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736B1 - 배수구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736B1
KR101718736B1 KR1020150041237A KR20150041237A KR101718736B1 KR 101718736 B1 KR101718736 B1 KR 101718736B1 KR 1020150041237 A KR1020150041237 A KR 1020150041237A KR 20150041237 A KR20150041237 A KR 20150041237A KR 101718736 B1 KR101718736 B1 KR 10171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entral axis
drain
coupl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842A (ko
Inventor
배민욱
Original Assignee
배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욱 filed Critical 배민욱
Priority to KR102015004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7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수구 개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되 상기 상면 측 입구와 상기 하면 측 출구가 중심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관통 홀을 구비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마개부에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수평 연장되고,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구 개폐 장치{DRAIN PLUGS}
본 발명은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공용 화장실 등에는 세면대가 설치될 수 있다. 세면대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은 세면대에 일시 수용되어 세면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면대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면대 하부에는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세면대 배수구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다. 배수구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가 하수도관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수가 배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예를 들어 머리카락은 배수관에 일부 축적될 수 있다. 특히, 하수도관의 악취가 배수관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의 일부가 U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하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배관 작업을 통해 배수관의 U 형상 부분을 해체하여야 비로소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머리카락 배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9781호(2013. 05. 03, 세면대용 배수마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머리카락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되 상기 상면 측 입구와 상기 하면 측 출구가 중심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관통 홀을 구비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마개부에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수평 연장되고,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 홀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걸림부는 상기 제1 관통 홀과 동일한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리형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관통 홀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관통 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관통 홀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는 회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폐부의 회동에 의해 제1 관통 홀을 개방함으로써 하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1 관통 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복수 개의 걸림부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걸림부는 나선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관통 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에서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해 형성되는 하향 회전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를 세면대 배수구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관통 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관통 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를 세면대 배수구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는 마개부(100), 개폐부(200), 지지부(300) 및 복수 개의 걸림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세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00)는 세면대(20)에 형성되는 하수 배출 통로인 배수구(21)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100)는 배수구(21)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수구(21)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구(21)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마개부(100)는 배수구(21)의 단면과 동일한 직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부(100)에는 제1 관통 홀(1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110)은 마개부(100)를 상하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하수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구분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도 2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으로 본다.
제1 관통 홀(110)은 마개부(100)의 상면(101)과 하면(103)을 연결할 수 있고, 제1 관통 홀(110)의 상면(101) 측 입구(111)와 하면(103) 측 출구(113)는 중심축(105)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관통 홀(110)은 마개부(100)의 상면(101)에서 중심축(105)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결합부재(120) 및 마개부(100)의 하면(103)에서 중심축(105)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30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제1 관통 홀(11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축(105)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110)로 유입되는 하수는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해 하향 회전류를 형성할 수 있고, 하향 회전류는 나선형의 제1 관통 홀(110)을 통과하면서 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관통 홀(110)은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해 형성되는 하향 회전류와 동일한 방향의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수가 제1 관통 홀(1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향 회전류의 유동 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제1 관통 홀(11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관통 홀(110)은 중심축(105)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개부(100)에는 결합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20)는 마개부(100)의 상면(101)에서 중심축(105)을 따라 상향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재(120)는 원형 핀(pin)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부재(1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00)는 결합부재(120)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고, 결합부재(120)에 형성된 수나사에 결합되는 너트(N)에 의해 개폐부(20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마개부(100)에는 회동방지돌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회동방지돌기(130)는 마개부(1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동방지돌기(130)는 배수구(21)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 홈(23)에 결합됨으로써, 마개부(100)가 하향 회전류 또는 개폐부(200)의 회동에 동조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마개부(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200)는 중심축(105)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개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200)의 중심에는 마개부(100)의 결합부재(120)가 삽입 가능한 결합 홀(201)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1 관통 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관통 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중심축(105)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관통 홀(110)을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마개부(10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마개부(100)와 동일한 직경의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관통 홀(11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관통 홀(210)이 개폐부(200)를 상하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부(200)가 회동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관통 홀(210)이 제1 관통 홀(110)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면 제1 관통 홀(110)이 개방될 수 있고, 개폐부(200)가 회동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관통 홀(210)이 제1 관통 홀(110)과 어긋나게 배치되면 제1 관통 홀(110)이 폐쇄될 수 있다.
개폐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개폐부(200)를 회동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220)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핀(pin) 또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00)는 마개부(100)의 하면(103)에서 중심축(105)을 따라 하향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관통 홀(110)을 통과한 하수의 하향 회전류는 지지부(300)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지지부(300)에서 수평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40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걸림부(400)는 지지부(3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걸림부(400)는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걸림부(400)는 지지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복수 개의 걸림부(400)는 제1 관통 홀(110)과 동일한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관통 홀(110)을 통과하면서 생성 또는 강화된 하향 회전류가 복수 개의 걸림부(400)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하향 회전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하수와 걸림부(400)의 접촉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부(400)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걸림부(4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 돌기는 걸림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 돌기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걸림 돌기는 걸림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세척부(500)는 지지부(300)의 하단에 브래킷(B)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세척부(500)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리형 세척부(500)의 외주면은 배수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리형 세척부(500)의 외주면에는 브러시(51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세척부(500) 또는 고리형 세척부(500)의 외주면에 결합된 브러시(510)는, 사용자가 걸림부(400)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구 개폐 장치(10)를 배수구(21)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배수구(21)의 내주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부(500)는 배수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지지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향 회전류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N: 너트
B: 브래킷
10: 배수구 개폐 장치
20: 세면대
21: 배수구
100: 마개부
110: 제1 관통 홀
120: 결합부재
130: 회동방지돌기
200: 개폐부
210: 제2 관통 홀
220: 손잡이
300: 지지부
400: 걸림부
500: 세척부
510: 브러시

