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567Y1 -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567Y1
KR200143567Y1 KR2019960057515U KR19960057515U KR200143567Y1 KR 200143567 Y1 KR200143567 Y1 KR 200143567Y1 KR 2019960057515 U KR2019960057515 U KR 2019960057515U KR 19960057515 U KR19960057515 U KR 19960057515U KR 200143567 Y1 KR200143567 Y1 KR 20014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
seat back
hang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380U (ko
Inventor
김정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567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5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내에 트레이를 설치하여 옷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시트 백(18)의 측면 하단부에 설치된 힌지(2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26)와, 시트 백(18)의 상부에 설치된 걸림고리(22)에 걸어맞춤 되어 커버(26)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28a)를 지닌 개방레버(28)와, 하단은 접착 테이프(32)에 의해 커버(26)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단은 고무밴드(38)에 의해 커버(26)의 상부에 이격될 수 있게 장착되는 수직 트레이(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내에 트레이를 설치하여 옷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 공간으로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행 안전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장치로는 담뱃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가 라이터, 재떨이 또는 음료수나 컵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컵 홀더가 있으며, 그 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서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옷을 벗어 걸어놓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거나 옷을 걸 수 있는 적당한 편의장치가 없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핸들(10)을 이용하게 된다.
차량의 센터필러(4)를 기준으로 볼 때에, 전방에는 앞좌석 승객의 승, 하차시에 이용하는 프론트 도어(6)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에는 뒷좌석 승객의 승, 하차시에 이용하는 리어 도어(8)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리어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이 선회시나 급제동시에 잡고 몸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 라이닝(2)에는 리어 핸들(10)을 부착하였다. 종래에는 이 리어 핸들(10)에 옷걸이(12)를 걸어 양복이나 코트 등을 걸어놓게 되며, 승객에 따라서는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에 옷을 걸기도 한다.
이와 같이, 리어 핸들이나 시트 백에 옷을 거는 경우에는 승하차시에 발에 옷이 닿기 때문에 옷이 더러워질 우려가 있으며, 뒷좌석 승객의 측방향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답답한 느낌을 주는 한편,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옷걸이가 흔들리기 때문에 승차감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프론트 시트의 시트 백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내에 트레이를 설치하여 옷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옷걸이로 사용하는 리어 핸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 내장형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 내장형 시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시트 쿠션18: 시트 백
20: 헤드 레스트22: 걸림고리
24: 힌지26: 커버
28: 개방레버28a: 후크
30: 수직 트레이34: 양복
36: 옷걸이38: 고무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상부 수납홈에는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백의 측면 하단부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와, 시트 백의 상부에 설치된 걸림고리에 걸어맞춤 되어 커버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를 지닌 개방레버와, 하단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커버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단은 고무밴드에 의해 커버의 상부에 이격될 수 있게 장착되는 수직 트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 백에 부착된 트레이와 커버 사이에 옷을 수납한 다음, 커버를 닫아 밀폐시킴으로써, 깨끗이 정리할 수 있으며, 승하차시에 옷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 내장형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 내장형 시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플로어 상에는 앞좌석 승객이 앉는 프론트 시트와 뒷좌석 승객이 앉는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레일(16)을 따라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프론트 시트는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14)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1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18)에는 수납홈(18a)이 형성되어 있어, 헤드레스트(20)를 수납홈(18a)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프론트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백(18)의 양 측면 하단에는 힌지(24)를 설치하였으며, 상단 중앙에는 걸림고리(22)를 부착하였다. 또한, 시트 백(18)의 후면에는 커버(2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하였다. 즉, 커버(26)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26a)을 시트 백(18)에 형성된 힌지(24)에 결합하였으며, 커버(26)의 상단에는 시트 백(18)의 상단 중앙에 부착된 걸림고리(22)와 걸어맞춤되어 커버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28a)를 지닌 개방레버(28)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커버(26)의 내측에 수납되는 양복이 구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26)의 내측면에는 수직 트레이(30)를 부착하였다. 수직 트레이(30)의 하단은 접착 테이프(32) 등을 사용하여 커버(26)의 하부에 고정하였으며, 상단은 고무밴드(38)를 이용하여 커버(26)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부착하였다. 또한, 수직 트레이(30)의 상단 중앙에는 걸이홈(30a)을 형성하여,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를 이용하여 양복을 보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복(34)을 넣기 위해서는 먼저, 개방레버(28)를 당긴다. 그에 따라, 개방레버(28)는 핀(29)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걸림고리(22)에 걸어맞춤 되어있던 후크(28a)가 분리됨으로써, 커버(26)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 트레이(30)를 젖혀 수직 트레이(30)와 커버(26)사이에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양복(34)을 넣은 다음, 옷걸이(36)를 수직 트레이(30)에 형성된 걸이홈(30a)에 건 상태에서 수직 트레이(30)를 놓는다.
