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355B1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355B1
KR101934355B1 KR1020170066670A KR20170066670A KR101934355B1 KR 101934355 B1 KR101934355 B1 KR 101934355B1 KR 1020170066670 A KR1020170066670 A KR 1020170066670A KR 20170066670 A KR20170066670 A KR 20170066670A KR 101934355 B1 KR101934355 B1 KR 10193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shaft
fitting hole
stoppe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726A (ko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3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글로브박스의 탈.부착을 위해 체결하는 스톱퍼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데 시간이 걸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110)가 구비된 노브(120) 이면에 힌지핀용 샤프트(130)를 형성하되, 노브(120) 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샤프트(130) 보다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샤프트(130)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퍼(100); 상기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통과되는 구경의 제1끼움공(211)과 샤프트(130) 만이 삽입되는 작은 구경의 제2끼움공(212)이 서로 이어지도록 함체의 양 측벽(210)에 형성된 글로브박스(200); 제2끼움공(212)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브박스(200)의 양 측벽(210) 이면에 구비되며, 제1끼움공(211)에서 이동되는 샤프트(13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걸림부(140)의 상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220);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200)를 탈.부착하기 위한 스톱퍼(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거나 당기면 글로브박스(200)가 크러쉬패드(300)에서 탈,부착이 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신속 간편하게 글로브박스(200)를 탈.부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Car stopper of the glove compartment for devic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글로브박스의 탈.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스톱퍼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거나 당기면 글로브박스가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크러쉬패드에서 탈.부착이 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자동차 보급이 급증하고 자동차 문화가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서 인식되게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행 안정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시설로서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시설로는 탑승자가 담뱃불을 부칠 수 있는 시가라이터나 흡연 시 발생되는 담뱃재 및 담배꽁초를 담을 수 있는 애쉬 트레이, 음료수 등이 담긴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컵 홀더 등이 있으며, 여러 용품들을보관할 수 있는 콘솔박스, 동전이나 각종 카드 등을 수납 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조수석쪽에 위치한 크러쉬패드에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물건을 수납 보관하는 글로브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글로브박스가 설치된 크러쉬패드 안쪽으로는 에어컨필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컨필터를 교체하여 주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글로브박스를 크러쉬패드에서 분리한 후 에어컨필터를 교체하여야 한다.
상기 글로브박스의 선행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글로브박스는 차체에 고정되 설치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커버부에 구비되고, 하우징부에 걸림 고정되는 잠금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하우징부의 두께가 줄어들어 한정된 공간 내에서의 수납공간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7739호(2012.02.29. 공개)(글로브박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언급한 글로브박스는 에어컨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크러쉬패드에서 분리할 경우 글로브박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끼움공과 크러쉬패드의 체결공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있는 스톱퍼를 회전시켜 먼저 분리한 후 글로브박스를 분리하고, 에어컨필터 교체작업이 끝나면 다시 글로브박스의 끼움공과 크러쉬패드의 체결공에 스톱퍼를 관통되게 체결한다.
그런데 글로브박스를 크러쉬패드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글로브박스의 끼움공과 크러쉬패드의 체결공을 일일이 서로 일치시켜 준 상태에서 스톱퍼를 끼움공과 체결공에 관통되게 끼워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탈.부착에 사용되는 스톱퍼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글로브박스가 크러쉬패드에서 쉽게 탈.부착할 수 있음에 따라 그만큼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구비된 노브 이면에 힌지핀용 샤프트를 형성하되, 노브 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샤프트 보다 큰 구경의 걸림부가 샤프트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퍼; 상기 큰 구경의 걸림부가 통과되는 구경의 제1끼움공과 샤프트 만이 삽입되는 작은 구경의 제2끼움공이 서로 이어지도록 함체의 양 측벽에 형성된 글로브박스; 제2끼움공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브박스의 양 측벽 이면에 구비되며, 제1끼움공에서 이동되는 샤프트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걸림부의 상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톱퍼를 글로브박스의 제1끼움공을 통해 제2끼움공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또는 제2끼움공에서 제1끼움공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스톱퍼가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글로브박스의 탈.부착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스톱퍼를 글로브박스에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스톱퍼를 글로브박스의 제1끼움공을 통해 제2끼움공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끼움공과 제2끼움공이 형성된 글로브박스의 이면을 예시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를 예시한 사시도.
