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657Y1 -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657Y1
KR200144657Y1 KR2019960039918U KR19960039918U KR200144657Y1 KR 200144657 Y1 KR200144657 Y1 KR 200144657Y1 KR 2019960039918 U KR2019960039918 U KR 2019960039918U KR 19960039918 U KR19960039918 U KR 19960039918U KR 200144657 Y1 KR200144657 Y1 KR 20014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ub
bracket
main circui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999U (ko
Inventor
방태식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60039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6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657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자 제품에 있어서, 메인 회로 기판에 입설시키는 서브 회로 기판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메인 회로 기판에 서브 회로 기판을 입설하되,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매우 견고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충격에 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메인 회로 기판상의 접속부재에 서브 회로 기판의 접속부를 꽂아 입설하되, 상기한 서브 회로 기판의 상단과 좌,우 양측단 테두리를 ㄷ자형 브라켓트가 감싼 채 메인 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회로 기판 2 : 서브 회로 기판
3 : 브라켓트 4 : 고정수단
5 : 파지수단 11 : 구멍
12 : 접속부재 21 : 접속부
31 : 횡간부 32 : 수직부
32a : 끝단 33 : 돌출부
41 : 납땜
본 고안은 각종 전자 제품에 있어서, 메인 회로 기판에 입설시키는 서브 회로 기판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품에는 각종 회로 및 부품이 집약된 메인 회로기판(1)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상기 메인 회로 기판(1)에는 개별적인 부품과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서브 회로 기판(2)이 조립된다.
즉, 제4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회로 기판(1)의 상면에 각각의 개별적인 목적을 가지고 입설되는 서브 회로 기판(2)은 그 하단의 접속부(21)를 메인 회로 기판(1)에 마련된 접속부재(12)의 사이에 꽂아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 구조는 상기한 서브 회로 기판(2)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데 비해 접속부재(12)의 높이는 매우 낮고, 또 견고히 조립되지 못하는 구조상에서 별도의 보강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제품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 매우 취약하며 파손의 위험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메인 회로 기판에 서브 회로 기판을 입설하되,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매우 견고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충격에 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메인 회로 기판상의 접속부재에 서브 회로 기판의 접속부를 꽂아 입설하되, 상기한 서브 회로 기판의 상단과 좌,우 양측단 테두리를 ㄷ자형 브라켓트가 감싼 채 메인 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메인 회로 기판(1)과, 서브 회로 기판(2), 그리고 본 고안의 브라켓트(3)를 볼 수 있다.
상기한 브라켓트(3)는 횡간부(31)와, 그 횡간부(31)로 부터 연장된 좌,우 양측의 수직부(32)로 ㄷ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트(3)의 좌,우 양측 수직부(32)의 사이는 서브 회로 기판(2)의 폭에 맞춘 것이며, 횡간부(31)의 높이는 서브 회로 기판(2)의 높이에 맞춘 것이다.
또 상기한 브라켓트(3)의 양측 수직부(32) 끝단(32a)은 메인 회로 기판(1)에 형성한 구멍(11)을 포함하는 고정수단(4)에 의해 견고히 입설된다.
즉, 메인 회로 기판(1)에는 상기한 양측 수직부(32)의 거리에 맞추어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바, 끝단(32a)을 이 구멍으로 통과시킨 후, 제2도 도면에서 보듯이 납땜(41) 부착하거나 혹은 측편으로 꺾어 메인 회로 기판(1)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고정수단(4)으로 브라켓트 자체가 튼튼하게 입설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브라켓트(3)의 횡간부(31)와 양측 수직부(32)에는 파지수단(5)이 있다.
