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210Y1 -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210Y1
KR200142210Y1 KR2019940020193U KR19940020193U KR200142210Y1 KR 200142210 Y1 KR200142210 Y1 KR 200142210Y1 KR 2019940020193 U KR2019940020193 U KR 2019940020193U KR 19940020193 U KR19940020193 U KR 19940020193U KR 200142210 Y1 KR200142210 Y1 KR 200142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ate
switch
terminal
sele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735U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0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210Y1/ko
Publication of KR960008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장착되어 있는 냉/난방장치를 구동시킬 경우에 동작하는 모터의 동작소음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인 효과를 발생시켜 쾌적한 환경과 냉/난방장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구동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냉방 또는 난방동작을 위해 필요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연결되어, 모터(M)로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모터(M)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R1∼R3)과; 상기 다수개의 저항(R1∼R3)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구동단(1∼4)를 선택하여 모터(M)의 회전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S2)와; 상기 구동 스위치(S2)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모터(M)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호과음을 출력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와;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와 모터(M)에 연결되어,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M)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 스위치(S2)의 선택동작에 의해 모터(M)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1)와; 상기 동작 제어부(1)와 연결되어,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동작 제어부(1)의 인가신호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모터(M)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수단(RY2)과; 상기 동작 제어부(1)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이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고안은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모터의 동작소음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하여 더욱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나 난방장치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상태를 조정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냉방/난방장치는 자동차 탑승자를 위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동차 실내/외간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주행동작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성을 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쾌적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주행동작을 실행하므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 특히, 우천시에 윈도우 실드(window shield)에 많이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원활한 주행시야가 확보되므로 안전한 주행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능을 수행하는 냉방/난방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블로워 모터(blower moter)가 동작하므로, 블로워 모터의 회전동작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한 소음으로 인해 분위기를 흐트리고, 귀에 거슬리는 소음으로 인해 사람의 집중력을 감소시키고 신경을 예민하게 만드는 문제기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착되어 있는 냉/난방장치를 구동시킬 경우에 동작하는 모터의 동작소음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인 효과를 발생시켜 쾌적한 환경과 냉/난방장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사용자에 의한 구동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냉방 또는 난방동작을 위해 필요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과; 상기 다수개의 저항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구동단을 선택하여 모터의 회전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와; 상기 구동 스위칭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모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와;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와 모터에 연결되어, 자연음 선택 스위치의 접속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 스위치의 선택동작에 의해 모터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동작 제어부의 인가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B+)과, 상기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시동키의 동작상태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S1)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의 타측단자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제1릴레이(RY1)와, 상기 제1릴레이(RY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저항(R1)과, 상기 제1저항(R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저항(R2)과, 상기 제2저항(R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3저항(R3)과, 상기 제1∼제3저항(R1∼R3)의 각 일측단자에 해당하는 구동단(1∼4)이 연결되어 있는 구동스위치(S2)와, 상기 구동스위치(S2)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제2릴레이(RY2)와, 상기 구동 스위치(S2)의 고정단자(A1)에 제1단자(B)가 연결되어 있고 고정단자(A2)가 접지되어 있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와,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제2단자(C)에 입력단자(D2)가 연결되어 있고 모터(M)의 타측단자에 입력단자(IN)가 연결되어 있고 제 2릴레이(RY2)에 입력단자(D1)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와, 상기 동작 제어부(1)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릴레이(RY1)는 시동 스위치(S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모터(M)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릴레이(RY2)는 구동 스위치(S2)이 고정단자(A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스위치(S21)와,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동작 제어부(1)의 입력단자(D1)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코일(L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자동차 운전자에 의한 시동키의 동작으로 사동 스위치(S1)가 온상태로 가변되면 동작 제어부(1)는 동작을 시작하여(S10) 사용되는 변수를 초기화한다(S20).
그리고 동작 제어부(1)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입력단자(D2)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연음 선택스위치(s3)의 접속상태를 판단하다(S30).
그러므로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제2단자(C)와 접속되어, 냉방장치의 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M)의 동작정도에 따라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
따라서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단자가 제2단자(C)와 접속상태일 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구동 스위치(S2)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자연음 선택 스위치(S2)의 접속상태가 제1단자(B)와 접속되어 있을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별도의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단계(S20)로 넘어간다.
