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734Y1 - 세면대용 배수마개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734Y1
KR200171734Y1 KR2019990018540U KR19990018540U KR200171734Y1 KR 200171734 Y1 KR200171734 Y1 KR 200171734Y1 KR 2019990018540 U KR2019990018540 U KR 2019990018540U KR 19990018540 U KR19990018540 U KR 19990018540U KR 200171734 Y1 KR200171734 Y1 KR 200171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guide piece
needle bar
sink
filt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원
Original Assignee
심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원 filed Critical 심종원
Priority to KR2019990018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마개는 십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의 사이에 필터침봉을 설치하고 연결레버의 끝단에는 반원형의 요홈을 형성하여 배수구로 부터 쉽게 빼낼수 있도록하여 배수구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함과 이의 재 설치가 간편하도록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마개{Lavatory plug}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십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의 사이에 필터침봉을 설치하고 연결레버의 끝단에는 반원형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배수구로 부터 쉽게 빼낼수 있도록하여 배수구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96-164호에 제안된바와 같이 세면기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용수개폐콕의 손잡이 후단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시로드를 구비하고 용수개폐콕의 손잡이 일측하부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이에 슬아이드결합되며손잡이의 회동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작동을 할 수 있는 또하나의 푸시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양 푸시로드의 교호승강작동에 의하여 작동레버 및 연결레버로 연결된 배수마개가 승강하면서 배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배수캠의 연결레버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작동레버의 끝단이 결합 되어 있어 쉽게 걸림홈에서 작동레버가 탈거되는 문제점과 걸림홈에 결속되어 있는 작동레버에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이 걸려 배수구를 막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마개(500)의 하단 즉, 연결레버(510)의 끝단에 걸림공(520)을 형성시켜, 이 걸림공(520)에 작동로드(400)를 삽입 설치하여 배수마개(500)과 작동로드(400)의 결속이 쉽게 탈거되는 문제점을 보안하여지만 상기 배수마개(500)을 작동시키는 작동로드(400)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 배수구를 막는 근본적인 문제와, 작동로드(400)와 푸시로드(300)를 연결하는 연결간을 분리하여 작동로드를 배수마개으로부터 이탈시켜 청소를 하였으며, 청소후 재설치시 작동로드(400)를 배수마개(500)을 움직여 상기 걸림공(520)과 작동레버의 수평중심을 일치시켜야만 조립이 가능하여 여성과 노약자의 경우 공간이 협소한 세면대 후면에 설치된 작동로드와 푸시로드를 연결하는 연결간을 분리하기가 1차적으로 어려웠고 또한 2차적으로는 재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세면대의 배수구에 입설된 배수마개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며 또한 배수구로 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함과, 이의 재 설치가 간편하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대 상에 설치된 세면대용 배수마개에 있어서, 배수공을 개폐하는 머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이 원통형상의 연결레버 사이에 형성되되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접하는 부위에서 필터침봉이 돌설되어 형성되고 연결레버 끝단부는 반원형의 연결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마개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걸림홈과 작동로드의 다른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는 배수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4b는 필터침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마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마개 2 : 머리부
3 : 가이드편 4 : 연결로드
5 : 필터침봉 6 : 걸림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써 이에 따르면 세면대(100)에는 통상적으로 용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0)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110)의 저면에는 배수구(200)가 형성되어 있고 배수구에는 푸시로드(300)에 연결된 작동로드(400)와 결합되어 작동하는 본 고안의 배수마개(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배수마개(1)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00)를 개폐하도록 배수구와 같은 지름으로 형성된 머리부(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머리부(2)로부터 하부로는 수직되게 십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3)이 구비되고, 가이드편(3)은 원통형상을 갖는 연결레버(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이 접하는 부위에는 필터침봉(5)이 돌설되어 형성되되 상기 필터침봉(5)은 상하 2단으로 형성됨에 있어서 돌설되는 각도가 서로 대향(어긋나게)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레버(4) 끝단부는 반원형의 걸림홈(6)이 일자로 형성되되 걸림홈(6)의 형상을 십자형으로 형성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레버(4)의 끝단을 걸림홈(6)이 아닌 반구형의 걸림구(6a)를 형성시키며 작동로드(400)으로는 걸림구(6a)가 삽입되면서 걸려지도록 통공(410)을 형성한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이 접하는 부위에 돌설된 필터침봉(5)을 가이드편(3)의 면에서 돌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 사이에 형성된 필터침봉(5)을 필요에 따라서 필터침봉(5)이 돌설되어 착탈가능한 끼움부재(7)을 연결레버(4)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필터침봉(5) 대용으로 여과망(5a)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배수마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마개 작동과 동일하게 푸시로드(300)를 누르게 되면 이와 결합 구성되어 걸림홈(6)에 끼워진 작동로드(400)의 일단부가 상부로 이동되므로 상기 걸림홈(6)이 형성된 연결레버(4)를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하면 연결레버(4)이 형성된 배수마개(1) 전체가 즉, 배수마개(1)의 머리부(2)가 배수구(20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수구을 개방하게 되면 세면대(100)의 수납부(110)에 수납된 용수는 배수구(200)으로 배수며, 이때 배수되는 용수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배수되게 되면 1차적으로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 사이에 돌설된 상부의 필터침봉(5)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필터침봉(5)에 의하여 걸러지지 않이한 이물질은 하부에 형성된 필터침봉(5)에 의하여 걸러지게 되며 필터침봉(5)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200)가 막혀 있을 때에는 용수를 세면대(1)에서 버릴때와 동일하게 푸시로드(300)를 누르면 작동로드(400)에 의하야 배수마개(1)의 머리부(2)가 배수구(200)에서 돌출되게 들어올리게 되며 배수구(200)으로 부터 돌출된 머리부(2)를 사용자가 잡고 상부로 들오올리면 배수마개(1)은 용이하게 배수구(200)로 부터 빼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마개(1)이 배수구(200)로 부터 빼내어지면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이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각각의 필터침봉(5)과 작동로드(400)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수거하여 버리고 배수구(200)에 입설시키면 초기의 배수마개(1)과 같이 깨끗한 상태가 된다.