도 6a,6b 는 본 발명에 따라 크러쉬패드에 글로브박스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로서 6a는 글로브박스를 열은 상태이고, 6b는 글로브박스를 닫은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스톱퍼를 글로브박스에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스톱퍼를 글로브박스의 제1끼움공을 통해 제2끼움공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끼움공과 제2끼움공이 형성된 글로브박스의 이면을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a,6b 는 본 발명에 따라 크러쉬패드에 글로브박스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로서 6a는 글로브박스를 열은 상태이고, 6b는 글로브박스를 닫은 상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110)가 구비된 노브(120) 이면에 힌지핀용 샤프트(130)를 형성하되, 노브(120) 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샤프트(130) 보다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샤프트(130)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퍼(100); 상기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통과되는 구경의 제1끼움공(211)과 샤프트(130) 만이 삽입되는 작은 구경의 제2끼움공(212)이 서로 이어지도록 함체의 양 측벽(210)에 형성된 글로브박스(200); 제2끼움공(212)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브박스(200)의 양 측벽(210) 이면에 구비되며, 제1끼움공(211)에서 이동되는 샤프트(13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걸림부(140)의 상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2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컨필터(도면중 미도시)를 교체하기 위해 글로브박스(200)를 크러쉬패드(300)에서 분리하고 에어컨필터를 교체한 이후에 글로브박스(200)를 다시 크러쉬패드(300)에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글로브박스(200)의 탈.부착에 사용되는 스톱퍼(100)의 체결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하여 글로브박스(200)를 보다 더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톱퍼(100)의 샤프트(130)의 외주면에 걸림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100)의 샤프트(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200)의 양 측벽(210)에는 큰 구경의 제1끼움공(211)과 작은 구경의 제2끼움공(212)을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제1끼움공(211)은 스톱퍼(100)의 걸림부(14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이고, 제2끼움공(212)은 스톱퍼(100)의 샤프트(130)만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이다.
그리고 글로브박스(200)의 양 측벽(210)이면에는 제2끼움공(212)을 중심으로 고정부(220)를 형성하여 제1끼움공(211)에서 이동된 샤프트(130)가 제2끼움공(212)에 끼워지면서 걸림부(140)가 고정부(220)의 내측으로 들어가 고정부(220)가 걸림부(140)의 상,하단을 잡아주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톱퍼(100)를 체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톱퍼(100)의 손잡이부(110)를 잡고, 샤프트(130)를 제1끼움공(211)을 통해 끼운 상태에서 스톱퍼(100)를 제2끼움공(212)으로 이동시키면 샤프트(130)가 제2끼움공(212)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샤프트(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부(140)는 글로브박스(200)의 이면에 형성된 고정부(220)를 밀고 들어가는데 상기 고정부(220)는 텐션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걸림부(140)가 밀고 들어오면 고정부(220)는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140)가 고정부(220)내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후 외측으로 벌어졌던 고정부(220)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부(140)의 상,하단을 압박함에 따라 스톱퍼(10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40)의 상하 외면에는 걸림돌기(141)를 형성하고, 고정부(220)의 내면에는 걸림돌기(141)와 상응된 위치에 걸림홈(221)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걸림부(140)가 고정부(220)를 밀고 들어가 안착되면 상기 걸림돌기(141)는걸림홈(221)속에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걸림부(140)가 고정부(220)내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글로브박스(2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톱퍼(100)의 노브(120)에서 돌출된 손잡이(110)를 잡고 스톱퍼(100)를 제1끼움공(21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끼움공(212)에 위치되었던 샤프트(130)가 제1끼움공(211)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고정부(220)내에 끼워져 있던 걸림부(140)가 인위적인 힘에 의해 고정부(220)내에서 빠져나오면서 즉, 고정부(220)의 걸림홈(221)에 끼워져 있던 걸림돌기(141)가 걸림홈(221)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걸림부(140)는 고정부(220)에서 손쉽게 빠져나온다.