그리고 운전자에 의한 상기 시동 스위치(S1)가 온되면, 제1릴레이(SY1)의 코일(L11)로 전류가 인가되므로 제1릴레이(RY1)의 상태는 동작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릴레이(RY1)의 동작으로 인해 비동작시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S11)가 온상태로 가변되어 자동차의 냉방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동작 가능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으로 인한 제1릴레이(RY1)의 동작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는 냉방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오프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구동 스위치(S2)를 조작하여 구동 스위치(S2)의 접속단자를 원하는 구동단(1∼4)에 접속시킨다.
그러므로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단자를 제1단자(B)와 접속시킬 경우엔, 상기 구동 스위치(S2)의 접속단자(1∼4)에 따라 저항(R1∼R3)의 연결상태가 가변되어 저항(R1∼R3)의 접속상태에 따른 해당 전류가 모터(M)를 거쳐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제1단자(B)와 고정단자(A2)를 거쳐 접지된다.
따라서 저항(R1∼R3)의 접속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모터(M)의 인가전류에 따라 모터(M)의 회전속도가 가변되어 도시되지 않는 냉방장치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가변되므로, 냉방장치를 통과하여 냉각공기의 배출량이 가변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30)에서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제2단자(C)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제2릴레이(RY2)를 구동시키기 위해 입력단자(D1)의 상태를 고레벨인 H상태에서 저레벨인 L상태로 가변시킨다(S40).
그러므로 상기 제2릴레이(RY2)이 동작하여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S21)는 비동작시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가변되어 구동 스위치(S2)의 동작에 따라 모터(M)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동작 제어부(1)는 입력단자(IN)로 인가되는 전압값을 판독한다(S50).
구동 스위치(S2)의 접속상태가 오프상태를 유지할 경우와 각 해당 구동단(1∼4)와 겁속되어 있을 경우에, 전압 분배장치로 이용되는 저항(R1∼R3)의 연결상태가 가변되므로 동작 제어부(1)의 입력단자(IN)로 인가되는 전압값도 가변된다.
그러므로 동작 제어부(1)의 입력단자(IN)호 인가되는 전압값은 내부의 신호 변환장치에서 인가되는 전압밧에 해당하는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모터(M)로 인가되는 전압값을 판독하여, 모터(M)의 회전동작이 실행되는지를 판단한다(S60).
따라서 구동 스위치(S2) 접속단자가 오프단자와 접속되어 모터(M)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입력단자(D2)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를 판단한다(S80).
그러므로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제2단자(C)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엔, 냉방장치의 동작중엔 모터(M)의 회전상태에 따른 해당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상태로 판단하여, 동작 제어부(1)는 모터(M)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단계(S50)로 넘어가 입력단자(IN)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판독한다.
그러나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제1단자(B)와 접속되어 있을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모터(M)의 동작상태에 따른 해당 효과음의 출력동작을 중지하기 위해 구동중인 제2릴레이(RY2)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해 입력단자(D1)의 신호상태를 고레벨인 H로 가변시킨 후(S140), 초기단계(S20)로 넘어간다.
상기와 같이 구동 스위치(S2)의 접속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구동단(1∼4)에 접속될 경우, 전압 분배장치로 이용되는 저항(R1∼R3)의 연결상태가 가변되어 모터(M)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경우엔, 동작 제어부(1)는 판독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현재 구동 스위치(S2)의 구동단(1∼4)을 판단한다(S70).
이미 메모리 장치의 해당 번지에 각 전압값에 따른 해당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동작 제어부(1)는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압값에 해당하는 구동단(1∼4)를 판단하여, 판단된 구동단(1∼4)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판독한다(S90).
그리고 동작 제어부(1)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로 출력하여 구동 스위치(S2)가 접속되어 있는 구동단(1∼4)의 접속상태에 따른 효과음을 출력한다.
상기 효과음은 더욱 쾌적하고 시원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자연음 등으로 하여 냉방장치의 효과를 높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1)는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 후,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동작상태를 판단한다(S120).
