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126Y1 -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 Google Patents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126Y1
KR200145126Y1 KR2019960013759U KR19960013759U KR200145126Y1 KR 200145126 Y1 KR200145126 Y1 KR 200145126Y1 KR 2019960013759 U KR2019960013759 U KR 2019960013759U KR 19960013759 U KR19960013759 U KR 19960013759U KR 200145126 Y1 KR200145126 Y1 KR 200145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cylindrical body
rubber
bush
suspension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143U (ko
Inventor
배재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126Y1/ko
Publication of KR970061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126Y1/ko

Links

Landscapes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서스펜션용 부시의 강도 실험을 위해 고무의 강성을 임의로 조절하여 시험함으로써, 신차의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고,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가압부(42), (46)를 지닌 보울트(40), (44)가 삽입되며 다수의 슬릿(38)이 형성된 확장단(36), (37)을 구비한 내부 원통체(34)와, 고무(32)를 개재하여 내부 원통체(34)를 감싸고 있는 외부 원통체(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제1도는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서스펜션용 부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서스펜션 부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내부 원통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아암 12 : 쇽 업소버
30 : 외부 원통체 31 : 부시
32 : 고무 34 : 내부 원통체
36 : 확장단 38 : 슬릿
40, 44 : 보울트 42, 46 : 가압부
본 고안은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서스펜션용 부시의 강도 실험을 위해 고무의 강성을 임의로 조절하여 시험함으로써, 신차의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고,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에서는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감쇠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차감을 좋게 유지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현가장치를 지닌 차량이, 선회 하거나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차체의 기울기가 심하게 변화됨으로써,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롤링(rolling)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차체의 롤링을 감소시켜 가능한 빨리 차량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제1도와 제2도를 참고로 종래의 서스펜션용 부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2도는 종래의 서스펜션용 부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를 보면, 일단은 체결 보울트(8)에 의해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장착홈(9)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하부 아암(10)에 장착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여기에서, 쇽 업소버(12)는 댐퍼 포크(18)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19)에 삽입되며, 댐퍼 포크(18)는 서스펜션용 부시(21)를 개재하여 보울트(14)와 너트(16)에 의해 하부 아암(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다음에, 제2도에 단면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서스펜션용 부시의 구조를 보면, 충격 흡수용 고무(22)를 감싸고 있는 외부 원통체(20)와, 보울트(26)가 삽입되는 내부 원통체(24)로 이루어지며, 보울트(26)는 와셔(29)를 개재하여 너트(28)로 체결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서스펜션용 부시는 양산중인 차량 뿐만 아니라 신차의 개발시에도 고무의 탄성강도를 시험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서스펜션용 부시에서는 개발 차종마다 요구되는 부시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샘플을 제조하여 시험해야 하며, 그에 따라 개발시간이 지연되고 시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압입 보울트가 삽입되는 내부 원통체에 대수의 형성하여 고무의 강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시험함으로써 신차의 개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압부를 지닌 보울트가 삽입되며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확장단을 구비한 내부 원통체와, 고무를 개재하여 내부 원통체를 감싸고 있는 외부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제3도와 제4도를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실예에 따른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서스펜션용 부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내부 원통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의 구조를 보면, 통상 스틸로 제조되며 압입 보울트(40), (44)가 삽입되는 내부 원통체(34)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완충용 고무(32)와, 이 완충용 고무(32)를 감싸고 있는 외부 원통체(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압입 보울트(40), (44)가 삽입되는 내부 원통체(34)의 양단은 경사면을 지닌 확장단(36), (3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확장단(36), (37)에는 다수의 슬릿(제4도의 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입 보울트(40), (44)에는 상기 확장단(36), (37)과 밀척되면서 미끄럼 이동하는 가압부(42), (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압입 보울트(40), (44)를 죄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입 보울트(40), (44)에 형성된 가압부(42), (46)는 내부 원통체(34)에 형성된 확장단(36)(37)을 가압하여 고무 탄성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원통체(34)의 확장단(36), (37)에 형성된 슬릿(38)의 길이는 부시의 상, 하단으로부터 대략 경사부와 평행부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제3도의 L)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서스펜션용 부시에 있어서, 압입 보울트(40), (44)를 내부 원통체(34)에 삽입하여 죄면, 압입 보울트(40), (44)에 형성된 가압부(42), (46)는 내부 원통체(34)의 확장단(36), (37)을 밀게 되고, 그로 인해 확장단(36), (37)은 완충용 고무(32)가 가압되면서 고무의 경도가 증가되어 전체적인 부시(31)의 강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얻게된다.
반대로, 압입 보울트(40), (44)를 풀게 되면, 가압부(42), (46)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던 확장단(36), (37)이 서서히 수축되어 완충용 고무(32)가 내주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완추용 고무의 경도가 감소되어 전체적인 부시의 강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얻게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는 내부 원통체에 형성된 확장단을 이용하여 고무의 강도를 증감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부시의 강성을 조절하면서 시험할 수 있으므로, 개발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

  1. 가압부(42), (46)를 지닌 보울트(40), (44)가 삽입되며 다수의 슬릿(38)이 형성된 확장단(36), (37)을 구비한 내부 원통체(34)와, 고무(32)를 개재하여 상기 내부 원통체(34)를 감싸고 있는 외부 원통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KR2019960013759U 1996-05-30 1996-05-30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KR200145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759U KR200145126Y1 (ko) 1996-05-30 1996-05-30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759U KR200145126Y1 (ko) 1996-05-30 1996-05-30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43U KR970061143U (ko) 1997-12-10
KR200145126Y1 true KR200145126Y1 (ko) 1999-06-15

Family

ID=6092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759U KR200145126Y1 (ko) 1996-05-30 1996-05-30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1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403B1 (ko) * 2002-06-17 2005-05-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크로스멤버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43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685B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고정구조
JPS6136006A (ja) 棒状サスペンシヨン部材の緩衝連結構造
KR200145126Y1 (ko) 강성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용 부시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02936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 장착 부시 시스템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JPH0654934U (ja) ブッシュ
KR100235185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JPH0428805Y2 (ko)
KR100193516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391603B1 (ko) 차량의 스트럿 마운팅 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200149903Y1 (ko) 인터파이프형 러버부시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200209836Y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0162794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부쉬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KR19980047995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19980022191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테빌라이저 결합구조
KR19980017139U (ko) 자동차 리어댐퍼의 구조
KR19980031515U (ko) 자동차의 컨트롤 아암 설치용 부시
KR19980028530U (ko)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장착구조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