그리하면 종래의 배수마개과 같이 가이드편(3)은 배수구(200)에서 상하 운동시에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수구에 재 설치시 수직으로 입수되게 가이드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구의 상부로 부터 입설되는 배구캡(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6)에 작동로드(400)가 쉽게 끼워져 푸시로드(300)의 작동과 연동되게 결합 설치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6)을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걸림구(6a)로 대치 형성시켜 작동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통공으로 착설시킬때 ∩형의 걸림홈(6)을 사용하여 작동로드와 결합시 보다 걸림구(6a)에 가이드봉이 돌설되어 배수마개(1)이 배수구(200) 상부로 부터 끼워 설치될 때 작동로드(400)에 형성된 통공(410)을 용이하게 관통하면서 통공(410)과 걸림구(6a)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키므로서 더욱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수구(200)를 폐하기 위하여 푸시로드(300)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작동로드(400)의 일단이 하부로 이동히게 되고, 이때 배수마개(1)은 자중에 의하여 배수구(200)에서 돌출된 머리부(2)가 다시 입수되어 배수구(200)를 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침봉(5)을 가이드편(3)과 가이드편(3) 사이에 형성시키지 않고 가이드편(3)의 면에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터핌봉(5)을 여과망(5a)으로 대처하여 이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걸러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터침봉의 파손에 따른 교환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필터침봉(5)이 다수로 형성된 끼움부재(7)를 연결레버(4)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7)의 외주면에 돌설된 필터침봉(5)대신 여과의 효과가 큰 여과망(5a)으로 대처하여 필터침봉(5)보다 더욱더 이물질을 확실히 걸러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마개는 십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의 사이에 필터침봉을 설치하고 연결레버의 끝단에는 반원형의 요홈을 형성하여 배수구로 부터 쉽게 빼낼수 있도록하여 배수구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세면대의 배수구에 입설된 배수마개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며 또한 배수구로 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함과, 이의 재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세면대 상에 설치된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배수공을 개폐하는 머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편이 원통형상의 연결레버 사이에 형성되되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접하는 부위에서 필터침봉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돌설되어 형성되고 연결레버 끝단부는 반원형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침봉이 기이드편의 면에서 인접하는 가이드편쪽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침봉이 외주면에 다수로 형성된 끼움부재를 연결레버에 끼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돌출형성된 필터침봉이 여과망으로 형성된 것을 측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19990018540U 1999-09-02 1999-09-02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171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40U KR200171734Y1 (ko) 1999-09-02 1999-09-02 세면대용 배수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40U KR200171734Y1 (ko) 1999-09-02 1999-09-02 세면대용 배수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734Y1 true KR200171734Y1 (ko) 2000-03-15

Family

ID=1958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40U KR200171734Y1 (ko) 1999-09-02 1999-09-02 세면대용 배수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842A (ko) * 2015-03-25 2016-10-06 배민욱 배수구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842A (ko) * 2015-03-25 2016-10-06 배민욱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718736B1 (ko) * 2015-03-25 2017-03-22 배민욱 배수구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75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90027716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008046B1 (ko) 세면대용 배수구 마개
KR101791450B1 (ko) 배수구커버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KR101251960B1 (ko) 누름식 개폐구조용 배수트랩
KR200463052Y1 (ko) 착탈식 걸름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레버식 배수장치
US5050247A (en) Drain valve and lift rod connection
KR200171734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200044761A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1728223B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60004Y1 (ko) 이물질 여과기능을 가진 세면대용 배수밸브
KR200279912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192977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0967938B1 (ko) 탈착이 용이한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JP2010053508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0305333Y1 (ko) 세면대용 밸브어셈블리
KR200305373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200398069Y1 (ko) 청소의 편리성과 탈/부착형 물 막음장치를 구비한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