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036U -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036U
KR19980051036U KR2019960064213U KR19960064213U KR19980051036U KR 19980051036 U KR19980051036 U KR 19980051036U KR 2019960064213 U KR2019960064213 U KR 2019960064213U KR 19960064213 U KR19960064213 U KR 19960064213U KR 19980051036 U KR19980051036 U KR 19980051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glove box
storage box
gea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036U/ko
Publication of KR19980051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036U/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6Devices for taking the weight of the wing, arranged away from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수석 전방의 글러브 박스의 상부에 간단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박스를 형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며,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러브 박스(4)와, 글러브 박스(4)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8)을 구비한 차량의 크래시 패드(2)에 있어서, 글러브 박스(4)와 조수석 에어백(8)사이에는 래치(18)가 설치된 수납 공간부(B)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부(B)에는 댐핑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10)가 장착되며, 커버(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래치(18)와 맞물려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12a)가 설치된 구성을 지닌다.

Description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본 고안은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석 전방의 글러브 박스의 상부에 간단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박스를 형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 공간으로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행 안전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장치로는 담뱃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가 라이터, 재떨이 또는 음료수나 컵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컵 홀더가 있으며, 그 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서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수석 전방의 크래시 패드(crash pad)에는 글러브 박스(glove box)를 설치하여 장갑이나 책자 등 운전에 필요한 각종 물건들을 보관하도록 구성한 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 1을 참고로 글러브 박스가 장착된 종래의 크래시 패드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크래시 패드(2)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하부에는 댐퍼(6)에 의해 상술한 글러브 박스(4)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조수석 에어백(8)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차량의 크래시 패드에서는 하부의 글러브 박스(4)와 상부의 에어백(8)간에는 비어 있는 공간부(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면에서 불리하며, 작은 부품을 글러브 박스(4)에 함께 보관하게 되면, 운행 중에 소음이 발생되어 정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조수석 전방의 글러브 박스의 상부에 간단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박스를 형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며,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러브 박스와, 글러브 박스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크래시 패드에 있어서, 글러브 박스와 조수석 에어백 사이에는 래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부에는 댐핑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가 장착되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래치와 맞물려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압박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의 상단에 간단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박스를 형성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크래시 패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납박스가 장착된 크래시 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납박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댐핑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크래시 패드4:글러브 박스
8:조수석 에어백10:커버
12:손잡이12a:후크
14:컵 홀더16:받침대
18:래치20:가이드 기어
20a:제 1기어부22:스토퍼
24:고정 브라켓28:댐핑기어
28a:제 2기어부30:고정핀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수납박스가 장착된 크래시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수납박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댐핑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박스를 제공하기 위해, 글러브 박스(4)와 조수석 에어백(8)간에 배치되는 크래시 패드(2)의 내부에 수납 공간부(B)를 형성한 다음, 이 수납공간부(B)에는 커버(10)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2)의 구조에서는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는 글러브 박스(4)와 조수석 에어백(8)사이의 공간에 수납 공간부(B)를 형성한 다음, 이 수납 공간부(B)에는 도 3에서 설명하는 댐핑수단에 의해 커버(10)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였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수납 공간부(B)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시 패드(2)에는 수납 공간부(B)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부(B)의 양 측벽에는 걸림홈(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벽 내부에는 고정핀(3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다음의 도 5에서 설명하는 댐핑기어(28)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댐핑기어(28)는 가이드 기어(20)와 맞물림으로써, 커버(10)가 부드럽게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수납 공간부(B)가 형성된 크래시 패드(2)의 상부벽에는 래치(18)를 부착하였으며, 커버(10)의 내측면에도 이 래치(18)에 삽입되어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1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기어(20)를 이용하여 커버(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커버(10) 내측면에는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 홀도(14)를 비롯하여 샌드위치와 같은 간단한 음식이나 물건을 올려놓는 받침대(16)를 형성하여 승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댐핑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일단에 크래시 패드(2)에 형성된 걸림홈(2a)에 걸려 커버(1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제지하는 스토퍼(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체결나사(26)에 의해 커버(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4)이 형성되며, 제 1기어부(20a)를 지닌 가이드 기어(20)와, 고정핀(30)에 의해 크래시 패드(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이드 기어(20)의 제 1기어부(20a)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28a)를 지닌 댐핑기어(28)로 이루어져 있다. 조립시에 가이드 기어(20)의 상단은 걸림홈(2a)내에 삽입되는 스토퍼(22)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은 고정 브라켓(24)을 커버(10)의 내측면에 배치한 다음, 고정 브라켓(24)에 형성된 체결홀(24a)에 나사(2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후크(12a)를 눌러 커버(10)를 개방하는 경우에, 가이드 기어(20)와 댐핑기어(28)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커버(10)가 서서히 회동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의 상단에 간단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박스를 형성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며,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러브 박스(4)와, 상기 글러브 박스(4)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8)을 구비한 차량의 크래시 패드(2)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 박스(4)와 상기 조수석 에어백(8)사이에는 래치(18)가 설치된 수납 공간부(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공간부(B)에는 댐핑수단에 의해개폐 가능하게 커버(10)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래치(18)와 맞물려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후크(1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시 내장형 수납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일단에 상기 크래시 패드(2)에 형성된 걸림홈(2a)에 걸려 상기 커버(1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제지하는 스토퍼(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체결나사(26)에 의해 상기 커버(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4)이 형성되며, 제 1기어부(20a)를 지닌 가이드 기어(20)와, 고정핀(30)에 의해 크래시 패드(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20)의 제 1기어부(20a)와 맞물리는 제 2기어부(28a)를 지닌 댐핑기어(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KR2019960064213U 1996-12-30 1996-12-30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Withdrawn KR199800510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213U KR19980051036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213U KR19980051036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36U true KR19980051036U (ko) 1998-10-07

Family

ID=5400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213U Withdrawn KR19980051036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03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1036U (ko) 차량의 크래시 패드 내장형 수납박스
JP2011051534A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KR200143567Y1 (ko) 자동차의 옷걸이 내장형 시트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1934355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KR10038765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944881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0216611B1 (ko) 차량용 콘솔박스
KR900004549Y1 (ko) 자동차용 콘소울박스
KR0125171Y1 (ko) 자동차용 재떨이
KR100568744B1 (ko)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JPH0212103Y2 (ko)
JPH0755162Y2 (ja) グラブボックス
KR200279982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고정수단
KR200161270Y1 (ko) 컵 홀더를 설치한 콘솔
KR200202514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1820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166289Y1 (ko) 트렁크 매트 고정용 클립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19980038530U (ko) 휴지상자가 내장된 자동차의 도어트림구조
KR19980022831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80043138U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함을 구비한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