Claims (8)

  1. 배수구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되 상기 상면 측 입구와 상기 하면 측 출구가 중심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마개부;
    상기 마개부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관통 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관통 홀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 홀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마개부에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수평 연장되고,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홀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걸림부는 상기 제1 관통 홀과 동일한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브래킷을 통해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고리형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는 회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150041237A 2015-03-25 2015-03-25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71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37A KR101718736B1 (ko) 2015-03-25 2015-03-25 배수구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37A KR101718736B1 (ko) 2015-03-25 2015-03-25 배수구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42A KR20160114842A (ko) 2016-10-06
KR101718736B1 true KR101718736B1 (ko) 2017-03-22

Family

ID=5716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237A KR101718736B1 (ko) 2015-03-25 2015-03-25 배수구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45A (ko) * 2017-07-03 2019-01-11 김경수 배수압 저감 배수구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34Y1 (ko) * 1999-09-02 2000-03-15 심종원 세면대용 배수마개
JP2010047993A (ja) * 2008-08-22 2010-03-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そ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03U (ko) * 2009-02-03 2010-08-12 영 근 송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34Y1 (ko) * 1999-09-02 2000-03-15 심종원 세면대용 배수마개
JP2010047993A (ja) * 2008-08-22 2010-03-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そ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45A (ko) * 2017-07-03 2019-01-11 김경수 배수압 저감 배수구 개폐장치
KR101944970B1 (ko) 2017-07-03 2019-02-01 김경수 배수압 저감 배수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42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0595B2 (en) Removable hinged strainer for a pop-up drain assembly
US7625488B2 (en) Waste water strainer
RU2621262C2 (ru) Вставка с поворотной сеткой и поворотная сетка для аэраторов в сантехнических батареях
JP2009510287A (ja) 排水出口装置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NL1031027C1 (nl) Afvoersamenstel.
KR101718736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391478B1 (ko) 원터치 팝업식 배수구 개폐 장치
EP1674620A2 (en) Liquid drain and waste device, for use in tubs and plumbing fixtures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200286092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02475831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57135A (ko) 배수트랩용 이물질 걸름부재
KR200200796Y1 (ko) 배수 장치
KR200365152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이 있는 배수트랩장치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WO2007070956A1 (en) Waste outlet fitting
JP2003313914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