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100Y1 -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 Google Patents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100Y1
KR200145100Y1 KR2019930030939U KR930030939U KR200145100Y1 KR 200145100 Y1 KR200145100 Y1 KR 200145100Y1 KR 2019930030939 U KR2019930030939 U KR 2019930030939U KR 930030939 U KR930030939 U KR 930030939U KR 200145100 Y1 KR200145100 Y1 KR 200145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ower arm
bush
resistor
arm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61U (ko
Inventor
박병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3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100Y1/ko
Publication of KR950017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100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액체가 충진된 로워암 부시에 있어 액체의 유동시 개선된 저항체에 의해 관성저항을 향상시키고 오리피스에 의해 충격흡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항체를 전,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이 경사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넓게 함과 동시에 까칠 까칠한 와플문양을 형성하여 액체의 저항을 높이고 저항체의 일측으로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상, 하 진동에 대한 효과적인 감쇄계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제1도는 일반적으로 로워암에 설치되는 부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로워암 부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로워암 부시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로워암 부시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저항체 18 : 경사부
22 : 오리피스
본 고안은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액체가 충진된 로워암 부시에 있어 액체의 유동시 개선된 저항체에 의해 관성저항을 향상시키고 오리피스에 의해 충격흡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채 봉입형 로워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로워암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시(60)는 로워암(50)의 축(52)에 설치되어 차체의 충격흡수라는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시(60)의 형태를 보면 특별한 구조는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고무특성에 의한 차체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부시(40)는 제1도의 부시(60)와는 달리 액체를 봉입한 형태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지지부(42)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 사이에는 저항체(44)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양 지지부(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6)에 액체를 봉입하고 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하우징(48)이 조립되어 지지부(44)에 의해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며, 부시(40)의 중심부에 로워암(50)의 축(52)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봉입형 부시(40)에 의하면 액체의 유동시 저항체(44)에 의해 점성저항과 함께 관성저항을 받게 되어 감쇄계수값이 증대로 인해 감쇄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저항체(44)의 구조는 부시(40)로부터 수평부와 수직부로 된 단순형태의 저항체(44)로서, 상, 하 진동에 대한 효과적인 감쇄계수값을 얻기에 불충분하고, 더욱이 전, 후 방향의 액체저항이 작아 차체의 충격흡수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 저항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관성저항의 증대와 오리피스에 의해 감쇄계수값을 현저히 증대시켜 차체의 충격흡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항체를 전,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이 경사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넓게 함과 동시에 까칠 까칠한 와플(waffle)문양을 형성하여 액체와 저항을 높히고 저항체의 일측으로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상, 하 진동에 대한 효과적인 감쇄계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로워암 부시의 사시도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로워암 부시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의 액체 봉입형 부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 명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액체 봉합형 부시(10)는 그 양측으로 원형의 지지부(12)를 형성하되, 지지부(12)의 가운데에 수밀홈(14)을 형성하여 하우징(48)을 통해 밀폐된 지지부(12)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이와 함께 기밀성을 양호하게 하여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체16)는 전, 후 방향으로 경사부(18)를 형성하되, 이 경사부(18)는 후방으로 갈수록 더 넓은 경사면을 갖을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까칠 까칠한 와플(waffle)문양(20)을 형성하여 액체의 저항력을 높이게 하고, 저항체(16)의 상, 하에는 상부는 작고 하부는 상부보다 직경이 큰 오리피스(22)를 형성하여 상, 하 진동에 대한 감쇄효과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부시(10)의 중심부에 로워암(50) 의 축(52)을 고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브릿지 조인트 등의 전, 후 충격을 받게 되면 저항체(16)의 경사부(18)에 의해 공간부(24)에 있는 액체가 저항을 받으며 이동하여 전, 후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며, 저항체(16)에 형성된 오리피스(22)에 의해 상, 하 충격에 대한 감쇄효과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는 쇽 어브소버의 충격감쇄효과와 흡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에 의하여 종래의 감쇄계수값이 적어 노면의 잔진동 흡수(choppy ride)에 불리했던 특성을 본 고안의 저항체에 의해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전, 후 충격시에 충격감쇄 및 충격후의 여진(shake)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고, 조정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저항체를 보유한 액체 봉입형 부시에 있어서, 부시(10)의 양측으로 원형의 지지부(12)를 형성하되, 지지부(12)의 가운데에 수밀홈(14)을 형성하여 하우징(48)을 통해 밀폐된 지지부(12)에 마찰저항과 기밀성을 양호하게 하고, 상기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체(16)는 전, 후 방향으로 경사부(18)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18)와 직교되는 부분에 상부직경이 작고 하부직경이 큰 오리피스(22)를 형성하여 충격이 발생함에 따라 액체가 전, 후 또는 상, 하로 저항을 받으면서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형 로워함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8)는 후방으로 갈수록 더 넓은 경사면을 갖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8)에는 관성저항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까칠 까칠한 와플(waffle)문양(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KR2019930030939U 1993-12-30 1993-12-30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KR200145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39U KR200145100Y1 (ko) 1993-12-30 1993-12-30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39U KR200145100Y1 (ko) 1993-12-30 1993-12-30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61U KR950017461U (ko) 1995-07-20
KR200145100Y1 true KR200145100Y1 (ko) 1999-06-15

Family

ID=6091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939U KR200145100Y1 (ko) 1993-12-30 1993-12-30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1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61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7216A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JPS6165935A (ja) 液入りブツシユ型エンジンマウント
JPS62184251A (ja) 油圧式ダンパ
KR200145100Y1 (ko) 액체 봉입형 로워암 부시
US4943082A (en) Vehicle suspension mechanism
KR970069422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마운틴 스트럿 구조
KR100245215B1 (ko) 서스펜션 부시장치
CA1168675A (en) Bumper arrangement having an impact body directly or indirectly contained in a shock absorber mounting
KR100204507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970005202A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진동흡수구조
JP3693062B2 (ja) 防振装置
KR200156242Y1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JPS6318111Y2 (ko)
KR19980051251U (ko) 현가장치의 댐퍼겸용 스프링
KR0121031Y1 (ko) 자동차 엔진 장착구
JPH0212010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91602B1 (ko) 차량의 롤링 방지용 스트럿어셈블리
JPS6040365Y2 (ja) 緩衝式ドアミラ−
KR970001451Y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용 액체봉입 인슐레이터
JPH036380B2 (ko)
KR200231000Y1 (ko) 차량의 마운팅 구조
KR200141639Y1 (ko) 엔진 마운팅
KR20000060179A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200271382Y1 (ko) 엔진 러버 마운트 쉐이킹 방지와셔
KR19980061326A (ko) 자동차의 볼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