그에 따라, 수직 트레이(30)는 고무밴드(38)에 의해 커버(26)와 밀착된 상태가 되며, 승객은 커버(26)를 닫으면 된다. 커버(26)를 닫게 되면, 커버(26)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레버(28)의 후크(28a)는 시트 백(18)의 상단에 부착된 걸림고리(22)와 걸어맞춤되어 커버(26)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제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에 의하면, 시트 백에 부착된 트레이와 커버 사이에 옷을 수납한 다음, 커버를 닫아 밀폐시킴으로써, 깨끗이 정리할 수 있으며, 승하차시에 옷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시트 쿠션(14)과, 상기 시트 쿠션(14)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상부 수납홈(18a)에는 헤드레스트(20)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18)의 측면 하단부에 설치된 힌지(2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26)와, 상기 시트 백(18)의 상부에 설치된 걸림고리(22)에 걸어맞춤 되어 상기 커버(26)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28a)를 지닌 개방레버(28)와, 하단은 상기 접착 테이프(32)에 의해 상기 커버(26)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단은 고무밴드(38)에 의해 상기 커버(26)의 상부에 이격될 수 있게 장착되는 수직 트레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KR2019960057515U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KR20014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15U KR200143567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15U KR200143567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80U KR19980044380U (ko) 1998-09-25
KR200143567Y1 true KR200143567Y1 (ko) 1999-06-15

Family

ID=1948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515U KR200143567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5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8Y1 (ko) * 2012-08-22 2014-04-09 이지영 수납 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KR101586959B1 (ko) * 2014-12-05 2016-01-20 이지영 잠금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리어커버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카시트
WO2020166738A1 (ko) * 2019-02-13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8Y1 (ko) * 2012-08-22 2014-04-09 이지영 수납 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KR101586959B1 (ko) * 2014-12-05 2016-01-20 이지영 잠금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의 리어커버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카시트
WO2020166738A1 (ko) * 2019-02-13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KR20210094014A (ko) * 2019-02-13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519133B1 (ko) * 2019-02-13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US11725334B2 (en) 2019-02-13 2023-08-1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provided insid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80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3567Y1 (ko)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US2587302A (en) Portable armrest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KR100381232B1 (ko) 펜 홀더를 가지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KR0139020Y1 (ko) 이중 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콘솔 박스
KR200490407Y1 (ko) 자동차용 봉지 걸이대
JP3041867U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329568B2 (ja) 車両用小物収容装置
KR100216611B1 (ko) 차량용 콘솔박스
KR200144025Y1 (ko) 수납함이 구비된 자동차 시트용 팔걸이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890004569Y1 (ko) 승용차용 다용도 박스
KR200146763Y1 (ko) 시트백 내장형 어시스트 그립 어셈블리
KR19980051036U (ko)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KR19980022831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80044420U (ko) 자동차의 접이식 옷걸이
KR0182208B1 (ko) 자동차용 버튼식 코트 후크
KR0129274Y1 (ko) 암레스트의 드링크 홀더
KR0135661Y1 (ko)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JPH0535639Y2 (ko)
KR0139620Y1 (ko) 자동차 컵홀더의 내장형구조
KR1999004115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컵홀더
KR19980061833U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옷걸이 고정장치
JP2003135206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