그러므로 계속해서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제2단자(C)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동작 제어부(1)는 이용되는 변수를 클리어하고(S130), 입력단자(IN)로 인가되는 전압을 판독하여(S50)설정된 구동 스위치(S2)의 구동단(1∼4)에 따른 해당효과음을 계속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제1단자(B)로 가변될 경우에, 모터(M)의 동작상태에 따른 해당 효과음을 출력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해 동작 제어부(1)는 입력단자(D1)의 상태를 고레벨인 H로 가변시켜(S140) 제2릴레이(RY2)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초기단계(S20)로 넘어간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냉방장치뿐만 아니라 난방동작을 위해 회전하는 모터(M)의 동작상태에 따라서도 상기한 방법과 같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모터(M)의 회전 소음을 듣기좋은 자연음이나 조용한 음악 등으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냉방 또는 난방장치를 동작시킬 경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동작하는 모터의 회전소음을 대신할 수 있도록 듣기 좋은 효과음을 모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하므로 시끄러운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냉방 또는 난방장치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음이나 듣기 편한 음악을 출력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 효과를 가중시킬 수 있고, 더욱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에 의한 구동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냉방 또는 난방동작을 위해 필요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연결되어, 모터(M)로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하고 모터(M)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R1∼R3)과; 상기 다수개의 저항(R1∼R3)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구동단(1∼4)를 선택하여 모터(M)의 회전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S2)와: 상기 구동 스위치(S2)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모터(M)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와;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와 모터(M)에 연결되어,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M)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 스위치(S2)의 선택동작에 의해 모터(M)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1)와; 상기 동작 제어부(1)와 연결되어,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동작 제어부(1)의 인가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모터(M)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RY2)과; 상기 동작 제어부(1)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1)는 사용되는 변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상태일 경우에, 스위칭 수단(RY2)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단자 (IN)로 인가되는 전압을 판독하여 모터(M)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구동 스위치(S2)의 동작으로 모터(M)의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접속되어 있는 구동단을 판단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설정하여 음성 출력부(2)로 출력하고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자연음 선택 스위치(S3)의 접속상태가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상태일 경우에, 이용됐던 변수값을 초기화시킨 후, 입력단자(IN)로 인가되는 전압을 판독하고, 모터(M)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나 효과음의 출력상태가 아닐 경우에 출력중인 스위칭 수단(RY2)의 구동신호 출력을 중지하고 처음동작을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RY2)는, 상기 구동 스위치(S2)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스위치(S21)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1)의 입력단자(D1)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코일(L21)을 포함하고 있는 릴레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S1)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와 전원(B+)및 모터(M)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수단(RY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자동차의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RY1)는,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모터(M)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1)를 포함하고 있는 릴레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KR2019940020193U 1994-08-10 1994-08-10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KR200142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93U KR200142210Y1 (ko) 1994-08-10 1994-08-10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93U KR200142210Y1 (ko) 1994-08-10 1994-08-10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35U KR960008735U (ko) 1996-03-16
KR200142210Y1 true KR200142210Y1 (ko) 1999-06-01

Family

ID=1939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193U KR200142210Y1 (ko) 1994-08-10 1994-08-10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2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896A (ko) * 1999-08-16 2001-03-05 배길훈 차량용 자동온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35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3520A (en) Air conditioner and brushless motor control unit
KR200142210Y1 (ko) 냉/난방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음 발생장치
JP2017223936A (ja) 騒音低減装置、騒音低減方法
JPH06281219A (ja) 換気送風装置
JPS63246496A (ja) 送風機の送風方法
JPH01301998A (ja) 空気調和機
JPH078604B2 (ja) カ−エアコン制御装置
JPH0233547A (ja) 送風装置
JPS60174312A (ja) カ−エアコン制御装置
JP2018122677A (ja) 空調音の快音化装置
JPH0560089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0139064Y1 (ko) 자동차의 에어 그릴 회전 장치
KR100254450B1 (ko) 자동차 에어컨용 송풍기 전기부하 차동 공급장치 및 그 방법
JP2002310484A (ja) 送風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940004113B1 (ko) 에어콘의 풍량에 따른 음향합성발생장치 및 방법
KR19980022156A (ko) 자동차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JPH10185254A (ja) 換気装置の風量調節方法及びその風量調節装置
JP2006111182A (ja)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100852418B1 (ko) 자동차의 블로어 모터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JPH029326Y2 (ko)
KR960037327A (ko) 자동차의 풍량조절장치
JPH1094288A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278796A (ja) 送風機モータの制御方法
KR19980026213A (ko) 차량용 오디오의 밸런스부 자동셋팅 장치
KR100187365B1 (ko) 버스용 에어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