이는 제3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브라켓트(3)의 표면을 따내면서 융기시킨 한쌍의 돌출부(33)로 이루어지며, 이때 한쌍의 돌출부(33)의 틈새는 서브 회로 기판(2)의 두께가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 두곳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브라켓트(3)의 양측 수직부(32) 끝단(32a)이 메인 회로 기판(1)의 저면으로 통과된 후, 납땜이나 꺾음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이 고정된 브라켓트(3)의 횡간부(31)와 수직부(32)의 파지수단(5), 즉 돌출부(33)가 서브 회로 기판(2)의 상단, 좌,우 양측단을 꼭 잡고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큰 충격(제품의 낙하등)이 있어도 서브 회로 기판(2)이 빠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회로 기판(1)의 상면에 서브 회로 기판(2)을 입설함에 있어서, 서브 회로 기판(2)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브라켓트(3)를 견고히 입설하고, 이 브라켓트에 의해 서브 회로 기판(2)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게 되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메인 회로 기판(1)상의 접속부재(12)에 서브 회로 기판(2)의 접속부(21)를 꽂아 입설하되, 상기한 서브 회로 기판(2)의 상단과 좌,우 양측단 테두리를 ㄷ자형 브라켓트(3)가 감싼 채 메인 회로 기판(1)상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ㄷ자형 브라켓트(3)는 서브 회로 기판의 상면이 접할 횡간부(31)와, 좌,우 측면이 접할 양측 수직부(32)로 구성한 후, 상기한 양측 수직부(32)의 끝단(32a)을 메인 회로 기판(1)에 형성한 구멍(11)으로 통과시킨 후, 고정수단(4)으로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ㄷ자형 브라켓트(3)의 고정수단(4)은 수직부(32)의 끝단(32a)을 메인 회로 기판(1)의 저면에서 납땜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ㄷ자형 브라켓트(3)의 고정수단(4)은 수직부(32)의 끝단(32a)을 메인 회로 기판(1)의 저면에서 꺾어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ㄷ자형 브라켓트(3)의 횡간부(31) 양측 수직부(32)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파지수단(5)을 형성하여 서브 회로 기판(2)의 테두리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수단(5)은 내향지도록 융기시키되, 그 틈새가 서브 회로 기판(2)의 두께와 같도록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33)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KR2019960039918U 1996-11-14 1996-11-14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KR20014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18U KR200144657Y1 (ko) 1996-11-14 1996-11-14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918U KR200144657Y1 (ko) 1996-11-14 1996-11-14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99U KR19980026999U (ko) 1998-08-05
KR200144657Y1 true KR200144657Y1 (ko) 1999-06-15

Family

ID=5398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918U KR200144657Y1 (ko) 1996-11-14 1996-11-14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60B1 (ko) * 2015-11-30 2017-12-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피씨비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60B1 (ko) * 2015-11-30 2017-12-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피씨비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99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8412A (en) Case for shielding electronic devices
US4574425A (en) Flexible hinge assembly having a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KR200144657Y1 (ko) 브라켓트를 이용한 서브 회로 기판의 고정 구조
JP2004319381A (ja) アース端子
KR960006734A (ko) 무선 주파 방해 개스킷
JPH10294585A (ja) プリント基板用シールドケース
EP0957665B1 (en) Electronic device
KR100442251B1 (ko) Lcd 모니터의 프레임
JP3842740B2 (ja) アンテナ端子の接続構造
KR940000561Y1 (ko) 튜너샤시와 메인 pcb와의 조립고정 구조
KR200145464Y1 (ko) 모니터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351221Y1 (ko) 튜너의 결합구조
KR200173816Y1 (ko) 인쇄회로기판용 실드 케이스
KR0126440Y1 (ko)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안테나 보드의 조립위치 결정기구
KR200179745Y1 (ko) 일체형 케이스
JP2504985Y2 (ja) 高周波回路装置
KR200153596Y1 (ko)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JPS5833733Y2 (ja) 筐体
JPH10289971A (ja) Ledの固定装置
JPH0316312Y2 (ko)
KR940007649Y1 (ko) 디바이스의 유동방지 장치
JP3872794B2 (ja) 回路基板を備えた電子機器
JPH03261989A (ja) Lcdの取付構造
KR970005023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상부 판넬 고정장치
KR200144931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접속단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