통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배수구멍(13)은 저수부(10)의 저면(11)과 측면(12)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배수관(31)의 상단부에는 팝업 수용공간(20)을 덮는 덮개(35)가 연결될 수 있다. 덮개(35)는 착탈식으로 상부배수관(3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오버홀(31b)은 덮개(35)의 하측에 위치한다.
수용공간(20)의 상측 측면에는 비누저장부(41)가 형성되고, 비누저장부(41)에는 비누받침대(42)가 위치될 수 있다. 비누받침대(42)는 비누저장부(41)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서, 비누에서 떨어지는 물이 비누저장부(41)의 저면으로 떨어진다.
비누저장부(41)는 팝업 수용공간(20)과 연결되어 비누저장부(41)로 떨어지는 물은 팝업 수용공간(20)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세면대의 외부에서 비누저장부(41)로 유입되는 물은 수용공간(20)으로 흐르게 되므로, 비누저장부(41)에 물이 고이거나, 비누저장부(41)로부터 물이 넘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30)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개폐장치(50)에 의해 저수부(10)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팝업 개폐장치(30)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팝업 개폐장치(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방되고, 마개(33)가 걸림턱(3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수도꼭지에서 저수부(10)로 공급되는 물은 공급되는 물은 배수구멍(13)을 통해서 팝업 수용공간(20)으로 흐른다. 팝업 수용공간(20)으로 이동한 물은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를 통해서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저수부(10)로 공급되는 물은 마개(33)와 걸림턱(34) 사이를 통과한 후에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으로 이동한다.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으로 이동한 물은 배수구를 통해서 세면대의 외부 하수구로 배출된다.
팝업 개폐장치(30)가 개폐된 상태에서는 저수부(10)에 물이 저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수부(10)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팝업 개폐장치(30)를 폐쇄 상태로 바꾸어야 한다.
도 4에는 팝업 개폐장치(30)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팝업 개폐장치(3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가 개방되고, 마개(33)는 걸림턱(34)에 접한 상태가 된다.
수도꼭지에서 저수부(10)로 공급되는 물은 공급되는 물은 배수구멍(13)을 통해서 팝업 수용공간(13)으로 흐른다. 팝업 수용공간(13)으로 이동한 물은 상부배수관(31)과 하부배수관(32)의 연결 부위(A)를 통해서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팝업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된 물이 세면대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팝업 수용공간(20) 및 저수부(10)에 물이 저장된다.
저수부(10)에 물이 공급되면, 저수부(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상승하고, 팝업 수용공간(2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도 상승한다. 저수부(10) 내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저수부(10)의 물이 세면대 외부로 흘러넘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오버홀(31b)을 갖는 팝업 개폐장치(30)를 가짐으로써, 저수부(10)의 물이 세면대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물이 저수부(10)에서 팝업 수용공간(20)으로 이동하여, 팝업 수용공간(20)에 저장된 수면은 오버홀(31b)에 다다르게 되고, 팝업 수용공간(20)에 물이 계속 공급되면, 물이 오버홀(31b)로 들어가게 된다. 오버홀(31b)로 들어간 물은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하부배수관(32)의 내부공간(32a)을 통과한 후에 세면대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저수부(10)에 물이 계속 공급되더라도, 팝업 개폐장치(30)의 오버홀(31b)에 의해서, 저수부(10)에 저장되는 물과 팝업 수용공간(2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가 된다.
그리고, 오버홀(32b)의 높이는 저수부(10)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여, 오버홀(32b)을 통해 물이 통과될 때, 저수부(10)의 물이 세면대 외부로 넘쳐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팝업 개폐장치(30)의 개폐는 사용자가 덮개(35)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팝업 개폐장치(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5)의 윗면이 세면대의 윗면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팝업 개폐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5)가 팝업 수용공간(30)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덮개(35)의 삽입 여부에 따라 팝업 개폐장치(30)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저수부 11 저면
12 측면 13 배수구멍
20 팝업 수용공간 30 팝업 개폐장치
31 상부배수관 31a 내부공간
31b 오버홀 32 하부배수관
32a 내부공간 33 마개
34 걸림턱 35 덮개
41 비누저장부 42 비누받침대

Claims (4)

  1. 삭제
  2. 저면과 상기 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저수부(10); 및
    팝업식으로 배수를 조절하는 팝업 개폐장치(30)가 수용되는 팝업 수용공간(20)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10) 및 상기 수용공간(20)은 배수구멍(13)으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에 있어서,
    상기 팝업 개폐장치(30)는,
    상부에 오버홀(31b)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인 내부공간(31a)을 포함하는 상부배수관(31); 및
    상기 상부배수관(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배수관(31)과의 연결 부위가 팝업식으로 개폐되는 하부배수관(3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수관(3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공간(32a)은 상기 상부배수관(31)의 내부공간(31a)과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13)은 상기 저수부(10)의 저면과 측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수관(31)의 상단부에는 상기 팝업 수용공간(20)을 덮는 덮개(35)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KR1020160155055A 2016-11-21 2016-11-21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KR10184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55A KR101845836B1 (ko) 2016-11-21 2016-11-21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55A KR101845836B1 (ko) 2016-11-21 2016-11-21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836B1 true KR101845836B1 (ko) 2018-04-05

Family

ID=6197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55A KR101845836B1 (ko) 2016-11-21 2016-11-21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064A (ja) * 2001-02-23 2002-09-06 Toto Ltd 洗面器
KR101282869B1 (ko) * 2011-05-18 2013-07-05 김태경 배수밸브 및 이를 채용한 배수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064A (ja) * 2001-02-23 2002-09-06 Toto Ltd 洗面器
KR101282869B1 (ko) * 2011-05-18 2013-07-05 김태경 배수밸브 및 이를 채용한 배수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669A (en) Strainer equipped drain plug assembly
WO2017098333A3 (en) Automated animal washing systems
CN110730836A (zh) 超声波清洗装置
KR101845836B1 (ko) 팝업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세면대
CN110871197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
CN110055718B (zh) 一种台式清洗机
US2063399A (en) Waste and overflow for bathtubs and basins
KR101556145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JP6454841B2 (ja) 捕集部材を備えた排水口構造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KR20150001495U (ko) 선박의 배수장치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GB2153667A (en) Bathtub with covered recess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JP2007016434A (ja) 浴槽体及びこの浴槽体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200481661Y1 (ko) 개수구 개폐구조를 가지는 개수대용 물빠짐 장치
JP3218654U (ja) 容易に排水・止水ができる容器
JP2020036842A (ja) 洗面ボウル
KR200337619Y1 (ko) 손 운반 액체 개폐용기
JP5293048B2 (ja) 洗面装置
KR20100053955A (ko) 세면대 배수트랩용 물저장통 및 이를 구비한 세면대배수구조
EP3533942A1 (en) Washbasin pop-up valve
KR20090082655A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