이처럼 샤프트(130)를 제2끼움공(212)에서 제1끼움공(211)으로 이동시킨 후 스톱퍼(100)를 뒤로 당기면 샤프트(130)가 제1끼움공(211)에서 빠짐에 따라 글로브박스(2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톱퍼(100)의 샤프트(130)에 러버 재질의 패드(400)를 끼운 것으로 즉, 샤프트(130)의 선단에는 걸림턱(131)을 형성하여 패드(400)를 샤프트(130)에 끼우면 패드(400)의 테두리가 걸림턱(131)에 걸리면서 패드(400)가 샤프트(13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인데 이는 패드(400)가 글로브박스(200)를 열고 닫을 때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스톱퍼 110 : 손잡이부
120 : 노브 130 : 샤프트
131 : 걸림턱 140 : 걸림부
141 : 걸림돌기 200 : 글로브박스
210 : 측벽 211,212 : 제1,2끼움공
220 : 고정부 221 : 걸림홈
300 : 크러쉬패드 400 : 패드

Claims (3)

  1.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부(110)가 구비된 노브(120) 이면에 힌지핀용 샤프트(130)를 형성하되, 노브(120) 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샤프트(130) 보다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샤프트(130) 외주면에 형성된 스톱퍼(100);
    상기 큰 구경의 걸림부(140)가 통과되는 구경의 제1끼움공(211)과 샤프트(130) 만이 삽입되는 작은 구경의 제2끼움공(212)이 서로 이어지도록 함체의 양 측벽(210)에 형성된 글로브박스(200);
    제2끼움공(212)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브박스(200)의 양 측벽(210) 이면에 구비되며, 제1끼움공(211)에서 이동되는 샤프트(13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걸림부(140)의 상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고정부(220);로 이루어져서 스톱퍼(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거나 당기면 글로브박스(200)가 크러쉬패드(300)에서 탈,부착이 되게 형성하고,
    걸림부(140)의 상하 외면에는 걸림돌기(141)를 형성하고
    고정부(220) 내면에는 걸림돌기(141)와 상응된 위치에 걸림홈(221)을 형성하여
    걸림부(140)가 고정부(220)내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하며,
    스톱퍼(100)의 샤프트(130) 선단에는 걸림턱(131)을 형성하고,
    샤프트(130)에는 러버 재질의 패드(400)를 걸림턱(131)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글로브박스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완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66670A 2017-05-30 2017-05-30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KR10193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670A KR101934355B1 (ko) 2017-05-30 2017-05-30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670A KR101934355B1 (ko) 2017-05-30 2017-05-30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26A KR20180130726A (ko) 2018-12-10
KR101934355B1 true KR101934355B1 (ko) 2019-01-02

Family

ID=6467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670A KR101934355B1 (ko) 2017-05-30 2017-05-30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13B1 (ko) * 2019-10-16 2021-04-22 주식회사 서연이화 러기지 룸 수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26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7791A1 (en) Console assembly
JP2007191058A (ja) 車両室内の収納構造
JPH0920177A (ja) 車両用小物収納装置
JP3611751B2 (ja) スライド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934355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GB2468564A (en) Console container rail system
KR10093079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KR20130058826A (ko) 차량용 센터 콘솔
US20070181765A1 (en) Compression rail for sliding cup holder tray
KR101567776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944304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KR10055840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540251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小物収納装置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JP2001080422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3625740B2 (ja) 車両用収納体
JP2006007908A (ja) 車両用収納部構造
JP4355927B2 (ja) 車両用携帯電話保持装置
KR1012506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JP5707196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JP2006015881A (ja) 移動式灰皿係止部構造
JP2005262986A (ja)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KR20030006501A (ko) 차량의 소물함 장치
KR100944881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